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 교육의 과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휘 교육의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인간의 언어 활동과 어휘

Ⅱ. 국어교육과 어휘

Ⅲ. 어휘 교육의 의의
(1) 어휘의 학습은 일생 계속된다.
(2) 어휘는 문화 자산이다.
(3) 어휘는 지식이다.
(4) 어휘력은 사고 능력이다.
(5) 어휘가 표현의 수준을 결정한다.
(6) 어휘는 신개념의 공급원이다.
(7) 어휘는 문화 유산이다.

Ⅳ. 어휘 교육의 내용

Ⅴ. 어휘교육의 방법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형태적 정보의 활용 능력
│- 문맥적 정보의 활용 능력
└ 어휘 구사 능력
- 관습적 용법의 구사 능력
- 개성적 용법의 구사 능력
사전적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은 단어의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의미인 사전적 의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지도 방법은 어휘의 개념을 설명하거나, 사전 사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어휘의 화용적 특성과 연계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어휘 사용의 양상을 담아내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전적 정보는 어휘에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에, 언어 이해 과정에서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추론하는 단서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형태적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은 접두사나 접미사 등의 형태적 자질들을 이용하여 단어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확장적으로 적용한다면, 국어 어휘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복합어나 파생어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나, 구성 요소들의 단순 합이 단어 의미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어휘 의미를 잘못 유추하게 될 위험성이 있다.
다음으로 문맥적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은 단어 의미를 획득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연관되어 있다. 문맥 내의 풍부한 정보들은 단어 의미의 원활한 추론을 가능하게 할 것이나, 문맥적 정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갖추지 못하거나, 문맥이 구체화되지 않은 문장의 경우 어휘 의미 파악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난점이 있다. 우선적으로 문맥적 정보의 활용 전략을 구안해야 할 필요성이 여기에서 제기된다.
어휘 구사 능력 중 관습적 용법을 구사하는 능력은 언어 사회의 일상적인 언어 용법(usage)을 활용하는 것이다. Cruse(1986)가 지적한 것처럼, 낱말은 다른 낱말과 친밀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친밀성은 통합적 친밀성과 계열적 친밀성으로 나뉘는데, 관습적 용법을 구사하는 것은 통합적으로 친밀성이 높은 어휘들을 연합시켜 나가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밥’이라는 단어는 ‘먹다, 하다, 짓다, 맛있다’ 등의 단어들과 통합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무척 높다. 이러한 면에 초점을 맞추어 어휘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어휘 용법의 조사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되며, 어휘들간의 친밀성의 정도를 매기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어휘들의 연어 사전도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개성적 용법을 구사하는 능력은 친밀성이 낮은 두 어휘들을 연합시켜, 사회적으로 용인 가능한 언어 표현들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울음’, ‘타다’, ‘가을’, ‘강’이라는 어휘들은 통합적인 친밀성이 낮지만, 작가는 이들 어휘들을 이용하여, ‘울음이 타는 가을 강’이라는 개성적인 표현을 만들어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문학적인 언어 사용들이 개성적이고 창조적인 언어 사용의 전범으로 여겨지지만, 일상적인 언어에도 이와 같은 측면은 충분히 담겨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개성적인 표현들을 산출하게 하는 기제는 표현자의 의도, 표현 대상의 속성, 어휘의 통사 방식 등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어휘 교육은 표현력 신장을 전적으로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력 신장에 부분적으로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어휘 교육을 통한 표현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어휘의 의미 자질 확인 및, 자유 연상 과정을 통한 어휘 의미 자질의 활성화 그리고, 어휘간의 의미 자질의 공통점을 추출할 수 있는 전략이 동원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김광해(1988), 이차 어휘의 교육에 대하여, 선청어문 1617 합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김광해(1993), 국어어휘론개설, 집문당.
김광해(1997), 어휘력과 어휘력의 평가, 선청어문 25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김용석(1991), 어휘 지도에 대하여, 모국어교육 9집, 모국어교육학회.
김용현(1997), 의미 지도 그리기를 통한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교원대 석사학위논문.
김철남(1997), 우리말 어휘소 되기, 한국문화사.
김현숙(1994), 효율적인 어휘 지도 방안 연구, 교원대 석사학위논문.
노명완박영목권경안(1988), 국어과교육론, 갑을출판사.
마광호(1992), 국어교육의 내용 설정을 위한 일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수자(1998), 사고, 지식, 어휘의 교육적 함의, 국어교육 연구과제의 탐색, 국어교육학회 ‘98학술 자료집.
박영목한철우윤희원(1996), 국어교육학원론, 교학사.
서희정(1995), 어휘 지도 방법의 고찰 - 중 1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손영애(1992), 국어 어휘 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 한자 이용 여부를 중심으로 -,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오미향(1993), 어휘 의미 지도에 관한 연구 - 국민학교 국어과 교육을 중심으로 -,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이성영(1991), 국어교육의 내용 설정 및 그 구조화 가능성 탐색, 「국어교육학연구」 제1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회,
이성영(1995), 국어교육 내용의 구조, 국어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영숙(1996), 국어과 지도 대상 어휘의 선정 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이용주(1990), 언어단위에 대하여, 국어교육 6970,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정인숙(1995), 독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지도 연구 - 문맥적 실마리에 의거한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최영환(1993), 합성 명사의 지도에 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최웅환(1998), 어휘력 평가의 현황, 98 학술발표회 자료집,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I.S.P Nation,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Heinle & Heinle Publishers.
John R. Taylor(1995), Linguistic Categor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 조명원나익주 옮김(1997). 한국문화사.
Margaret G. McKewonMary E. Curtis ed.(1987), The Nature of Vocabulary Acquis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10.16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