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잡학교육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잡학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잡과 교육의 형성과 발달
나) 잡과 교육의 형태
1) 역과교육(譯科敎育 : 外國語敎育)
2) 의과 교육(醫科敎育)
3) 무과 교육(武科敎育)
4) 율학 교육(律學敎育)
5) 산학 교육(算學敎育)
6) 자학 교육(字學敎育)
7) 유학 교육(儒學敎育)
8) 이학 교육(吏學敎育)
9) 음악 교육(音樂敎育)
10) 화학 교육(畵學敎育)
11) 음양학 교육(陰陽學敎育 : 天文學)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를 발전시키고 유지하기 위하여 점성과 천문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의 세종을 비롯한 역대의 군왕이 천문학에 관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이러한 연유이다. 조선 초기부터 중국의 역법(曆法)을 수정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역법(세조 때의 七政算內篇)을 제작하고, 기상을 관측하며, 강우량을 측정하는 등의 사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업무를 관장하는 기관으로 관상감(觀象監)을 설치하였다. 관상감은 천문 지리(풍수설), 역수(曆數 : 일월 운행의 도수를 계산하여 역서를 만드는 일), 점산(占算), 각루(刻漏 : 물시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다. 관상감의 관리자는 영사(領事 : 정 1 품관으로 영의정이 겸임한다), 주부(注簿)가 있다.
참고문헌
金英宇·皮貞晩 共著, 最新 韓國敎育史 硏究, 敎育科學社

키워드

조선시대,   잡학,   교육,   잡과,   조선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8.09.10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