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DMB][지상파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방송환경][DMB]위성DMB, 지상파DMB의 특징, 위상과 위성DMB, 지상파DMB의 정책 과제 및 위성DMB, 지상파DMB의 향후 사업 전략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성DMB][지상파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방송환경][DMB]위성DMB, 지상파DMB의 특징, 위상과 위성DMB, 지상파DMB의 정책 과제 및 위성DMB, 지상파DMB의 향후 사업 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DMB 도입 정책목표 및 기본방향

Ⅲ. DMB의 매체적 특성
1. 개인화된 텔레비전으로서 DMB
2.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
3. 방송형 디지털 서비스의 현황

Ⅳ. DMB의 현황과 경과 개괄

Ⅴ. 지상파 DMB의 매체적 위상정립
1. 지상파 DMB의 매체적 위상
2. 지상파 DMB의 위상정립 방향

Ⅵ. 위성 DMB의 특성과 시장구조
1. 기술적 특성
2. 매체적 특성
3. 수용자
4. 사업자 현황
5. 서비스 구성
6. 마케팅 관련 쟁점
7. 기술표준 문제
8. 연동형 서비스

Ⅶ. DMB 도입 정책논리 비판
1. 국가주도적 도입정책의 문제
2. 도입논리의 취약성 문제
3. 공급 위주의 도입정책 문제

Ⅷ. 위성 DMB와 지상 DMB의 매체정책 과제
1. 허가 절차와 과정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 소유권 문제와 진입규제완화
3. 지상파 재송신 문제
4. 지상파 DMB 도입과 매체정책 과제
1) 사업자 구도
2) 프로그램 편성
3) 신문사와 대기업 진입 배제 문제
4) 방송 평가시스템과 포지티브시스템 적용

Ⅸ. 향후 정책방안과 사업전략
1. 지역지상파 DMB에 대한 사회적 의견 검토
2. 방송권역과 사업자 구성방안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판단된다. 강원권과 제주권이 인구 규모와 경제력이 이에 못미치지만, 수도권 인구의 유동성이 높은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별도의 권역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안으로는 6개권역방안과 8개 권역방안을 복수로 제시하고자 한다.
6개 권역방안은 어느 정도 규모의 경제논리와 지역성을 조화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중그랜드 광역화로 어느 정도의 사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채널당 3개의 멀티플랙스 사업자군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수도권 지상파 DMB사업자 선정방안과 동일성을 유지하는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지역방송으로서는 이마저도 기존권역을 급격하게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성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기존의 지역방송권역과 보조를 맞추는 것에 초점을 두는 8개의 행정구역 유지 내지 확대된 행정구역 방안을 들 수 있다. 이는 이해당사자인 지역방송협의회는 8-12개의 권역 획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을 고려한 절충안이다. 스카이라이프 재송신에서 KBS는 12개 권역으로 획정하였고, 지역민방도 1도1사를 원칙으로 획정되어 있다. 8개 권역안의 단점으로는 대구/경북권, 부산/경남권을 제외하고는 경제적인 여건이나 시장수요를 감안할 때 수익 모델 창출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수익모델 창출이 어려운 것을 감안하여 권역내 사업자 구성을 1개의 그랜드 사업자군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통하여 사업성을 확보하고 중계망 구축 등을 용이하게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지역내의 같은 방송사내에서도 합종연횡과 주도권 다툼이 불가피하다고 볼 때 KBS, MBC와 지역민방이 동시에 그랜드 사업자군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회의론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개 권역안을 유지하면서 사업성을 동시에 담보하고자 한다면 원 그랜드사업자군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8개권역과 3개의 멀티플랙스 사업자군은 공동중계망이나 네트워크 체제 구축 등 여러 가지 현실타개책에도 불구하고 사업성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Ⅹ. 결론
새로운 방송 매체가 등장할 때마다 그와 관련된 방송 서비스의 특성과 방송사업자 구도, 그러한 매체가 기존의 방송구조나 방송시장에 미칠 영향, 그리고 이에 대한 정책 및 규제방안 등에 대해 깊은 관심과 함께 많은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지상파DMB와 위성DMB라는 새로운 방송 서비스도 예외는 아니라고 하겠다. 방송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보면, 이들 매체는 과거의 매체와는 또다른 특성을 갖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양자는 이동수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방송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송과 통신의 융합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매체의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 DMB 도입은 현 단계에서 다분히 실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지상파DMB를 통한 비디오 서비스는 아직 기술적인 검증이 완료된 단계가 아니다. 지상파라디오방송의 디지털 전환 문제가 갑자기 이동수신형 동영상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논리로 비약된 감이 없잖아 있다. 논의의 초점이 급선회하면서 멀티미디어 방송으로서 전혀 새로운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미 서비스 일정이 잡혀 있고, 사업자 선정도 조만간 이루어질 것이다. 초기에는 오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겠지만, 지상파DMB의 궁극적인 관심은 비디오 서비스 쪽에 두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 단계의 실험적인 성격을 벗어나 조기에 상용화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기를 바랄 뿐이다. 무료로 동영상을 이동 수신할 수 있게 된다면 시청자의 입장에서도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다. 또한 어떤 사업자가 선정되든지간에, 그리고 어떤 PP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든지간에 ‘신규서비스’로서의 지상파DMB가 기존 매체 또는 채널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기존 국내 방송시장의 왜곡된 구조를 개선하는 방향에서 사업자 구도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위성DMB 역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어느 나라에서도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동영상 이동수신 매체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실험적인 선택의 하나임에 분명하다. 개인 휴대 단말을 통해 다수의 비디오 채널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시청자 입장에서도 역시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다. 다만 다수의 새로운 채널을 채우게 될 컨텐츠를 어디서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향후 위성DMB사업의 핵심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유료 서비스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사업의 성패는 채널과 컨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선택 여부에 달려 있게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역시 기존 매체와는 차별화되면서 이용자 유인이 가능한 채널 구성과 컨텐츠 확보에 각별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만신/2003, DMB 도입과 기술현황, 방송연구
박창신/2003, 창간특집-DMB·모바일환경 멀티세상 현실로, 디지털 타임즈
디지털 방송추진위원회 종합보고서/2000, 방송위원회
심상민/2003, DMB 컨텐츠 육성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DMB 도입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방송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문
이광직/2000, DAB의 기술적 특성 및 정책방향, 방송연구
이재현/2005, DMB 미디어의 특성과 콘텐츠 정책방향, 미디어 융합시대 DMB 콘텐츠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방송진흥토론회
주정민/2003, 지상파 DMB 서비스 도입과 매체간 위상정립 방안, 지상파 DMB 서비스의 시장과 정책,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주최 학술세미나 발제논문
정윤식 외/2003, 위성DMB서비스의 제도와 정책방향, 위성DMB연구, 한국언론학회
주정민/2003, 현장점검 : 위성 DAB를 둘러싼 논쟁, 신문과 방송, 서울: 한국언론재단
정용준/2005, DMB 정책 비판과 콘텐츠 진흥정책, 미디어 융합시대 DMB 콘텐츠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방송진흥토론회
SK Telecom/2003, 위성DAB 해외 정책 동향, SKT 자료집
SKT 보고서/2002, PMSB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요예측 및 타 상품과의 상호 연계성에 관한 연구보고서
  • 가격7,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8.06.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1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