미래 항공 교통 국내외 현황 및 파급효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시스템 기술, 차세대 중소형 항공기개발
유비쿼터스 공항
- 가치창출형 공항운영 기술, 지속가능한 항공환경기술, 신개념 항공보안기술 등
차세대 항행시스템
- 첨단 항공통신시스템 개발, 인공위성 기반 항행시스템 개발, 첨단 항공관제 및 감시 시스템 개발, 갈릴레오형 위성항법시스템 기술 개발 등
- 항공전자분야는 다시 통신, 탐색, 디스플레이, 운전 등의 분야로 구분하여 하부체계 통합모듈적용, 최첨단 통산 및 탐색 기술 채용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
- 항공기 속도가 초음속이 되면, 엔진 내부의 공기 흐름도 초음속류가 되는데, 이는 단열 압축을 활용하여 압축기 없이 고온고압의 공기가 연소될 수 있도록 공급하며 이러한 개념으로 완성된 기술인 스크램 제트기술이 차세대 항공 추진기술로 부각
- 항공소재는 복합재료, 구조용 유리섬유, 금속복합재료로 구분. 복합재료는 고강도 경량화 부품소재로 착륙장치, 터빈로터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높은 인성과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및 섬유 개발이 주된 연구내용임. 특히, 유리섬유는 헬기로터에 활용되고 있으며, 고탄성 섬유와 결합하여 응용. 금속소재응용기술은 고강선 경량구조 및 높은 신뢰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
○ 우리나라는 그 동안 부품제작, 하청조립 위주의 단순 생산부문에 집중해 왔기 때문에 완제기 개발 및 생산경험 미흡
- T-50개발을 통해 체계종합 경험을 습득하였으나, 각 하부체계를 종합하거나, 설계하는 능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
- 항공기술 선진국으로부터 기술이전을 통해 완제기를 설계하여 왔으나, 기술종속성이 높은 핵심요소기술의 습득은 사실상 제한되어 왔기 때문에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독자 개발이 요구
<표 2-33>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분야
선진국
국내
공력 및 형상설계
- 전 속도영역 해석 가능
- 스텔스 형상 설계, 해석
- 극초음속 및 스텔스 형상 및 해석 경험 전무
구조 및 소재
- 첨단소재 개발
- 스마트 구조물 개발
- 전기체 구조설계 및 해석 가능
- 스마트 구조물, 첨단소재 부문 미흡
항공전자
- 센서융합기술, 전자전 통합기술, 능동형 레이더
- 항전시스템 통합 능력, 각 계통단위 개발 능력은 미흡
비행 및 제어
- Fly-by-Light 시스템 실용화
- 스텔스 형상 제어 기술
- Fly-by-Wire 시스템 개발
- 기계식 제어장치 개발
- 무인항공기 자동제어장치 개발
제작 및 조립
- 스마트 구조물 가공제작
- 복합재 구조물 성형 기술
- 전 기제 제작 및 조립 기술
- 복합재 구조물 가공기술
시험 및 평가
- 항공우주 분야 시험 평가
- 기체 풍동/구조/계통/비행 시험 가능
- 초음속/EM/EMC/극한환경시험 불가능
자료 : 2010 산업비전, 산업연구원, 2002
4. 파급효과
○ 항공우주산업은 국방, 교통, 기상, 해양, 환경 및 정보산업 등 다양한 산업 및 기술과 연관을 맺고 있고, 항공기 또한 수백만 개의 부품이 퍼즐처럼 조합되어 완성되는 전형적 복합체계종합산업으로 그 기술적 파급효과가 높음
- 항공우주산업은 정보산업, 신소재산업 등 첨단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유망산업으로 항공우주산업의 선도적 기술혁신은 타 산업과의 연계 및 파급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역으로 연관 산업의 발전 없이는 항공우주산업의 기술적 우위 확보가 어려움
<표 2-34> 항공우주산업의 파급효과
산업분야
파급분야
파급기술
자동차
엔진관련
- 터보 및 슈퍼 charger, 자동차 엔진용 오일 필터, 덕트호스, 라디에이터 등
제동기술
- 디스크 브레이크, ABS, 브레이크 라이닝, 브레이크 파이프, 브레이크 관련 전자장치, 전자 현가장치 등
차량통신
- 네비게이션, 디지틀 미터
재료소재
- 정밀주조, 알루미늄 구조물, 알루미늄 단조품
기타
- 자동차용 검사기기
산업차량
재료소재
- 알루미늄 구조물, 알루미늄 단조물
철도
요소기술
- 브레이크 장치, 베어링
신간선 차량
- 차량, 전면 복층 유리용, 모노코크방식
선박
추진기관
- 선박용 가스터빈, 속도조절기-엔진부속품, 프로펠러
기체 관련
- 선박용 알루미늄 단조품
산업기계
원동기 관련
- 가스터빈, 공기터빈, 압축기, 송풍기, 환풍기
기기 관련
- 유압기기, 볼베어링, 고압용 호스
가공제조
- 와이어 방전가공, 공작기계, FMS
소재
- 알루미늄 주조, 알루미늄 단조, 정밀 주조
범용제품
- 알루미늄 주조
건설건축
샤시
- 알루미늄 샤시, 빌딩용 알루미늄 샤시
전자공학
-
- 실드 빔 전구, 마이크로 파이프, 양면 프린트기판
S/W
-
- 게임 패키지, 데이터베이스
의료
-
- 의료측정기, 내시경, 인공관절
자료 : 항공우주산업의 기술적 파급효과 정량화 분석, 일본 항공우주공업협회, 1998
- 항공우주산업은 전형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제품 중량당 가격이 매우 높아, ’70년대 주력 산업이었던 섬유산업의 부가가치 비율이 11%, 80년대 일반 기계산업이 15%, 90년대 자동차산업이 25%인 것에 비해, 2000년대 항공우주산업의 부가가치율이 44%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망하고, 톤 당 가격은 승용차에 비해 여객기는 30배, 항공기 엔진은 60배에 이름 [자료: 2010 산업비전, 산업발전전략기획단, 2002]
○ 항공부문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동북아 항공 중심국과 항공 선진국 진입의 계기 마련
- 항공분야 R&D프로그램의 확충으로 국제수준의 항공안전성 확보와 항공산업의 부가가치 향상. 국가적인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계기 마련
○ 국가의 위상과 안보에 직결된 산업
- 항공우주산업은 국가방위력 및 국제사회 영향력 증대를 위해 전략적으로 지원 및 육성되는 산업으로 특히 완제기를 생산할 수 있는 나라는 러시아, 중국을 제외하곤 G7국가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한국 역시 자주국방을 위해 항공우주산업을 육성
- 기술혁신은 민간 항공기 제조업체로 이전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즉 군용기 개발이 성공하고 . 이에 따른 군사장비 시장의 보장은 민간 제조업체가 정부를 통해 개발된 신기술을 채용하는 동기로 작용하며, 더불어 군에서 실제 운영하면서 기술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민간 제조업체가 신기술을 채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리스크 감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3.0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