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 에 대한 비판적 검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1 논의의 정당화
1.2 연구대상과 방법

2.0 이해의 선결작업
2.1 언어의 변화
2.2 갈래의 변화
2.3 사상의 변화
2.4 문학담당층의 변화

3.0 비평들의 소개
3.1 강상순의 비평
3.2 한기형의 비평

4.1 규범제시적 담론
4.2 이론전개의 파악

5. 결론

본문내용

1.b라면 이론이 행하는 사적인 작업은 작가의 의도의 역사로 축소된다.
2 갈래가 그것의 창작층의 의도를 반영한다는 것은 마찬가지로 a)갈래는 그러한 갈래의 창작집단의 의도로 환원된다 b)이론은 창작집단의 의도만을 다룬다.
a)는 역시 독립적인 증명을 요구하며, 증명 불가능하다면 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다. b)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론은 창작집단의 (집단으로서의) 의도만을 다루며, 통시적 추이는 제한된 관찰만을 허용한다.
2.b라면 이론이 행하는 사적인 작업은 창작집단의 의도의 역사로 축소된다.
3. 작품과 작품군의 관계가 작가와 작가군과의 관계와 같다는 것은 2가지 방식으로 이해된다.
a. 작품은 작가의 의도로 환원되고, 작품군은 작가군의 의도로 환원된다.
b. 이론은 작가의 의도만을 다루고, 그것에 대응되는 갈래의 성격만을 다룬다.
a는 독립적인 증명을 요구하지만, 어떤 식으로든 정당화된다면 작품은 작가군의 의도 속에서 파악된다.
b의 경우, 이론은 갈래에 대해서만 다루고, 그것은 작가의 의도에만 대응돼야한다.
3.b의 경우 이론이 행하는 것은 갈래와 작가의 대응관계를 전제한 제한된 작품의 변화추이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정당화 조건을 어떤 방식으로든 충족시켰다고 가정한다면, 작가군은 문학담당층으로 변환되어, 다른 체계 속에 대응될 수 있다.
1.작가군 = 문학담당층 => 사회사적 계층
이러한 대응이 병응을 이룬다고 가정하면 그것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작품 : 작가 = 갈래 : 작가군
작가군 = 문학담당층 -> 문학담당층 = 사회사적 계층
병응은 작품으로부터 사회사적 계층까지의 위상학적 변환이 1:1 대응으로 이뤄질 수 있음을 가정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작품은 작가의 의도로 환원되며, 그러한 환원은 갈래가 그것의 창작집단인 작가군으로 환원되는 관계와 같으며, 그러한 작가군은 문학담당층으로서 사회사적 위계구조에 1:1로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되는 것이다.
5. 결론
우리는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에서 몇 개의 주장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우리자신과 청중들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그것을 통해 문학사라는 담론, 그리고 그것의 한 규범인 시대구분의 규칙들을 검토해봤다.
기본적으로 조동일이 제시하는 시대구분이 적절히 이해되고, 설명되었기를 바란다. 그러한 이해를 통해, 그리고 그에 대한 비평의 참조를 통해 「문학사의 시대구분」이라는 연구담론의 성격을 검토해볼 수 있었기를 바란다.
인문학이 반성적 학문이고, 우리의 작업도 하나의 담론이라면 우리는 그것이 교훈담이길 바란다. 우리가 속해 있는 국어국문학과라는 제도의 성격, 문학사라는 담론의 효과, 이론의 논리적 토대 등에 대해서 반성적이고 또한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면 좋을 것 같다.
여러 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진한 구석이 많다는 점을 시인하지만, 그러한 한계가 앞으로 알아갈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시사하는 것이라고 여기며 희망적으로 글을 마친다.
-참고 문헌-
■ 주 논문 ■
조동일.[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 Vol.24 No.1. {한국음악사학보}, 한국음악사학회. 2000.
■ 참고 서적 및 논문 ■
1. 조동일.『한국문학통사 1~5』 (주)지식산업사
2. 정출헌,「한국문학사 편찬을 위한 갈래체계 정립의 모색」 토지문화재단 편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한길사, 2001)
3. 한기형.「'이념의 구심화에서 '실용적 확장의 증식구조로'로 -조선문학사, 신문학사, 한국문학통사의 비교 검토-」 고전문학연구 제 28집
4. 토마스 새뮤얼 쿤.『과학혁명의 구조』. 김명자 역, 까치글방, 2002
5. 강상순. [한국문학통사 다시 읽기],{古典文學硏究} vol.28. 한국고전문학회, 2005.
6. 조동일. 「공동어문학과 민족어문학」(주)지식산업사, 1999.
7. 조동일. [공동문어문학의 세계사 이해를 위한 사설], {외국문학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 국문학연구소,1999.
8. 조동일. [한국 시가의 갈래이론과 세계문학사], {韓國 詩歌硏究} Vol.2 No.1. 한국시가학회, 1997.
9. 조동일.「문명권의 동질성과 이질성」. 지식산업사, 1999
10. 조동일. [한국문학사 동아시아문학사 세계문학사의 상관관계], {比較文學} Vol.19. 한국비교문학회, 1994.
11. 조동일.「세계문학사의 전개」(주)지식산업사. 2002
12. 조동일.「한국문학사상시론」2판. (주)지식산업.1998.
13. 조동일.[동아시아문학사와 한국문학사], {語文學} Vol.83 한국어문학회, 2004
14. 고미숙. 「고전문학사 시대구분에 관한 몇 가지 제언」,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한길사. 2003.
15. 조동일 「문학 사상연구의 새로운 영역과 방향」, 『조선 후기의 시경론과 시의식』서평.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16. 조동일 「동아시아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한민족어문학} Vol.40 한민족어문학회. 2002.
17. 조동일 「한국시가의 갈래 이론과 세계문학사」, {한국시가연구} Vol.2 No.1 한국시가학회 1997.
18. 김현양 「민족주의 담론과 한국문학사」, {민족문학사학회} No.19. 민족문학사연구 2001.
19. 윤여탁 「문학사의 시대구분과 문학교육」{선청어문} Vol.28 No.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00.
20. 조동일「동아시아 문학사 비교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21. 조동일 「세계문학사의 허실」. 서울: 지식산업사. 1996.
22. 조동일 「인문학의 사명」.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23. 조동일 「카타르시스 . 라사 . 신명풀이」. 서울 : 지식산업사. 1997.
24. 조동일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 서울 : 문학과지성사. 1999.
25.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문학」. 서울 : 지식산업사. 1999.
26. 조동일 「문명권의 동질성과 이질성」. 서울 : 지식산업사. 1999
27. 조동일 「철학사와 문학사 둘인가 하나인가」. 서울 : 지식산업사. 2000.
28. 이찬 「임화와 조동일의 문학사 비교연구」. {우리어문연구} Vol.26. 우리어문학회 2006.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08.03.15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