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교육제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서론】-----------------------------------------------------------------------------2

【본론】--------------------------------------------------------------------------2~12
Ⅰ. 고려시대의 교육----------------------------------------------------------2~5
1. 중앙의 교육기관--------------------------------------------------------------2~4
1) 국자감의 성립과 운영----------------------------------------------------------2
2) 동․서학당(東西學堂)------------------------------------------------------------3
3) 10학-----------------------------------------------------------------------4
4) 사학 12도(私學 十二徒)---------------------------------------------------------4
2. 지방의 교육기관-------------------------------------------------------------4~5
1) 향교------------------------------------------------------------------------4
2) 서경학교--------------------------------------------------------------------4
3) 서재-----------------------------------------------------------------------5
Ⅱ. 과거제------------------------------------------------------------------5~8
1. 과거제의 도입------------------------------------------------------------------5
2. 과거제의 정비와 변천-----------------------------------------------------------5
1)예비고시=국자감시의 설치--------------------------------------------------------5
2)본고시 = 예부시(동당시)의 설행---------------------------------------------------5
3. 고시과목과 고시방법------------------------------------------------------------6
4. 응시자격----------------------------------------------------------------------7
5. 급제자의 초직과 승진-----------------------------------------------------------8
Ⅲ. 음서제도---------------------------------------------------------------8~11
1. 음서제의 성립 -----------------------------------------------------------------8
2. 음서의 종류와 그 범위----------------------------------------------------------9
1) 음서의 범위------------------------------------------------------------------9
2) 문음과 공음------------------------------------------------------------------9
3. 음서의 시행시기---------------------------------------------------------------10
4. 음서제도의 운영----------------------------------------------------------------11
1) 음서의 연령------------------------------------------------------------------11
2) 음서의 시행 원리와 수혜인원----------------------------------------------------11
Ⅳ. 고려시대의 교육 사상가-------------------------------------------------12~13
Ⅴ. 정 리--------------------------------------------------------------------14

【결론】 결론 및 참고문헌-------------------------------------------------------------14

본문내용

크다.
4. 정 몽 주(1337~1392)
고려 말의 충신, 학자이다. 초명은 몽란, 몽룡, 자는 달가, 호는 포은(圃隱)인 정몽주는 영천 출신이다. 일정한 스승이 없이 독학으로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나 학문하기를 좋아하여 지방관의 비행을 근절시키고 의창을 세워 빈민을 구제하고 불교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유학을 보급했고 성리학에 뛰어난 동방이학의 시조로 추앙되었으며 주자가례를 따라 사회 윤리와 도덕의 합리화를 기하며 개성에 5부 학당과 지방에 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는 한편 대명률을 참작한 신률을 간행하여 법 질서의 확립을 기하고 외교 정책과 군사정책에도 관여하여 기울어지는 국운을 바로 잡고자 노력했으나 이성계의 신흥 세력에 꺾였다.
교육을 국민교화의 근본이라 생각하고 그 뿌리를 굳건히 하기 위해서 개성존중과 심전 개발에 역점을 두었다. 교육사상은 주자학에 기초를 두었다는 점에서 안향이나 이색과 다를 바 없으며 선비의 도는 모두가 일상 생활에 있으며 먹고 마시는 것은 남녀가 동일하다. 다만 그 이치를 깨닫고 실천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했다.
교과학습 방법으로는 ‘대학’과 ‘중용’에서도 명도와 전도의 요지를 습득하고 ‘논어’와 ‘맹자’에서 지조를 지키고 함양하는 요령과 체험확충의 방법을 배우며 ‘주역’에서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이 서로 작용함을 알고 ‘서전’에서 정신의 통일과 집중이 왕도의 가르침을 전수하는 마음가짐임을 알고 ‘시전’에서 인간의 도리와 사물의 법칙이 주는 교훈을 알고 ‘춘추’에서 도의와 공리의 분별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5. 길 재(1353~1420)
야은은 공민왕 2년(1353년)에 태어나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의 학자이다. 자는 재부, 호는 야은 또는 금오산인 시호는 충절공이며 경북 선산출신이다. 그는 18세에 성리학에 통달하고 성균관 생원시에 합격한 것이 22세이다. 31세 때는 사마감시에 합격하였으나 32세에 부친상을 당하게 되었다. 34세에는 진사시험에 합격, 2년 후 36세가 되던 해에는 성균관 박사로 승진하였다.
교육사상은 완인주의 교육사상, 실천윤리 교육사상, 청렴절의 교육사상으로 요약할 수 있다. 현대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인의 개념을 부합하는 것이다. 즉 천민자제를 수용하고 경전과 사기를 지도하는 인간존중의 교육과 실천을 통한 교화교육을 강조하였다. 실천윤리 교육사상이란 인간의 도리요 행동규범인 충효를 사람의 품성과 병행시키려는 사상이다. 즉 충신은 반드시 효자의 집안에서 찾으라 하였으니 이는 어버이에게 효도하면 임금에게 충성하게 되고 임금에게 충성하면 어버이에게 효도하게 된다고 하였다. 청렴절의 교육사상은 성리학자들이 생명보다 귀중하게 여긴 덕목으로 교육은 근본을 깊게 하는 데만 있지 않고 굳고 맑게 하는 청빈낙도의 실천적 교육을 강조하였다.
Ⅴ. 정 리
고려시대 음서제도의 실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우리나라에서 음서의 한 실례는 신라에서 보이고 있으나 정치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하나의 제도로서 기능 하게 되는 것은 고려 성종 조로부터 비롯된다는 사실이다. 둘째로 음서는 주로 5품 이상 고위관료의 자(子) 손(孫)제(弟)질(姪)등을 서용(敍用)하는 제도라는 좁은 의미로 쓰였지만 한편으로는 조종(祖宗)의 묘예(苗裔)와 공신 자손의 서용(敍用)을 포함하는 넓은 뜻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셋째 음서의 혜택이 대체적으로 5품 이상관에 한하여 돌아갔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로 고려시대 음서는 시기상 정기적인 것과 부정기적인 것의 두 종류가 있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다섯째 한 명의 관료가 여러 명의 자손에게 음직을 줄 수 있다는 것도 주목할 사항이다.
1人1子의 원칙이라 하여 한 명의 관료가 한 명의 자손에게 한하여 음직을 줄 수 있다고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사료 상에서 1회의 음서에서 한 명의 관료가 여러 명의 자손에게 음직을 줄 수 없다는 말로 해석되며 회수가 거듭되었을 때 자연히 혜택도 여러 명한테 돌아갈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유리한 입장에서 출발한 음서출신자들 대부분이 5품관 이상으로 승진하고 반수 가량은 재상의 지위에까지 오르는 현상을 보여준다. 끝으로 음서가 가문 문벌 형성, 계승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했다. 다시 말해서 고려시대의 음서는 일반적이고 떳떳한 출사로(出仕路)의 하나였고 귀족관료들의 신분과 가문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한 하나의 제도적 장치로 봐야할 것이다.
【결 론】
고려사회는 성종 때 국자감이 설치되고, 문종 때 문치정책(文治政策)에 따라 최충(崔) 등이 12도(徒)를 설치하고 인재를 배출하여 문운(文運)을 크게 떨쳤으며, 지방의 향교와 중앙의 국자감을 비롯한 여러 교육기관의 설치로 유교적 이념에 입각한 교육을 통해 인재를 배출하였다. 또한 중앙과 지방 등에서 교육을 받은 인재들은 광종 때 설치된 과거제를 통하여 정계에 진출, 공신과 지방과 중앙에 기반을 둔 귀족들의 틈 속에서 고려왕조에 충성하였다. 또한 고려 문벌귀족사회를 형성하는 토대를 마련한 음서제도는 문무관 5품 이상관의 아들에게 음직을 주도록 하는 제도로서, 목종 때 만들어져 조선사회에 까지 이어지게 된다.
고려사회의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그리고 음서제도는 고대사회를 벗어나 중세사회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개혁을 주도하는 것으로, 특히 유교를 바탕에 둔 교육제도와 과거제도는 고대의 왕권들이 간절히 바랬던 전제왕권을 향한 안전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고대로부터 아직 뿌리 뽑히지 못한 귀족(호족)들의 기득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서 음서제도가 이어졌던 것이었다.
《참고문헌》 한국사 17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교육사개설 - 장덕삼 저 재동 문화사 2006.
고려시대사 上 - 박용운
고려음서제도 연구 - 김용선 일조각 1996.
고려시대 음서제도와 과거제도 연구 - 박용운 1990.
고려시대사 - 박용운 일지사 1985.
고려음서에서의 外孫出現과 法制變改 - 김수진 1991.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김판석 윤주희.
『한국 사회와 행정연구』- 서울행정학회 2000.12(제 11권 2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3.1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