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한국 김치의 역사, 영양, 저장과 지역적 특징 및 김치의 외국 진출에 관한 고찰(김치 역사적 고찰, 김치 영양, 김치 만들기,저장, 김치를 이용한 요리, 김장김치, 김치 지역적 특성, 김치 외국 진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치]한국 김치의 역사, 영양, 저장과 지역적 특징 및 김치의 외국 진출에 관한 고찰(김치 역사적 고찰, 김치 영양, 김치 만들기,저장, 김치를 이용한 요리, 김장김치, 김치 지역적 특성, 김치 외국 진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김치의 유래

Ⅲ. 한국 김치의 역사적 고찰
1. 상고시대의 김치
2. 고려에서 조선초기
3. 조선중기 이후의 김치

Ⅳ. 김치의 영양
1.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
2. 체중조절에 좋은 저칼로리 식품
3. 항암효과 및 노화억제효과
4. 유산균의 정장작용
5.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효과

Ⅴ. 김치 만들기와 저장
1. 배추김치 만들기
2. 김치의 저장

Ⅵ. 김치를 이용한 요리

Ⅶ. 지역마다 다른 김장 김치의 맛

Ⅷ. 김치의 지역적 특성
1. 경기도
2. 충청도
3. 강원도
4. 전라도
5. 경상도
6. 황해도
7. 평안도
8. 함경도
9. 제주도

Ⅸ. 김치의 외국 진출

Ⅹ. 결론

본문내용

차되는 지점이기 때문에 수산 자원도 풍부하다. 사과, 배, 봉숭아, 밤 등의 과일이 많이 생산되고 특히 황주의 사과는 그 품질이 우수하다. 예로부터 인심이 후하여 음식도 푸짐하고 큼직한 것이 특징이다. 맛은 구수하고 소박하며 음식에 기교를 부리지 않는다. 음식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게 요리하며 특이하게 김치에 고수와 분디라는 향신료를 쓴다.
김치는 맵지 않고 시원한 국물 맛을 즐겨 동치미를 담글 때 새우젓이나 조기젓 또는 육수를 이용한다. 겨울에는 이 동치미 국물에 메밀국수를 말아 먹기도 한다. 동치미, 고수김치, 호박김치 등이 유명하다.
7. 평안도
평안도는 우리나라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평안도의 동쪽은 산이 높아 험하나 서쪽은 바다에 접해 있고 수산자원이 풍부하고 넓은 평야가 있어 농산물의 산출도 많다. 추운 지방이므로 겨울에는 육류와 콩, 녹두 등으로 만든 음식을 즐긴다.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류가 빈번하여 평안도 사람들의 성품은 대륙적이고 진취적이다. 이러한 특성이 음식에도 반영되어 음식이 크고 먹음직스러우며 모양을 중시하지 않는다.
김치가 더디 익는 추운 겨울이 긴 고장이라서 싱겁고 맵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김치에 양념과 부재료를 많이 사용하지 않아 담백한 국물 맛이 특징이다. 양지머리를 고아서 기름을 말끔히 걷어낸 육수로 동치미를 담가 그 국물에 냉면을 말아 먹는다. 냉면김장김치, 가지김치, 동치미 등이 있다.
8. 함경도
함경도는 우리나라의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춥고 외진 산간 벽지로 여기서는 주로 잡곡이 생산된다. 특히 콩의 품질이 우수하고 조, 귀리, 감자, 수수, 메밀, 옥수수 등이 산출된다. 수산자원도 풍부하여 청어, 대구, 명태, 연어, 정어리, 넙치 등이 유명하다. 평안도와 마찬가지로 중국과 접해 있어 대륙적인 기질이 음식에도 나타타 풍성하고 대담하며 사치스럽지 않다. 간은 슴슴한 편이고 겨울 음식이 잘 발달되어 있다. 김치는 국물을 넉넉하게 하고 간이 약하며 고춧가루도 아주 조금 사용한다. 특산물인 생선을 이용한 김치가 많으며 채소와 곡물밥, 생선을 넣어 함께 발효시킨 가자미 식해가 유명하다. 콩나물김치, 대구깍두기 등이 있다.
9. 제주도
제주도는 우리나라 서남쪽에 자리잡은 가장 큰 섬이다. 쌀이 적게 나고 보리, 콩, 조, 메밀 등 잡곡과 고구마가 많으며 소, 말 등의 목축이 성하다. 수산 자원이 풍족한 제주도에서만 잡히는 옥돔, 자리돔, 전복 등은 감귤류와 함께 중요한 진상품이었다. 돼지고기와 닭고기, 생선을 이용하는 음식이 발달하였으며 소박하고 꾸밈이 없으며 음식을 많이 차리지 않는다. 간은 비교적 짠 편이고 회를 많이 먹는다. 김치는 풍족한 해산물을 원료로 한 전복김치, 동지김치, 해물김치, 나박김치 등이 있다.
Ⅸ. 김치의 외국 진출
김창업의 연행 일기에 한국의 김치와 동치미가 중국에 전래되어 먹히고 있다 하였으며, 계산 기정에도 통역관들의 집에서는 한국 김치 만드는 법을 배워 맛좋은 김치를 담가 먹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사신의 행로를 통하여 김치가 중구고가 일본에 약간이라도 파고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또 우리 나라의 개화기와 그 이후 한국을 왕래한 의사나 외교관들에 전파된 일도 있을 것이다. 한국에 와서 의사와 외교관으로 오래 살았던 미국인 알렌은 자기 집에서 김치를 담가 먹기도 하였는데 그의 저서인 [조선 견문]에 조선 김치는 무려 140가지나 되며, 다 익은 김치도 날야채와 같이 신선 감이 나고 마늘을 넣지 않은 김치는 담백한 맛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식의 외국 진출은 미미한 편이고 주된 보급 효과는 크게 나누어 중국, 소련, 하와이, 일본 그리고 미대륙 등으로의 이민을 통한 것이었다.
Ⅹ. 결론
김치가 없었더라면 우리는 무엇을 먹고 살아왔을까. 어느 민족에게나 그 민족을 대표하는 음식이 있다.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음식을 꼽으라면 대부분의 한국인은 밥과 김치를 선택할 것이다.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밥과 김치는 별개의 음식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둘이 함께 상에 올라야 그 의미가 제대로 살아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가끔 주변 사람들로부터 김치가 없이 밥을 먹으면 뭔가 허전해서, 먹어도 먹은 것 같지 않다는 말을 들으며 김치사랑을 확인하곤 한다.
흔히들 우리 민족의 특성이 은근과 끈기라고 말을 한다. 이는 김치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김치의 종류 중에는 담아서 금방 먹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김치는 담근 후 일정 기간을 숙성시킨다. 독 안에서 갖가지 재료들이 서로 어우러져 독특한 맛을 내기까지 참고 기다리는 과정이 바로 \"숙성\"이기 때문이다. 가장 맛있는 김치를 만들기 위해서 인내하는 이러한 태도는 우리 민족의 끈기 있는 생활태도를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김치의 여러 가지 아름다운 빛깔에서 우리 민족의 뛰어난 색채감각을 느낄 수 있다. 우리 민족은 감각적으로 매우 예민한 민족이다. 이는 우리말에 무수히 많은 감각어가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고춧가루가 유입되기 전에는 김치의 붉은 빛깔을 내기 위해 주로 천연물에서 그 재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맑고 고운 붉은색을 내기 위해 자주색 갓이나 장독가의 맨드라미를 이용했고 잇꽃의 추출물을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김치의 색깔도 다양하여 백색의 담백함을 연출하는 백김치, 진한 양념의 김장김치 등은 그 색상이 주는 매력만으로도 사람들의 구미를 돋우고 있다.
또 김치는 반찬 이상의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19세기 말 경의 문헌을 보면 \'솔잎을 썰어서 더운 물을 붓고 보통 김치와 같이 담근 송저(松菹) 한 그릇 먹으면 금방 배가 불러진다.\'라고 기술하고 있는데, 이는 김치가 기근에 대비하는 구황식품으로 애용되기도 하였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그리고 김치는 답답한 마음을 쓸어 내려주는 역할도 하였다. 삶의 어려움으로 가슴이 답답할 때, 물김치 한 그릇을 마시면 속이 후련해지는 경험을 하기도 하고, 음주 후에 목이 칼칼할 때, 까닭 없이 머리가 아플 때, 땅 속에서 퍼 온 시원한 동치미 한 그릇을 마시고 맑은 정신을 회복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빛깔이 고운 물김치는 정서적인 정화작용을 하기도 한다.

키워드

김치,   김장,   발효,   배추,   유산균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3.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