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벌정책의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의미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북벌론의 역사적 배경 및 전개
1. 인조대의 정국 동향
2. 효종의 즉위와 반청론의 전개
(1) 효종의 즉위
(2) 반청론의 전개
3. 효종의 북벌정책 추진과 신료들의 반대

Ⅲ. 효종의 왕권강화 및 북벌정책
1. 효종의 왕권강화 모색
2. 북벌정책

Ⅳ. 사림의 대두와 북벌 추진에 대한 정치적 의미
1. 왕권의 강화와 사림의 견제
2. 효종과 송시열의 갈등

Ⅴ.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산림세력의 국정운영론은 근본적 개혁이 아니라, 운영의 개선을 중심으로 한 更張論的 특징을 지닌 것이었다. 다시 말해 산림을 앞세운 士族 위주의 점진적 개량주의적 성향의 국정운영론 이었던 것이다.
) 鄭萬祚 《17世紀 中葉 山林勢力(山黨)의 國政運營論》한국사학논총 1992.
반면에 효종은 군비의 확장을 통하여 급진적으로 북벌을 추진하였는데, 이는 산림이 의도하는 국정운영론의 기본 성격과 근본적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송시열의 속뜻은 효종의 독단적인 군사력 강화 즉 왕권의 강화를 견제하여 사림정치를 구현하는 데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우암의 정국 주도기에 효종 전반기의 북벌총책으로서 실제적인 군사정책에 활약했던 원두표·이완 등의 주요 북벌 인사가 제 기능을 잃게 된 점, 무신세력이 정치 일선에서 소외된 점, 被罪된 인사들이 복직 된 점에서도 알 수 있다.
) 이경찬 〈조선 효종조의 북벌운동〉《청계사학》5. 1988
그의 정국 주도기간에는 군비확충을 통한 효종식의 북벌사업은 접고, 春秋學的 義理精神에 바탕을 둔 관념적인 북벌이 강조되었으며, 자파의 세력강화가 이루어졌던 것이다.
송시열은 효종 말년에 비중있게 정치에 참여함으로써 효종이 의욕을 가지고 추진하는 북벌사업에 관여하고 권력을 장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리학적 정치이념을 실현하여 사림정치를 구현하는데 그의 본래 의도가 있다고 하겠다.
Ⅴ. 결론
명분과 의리를 중요시하는 주자학이 숭상되는 조선에서 왕위계승의 정통성 결함이라는 약점을 안은채 즉위한 효종에게 왕권의 강화는 무엇보다 시급한 문제였고, 이러한 효종에게 북벌은 하나의 명분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명분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세력이 송시열로 대표되는 반청적 사림세력이었다. 그러나 君臣의 共治를 통한 道學政治의 완성을 추구하는 사림의 입장으로서는 효종의 북벌에 단지 이념적 명분을 제공할 뿐 왕권의 강화를 위해 군비확충을 앞세운 현실적인 북벌에는 반대할 수 밖에 없었다. 송시열의 북벌론은 治人을 강조하는 효종에 대해 修身이라는 보다 근본적이고 명분적인 입장에서 추구된 것으로써,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준비에 비중을 두기 보다는 君王의 德業을 함양하고 養民하는 데에 치중한 것이었다. 이는 가시적이고 급진적인 군사적 북벌을 추진시켰던 효종의 그것과는 그 성격이 확연히 구분되는 것이었다. 즉 효종은 북벌의 이면에 군사력의 강화를 통한 강력한 군주권을 확립하고자 하였던 것이고, 이에 대해 송시열은 道學의 실천을 강조하여 왕권을 견제하고자 했던 것이다. 실제로 효종 말년에 정치에 참여했던 송시열의 진의는 왕의 측근에서 왕권을 견제하고 성리학적 정치이념을 구현해서 사림정치를 완성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참고 문헌
이영춘(1998).『朝鮮後期 王位繼承 硏究』 서울: 집문당
이덕일(2000).『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서울: 김영사
최순권(1999).『한국인의 역사의식』 서울: 청년사
이이화(2001).『당쟁과 정변의 소용돌이』 서울: 한길사
이기순(1998).『仁祖·孝宗代 政治史 硏究』 서울: 국학자료원
오항녕(1993).「朝鮮 孝宗代 政局의 變動과 그 性格」『태동고전연구』제9집 남양주:태동고전연구소
우인수(1990).「조선효종대 북벌정책과 산림」『역사교육논집』15집 대구: 역사교육학회
최완기(2000).「17세기의 위기론과 효종의 경제정책」『국사관논총』제86집 과천:국사편찬위원회
우인수(1991).「조선 인조대 정국의 동향과 산림의 역할」『대구사학』제41집 대구:대구사학회
오수창(1985).「仁祖代 政治勢力의 動向」『韓國史論』13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오수창(1991).「인조조의 반정공신세력에 관한 연구의 분석」『역사비평』13 역사비평사
이기남(1990).「光海朝 政治勢力의 構造와 變動」『北岳史論』2, 서울:국민대 국사학과
이기순(1984).「侍講院을 통해본 仁祖·孝宗朝의 西人勢力 形成에 관한 硏究」韓國精神文化硏究院 附屬大學院 碩士學位論文
이재철(1994).「孝宗代 備邊司의 運營과 性格」『국사관논총』제57집 과천:국사편찬위원회
심민식(1987).「孝宗朝 北伐論의 成立過程에 대한 硏究」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碩士論文
이경찬(1988).「조선 효종조의 북벌운동」『청계사학』5 성남: 청계사학회
이이화(1975).「북벌론의 사상사적 검토」『창작과 비평』第10卷 4號 서울:창작과 비평사
이영춘(1984).「尤庵 宋時烈의 政治思想 硏究-尊周·北伐論을 中心으로-」 韓國精神文化硏究院附屬大學院 碩士論文
조종업(1979).「북벌과 춘추대의」『백제연구』제10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권오돈(1973).「북벌대의-우암 송시열선생을 중심으로」『사문논총』1집 서울:사문학회
김준석(1988).「17세기 畿湖朱子學의 동향-송시열의「도통」계승운동-」『孫寶基박사 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 서울: 지식산업사
이장희(1992).「尤庵 宋時烈思想에 관한 一考」『우암선생 300주기기념 우암사상연구논총』서울: 사문學會
최창규(1979).「우암학의 민족사적 재정립-조선조 도학과 한국학의 정파」『백제연구』제10집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이명학(1990).「北伐論과 비판의식-관련 야담을 중심으로」『대동문화연구』제25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정만조(1993).「朝鮮時代의 士林政治」『韓國史上의 정치형태』일조각
정만조(1992).「17세기중엽 山林勢力(山黨)의 국정운영론」『한국사학논총』일조각
이태진(1990).「조선왕조의 유교정치와 왕권」『한국사론』23 서울대 국사학과
최이돈(1997).「사림언론과 중앙정치 」『역사비평』37 서울:역사비평사
최창규(1973).「조선조유학과 한민족의 주체성-그 정치사상적 측면을중심으로」『사문논총』1집 서울:사문학회
송찬식(1978).「조선조 사림정치의 권력구조-전랑과 삼사를 중심으로」『경제사학』2 서울:서울문화사
이이화(1986).「조선조 당론의 전개과정과 그 계보」『조선후기의 정치사상과 사회변동』서울:한길사
이영춘(1991).「服制禮訟과 政局變動 - 제2차예송을 중심으로」『국사관논총』제22집 과천: 국사 편찬위원회
정옥자(1989).「17세기 사상계의 再編과 禮論」『한국문화』10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오종록(2001).「조선시대의 왕」『역사비평』54 서울: 역사비평사
  • 가격2,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8.18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