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를 중심으로 글에 내재된 의미 찾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읽기 이론
1. 읽기관
2. 읽기의 과정 모형
3. 읽기 지도 모형
(1) DRA(Directed Reading Activity)
(2) DRTA(Directed Reading Thinking Activity)
(3) GRP( Guided Reading Procedure)
4. 직접 교수법
5. SQ3R 모형

Ⅲ. 7차 교육과정에서의 ‘비판적 읽기’ 분석 및 이에 대한 보충
1. 읽기 교육 과정 - ‘비판적 읽기’를 중심으로-
2. 교육과정의 상세화 -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3.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문제점
4. 교육과정의 보충으로서 - 글에 내재된 의미

Ⅳ. 수업모형
1. 대상
2. 수업 목표
3. 모형 개관
(1) 읽기 전 활동
(2) 읽기 활동
(3) 읽기 후 활동

Ⅴ. 한계 및 토론점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금을 모으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두 말 없이 죽은 아들의 위로금을 쾌척했다. 5년이 지나면서 이자가 붙어 위로금은 어느 새 5천700만원으로 불어 있었다. 박씨는 "아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좋은 일에 쓰이길 바란다"면서 입술을 깨물었다. 안동시는 박씨가 맡긴 장학금을 준우군처럼 의롭고 성실한 인재를 키워내는데 쓸 계획이다.
(연합뉴스, 2008.7.16)
♣ 신문이나 광고 등을 하나씩 찾아서, 오늘 학습한 내용에 초점을 맞춰 읽어보자.
Ⅴ. 한계 및 토론점
지금까지 글에 내재된 의미에 대한 인식이 현행 읽기 과정에서 빠져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이를 통해 ‘비판적 읽기’ 수업을 고안해 보았다.
우선, 본고의 수업은 학습자의 사전 지식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우리가 고안한 수업의 초점은 어휘 자체의 교육이 아니라 어휘의 의미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는 학습자가 실제 읽기 과정에서 이를 기반으로 글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며, 비판적으로 읽는 것이다. 때문에 학습자가 어휘 자체의 의미를 모르거나 단어와 문장의 용법이나 용례에 대한 지식이 낮다면 학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에서, 수준이 높은 글보다는 조금 더 일반적이고 학습자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텍스트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는데, 우리가 의도한, 글에 내재된 의미를 찾으며 비판적으로 읽기는 고차원적이고 수준 높은 텍스트를 읽으면서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를 연계한 교육 내용이 상위 학년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도 생긴다.
또한 우리가 읽기 자료로 제시한 글들은 대부분이 신문기사인데, 같은 사건을 다룬 다양한 글들을 제시하면 학생들이 이를 비교해보면서 학습 목표에 보다 수월하게 도달할 수 있다는 생각에 선택하였다. 하지만 우리가 논의한 비판적 읽기는 단순히 신문기사에만 국한하는 읽기가 아니다. 때문에 다른 장르, 특히 문학 장르에서 이러한 교육이 어떻게 가능할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할 것이다.
어떠한 글을 읽음에 있어 글에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보다 고차원적인 읽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읽기는 수많은 매체가 뒤엉켜있고, 다양한 의견과 가치관들이 공존하는 현대 사회의 특성 상 중요하고도 필수적인 것이다. 하지만 이를 국어 교육의 장으로 끌어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았다. 글에 내재된 의미 파악은 사회 문화적인 가치에 의해 좌우되며 무엇보다 상당히 미묘한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수업으로 구체화 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나마 어휘는 정확하게 구분이 가능하기에 조금 수월했으나 이를 문장, 문단 단위로 확대하면 무척이나 까다롭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특성상 어미나 조사에 따라 의미가 미묘하게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사실을 나타냄에 있어서도 어느 부분을 강조하느냐, 어떤 내용이 글에서 가장 긴 부분을 차지하는가, 부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가 아닌가 등에 따라서도 글에서 배경화된 메시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교육내용으로 체계화하고 구체화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독자는 언제 글의 의미를 파악하는지, 글이 이해되는 그 순간은 도대체 어디쯤에 있는지, 배경지식은 언제, 어떻게, 읽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 글을 읽는 과정에서 독자의 머리 속에 어떠한 일들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설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고, 때문에 자꾸만 명시적으로 보이는 것들에 대한 교육이 중심을 이루게 되는 것 같다. 그리고 그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읽어봐, 경험해봐’라는 말밖에 할 수 없는 것이 현행 읽기 교육의 모습이 아닐까. 조금 더 많은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읽기 과정이 세분화되고, 분석적으로 쪼개어져서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읽기 교육의 범주를 규정한 다음의 표를 참고로 하여, 현행 교육과정에서 얼마나 읽기를 국한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앞으로 더 연구되고 고려되어야 할 점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렇다면 과연 그것이 어떻게 구체화 될 수 있을지에 대해 같이 고민해 보았으면 한다.
<읽기 교육의 범주> 김봉순(2002), 「균형있는 읽기 교육의 가능성」, 『국어교육학연구』15, 국어교육학회.
텍스트에서
현실로
독자세계로
내용에 대하여
내용파악하기
비판하기
의사결정하기
언어에 대하여
언어 표현의 방법 파악하기
적절성과 효과 평가하기
언어에 대한 판단하기
필자에 대하여
중심내용 통해 필자의 이미지 형성하기
필자의 신뢰도, 가치관, 성향 등 분석하고 평가하기
필자에 대한 판단하기
독해 전략에 대하여
독해 전략 발견하기와 적용하기
독해 전략 사용 평가하기
독해 전략에 대한 판단하기
Ⅵ. 참고자료
교육부(2001), 『고등 학교 교육과정 해설 - 국어 - 』, 대한교과서.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 국어, 도덕, 사회 』, 대한교과서.
교육부(2001), 중학교 1~3학년 국어 교과서, 대한교과서.
박수자(2001),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영목 외(2001), 『국어과 교수 학습론』, 교학사.
이삼형 외(2007), 『국어교육학과 사고』, 역락.
정기철(2000), 『읽기 지도의 이론과 실제』, 역락.
한철우 외(2001), 『과정 중심 독서 지도』, 교학사.
Gary D. Borich, 박승배 외 공역(2006), 『효과적인 교수법』, 아카데미프레스.
H. Douglas Brown , 이흥수 등 옮김(200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2007,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
김봉순(2002), 「균형있는 읽기 교육의 가능성」, 『국어교육학연구』15, 국어교육학회.
김봉순(1999), 「신문기사에 반영된 필자의 주관성」,『텍스트 언어학』7,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혜정(2002),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봉순, 2007년 1학기 독서교육론 강의 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