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해석학이론][해석학의 개념][해석학의 분류][물음과 대화의 해석학][학문으로서의 해석학]해석학의 개념, 해석학의 분류, 물음과 대화의 해석학, 학문으로서의 해석학 분석(해석학, 해석학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석학][해석학이론][해석학의 개념][해석학의 분류][물음과 대화의 해석학][학문으로서의 해석학]해석학의 개념, 해석학의 분류, 물음과 대화의 해석학, 학문으로서의 해석학 분석(해석학, 해석학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해석학의 개념

Ⅲ. 해석학의 분류
1. 일반적 해석 이론(hermeneutical theory)
2. 철학적 해석학(philosophical hermeneutics)
3. 비판적 해석학(critical hermeneutics)

Ⅳ. 물음과 대화의 해석학

Ⅴ. 학문으로서의 해석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제는 이해가 그 자체로 생겨난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며 그 목표를 오해가 회피되어야 한다고 부정적으로 표현한다(HF 92). 이해가 자동적으로 일어나며 이해가 되지 않는 어려운 경우는 특수한 경우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이해의 기술은 이런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의 특수한 경우는 특수한 영역에서만 발견된다. 신학 해석학과 법률 해석학은 이렇게 발생하며 문헌학자도 오로지 특수한 목적만을 염두에 둔다. 특수 해석학은 이해의 특수한 경우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며, 따라서 그것은 그때마다 주어지는 다양한 이해의 문제를 상황에 따라 해결하는 경험적인 관찰의 집합 이상이 아니다. 특수 해석학은 관찰이라는 경험적 부분에 의존하기 때문에 엄격한 과학적(scientifisch) 형식의 능력이 적다. 그것은 또한 처음에는 규칙에 대한 아무런 숙고 없이 이루어지다가 개별적인 경우에만 규칙으로 도피하는 불균형적인 방법이다.(HF 76, 강조는 필자의 것) 경험적 관찰 의존성과 규칙 적용의 불균형성은 이해를 특수한 영역에 묶어 놓는다. 그러나 특수 해석학의 이런 두 가지 특징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그 가운데는 그것이 의존하는 보편적인 토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무런 이해의 기술 없어도 이해가 자동적으로 가능하다면 이해의 난점이 발생하지 말아야 할 것이며, 임의적인 이해의 난점을 해소하는 특수한 기술이 이 난점과 관련이 있는 전후 맥락에서 얻어진다면 특수한 기술은 어떻게든 그것이 적용되는 특수한 영역 너머의 보편적 토대에 의존하고 있다. 특수한 문제의 해결은 표면적으로 특수한 기술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실제로 전체의 연관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종래 해석학의 학문성 결여는 결국 이해의 실제를 모든 경우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해석 원리의 부재에 기인한다. 슐라이어마허의 보편적 해석학은 해석학을 경험적인 관찰의 집합이라는 특수한 영역을 넘어서서, 그리고 개별적인 규칙 적용이라는 불균형성을 넘어서서 모든 해석의 경우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해의 원리를 마련하려고 한다. 학문으로서의 해석학에서 해석학의 보편적 원리는 필연적이다. 학문의 부흥 이래로 해석 작업이 해석의 원리를 더 많이 다룰수록 그것은 모든 측면의 정신적인 발전에 더 많이 기여했다 (HF 234)고 평가하는 슐라이어마허는 자신의 보편적 해석학 기획을 통해 해석학의 전혀 새로운 발전을 시도한 것이다.
보편적 해석학을 가능하게 하는 기준은 이해 방식의 보편성, 규칙성, 균형성에서 찾아진다. 이것은 이해 방식의 특수성과 불규칙성과 불균형성을 포함하며 이를 넘어선다. 이것은 종래의 특수 해석학에서는 발견될 수 없는 것으로서 이해 대상의 상이성과 무관하게, 그리고 이해의 상황과 상관없이 어떤 이해의 장에서도 요구된다. 이해는, 그것이 그 자체로 생겨난다는 느슨한 이해의 실제를 넘어서서 오로지 오해가 생겨나고 이해가 모든 점에서 의욕되고 추구되어야 한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는 엄격한 이해의 실제에 들어서야 하는 것이다.(HF 92) 엄격한 이해의 실제를 규정함으로써 이해 자체가 규명될 뿐 아니라 오해의 근거가 밝혀진다. 더 나아가 오해의 근거가 오해가 생겨난 특수한 상황에서만 밝혀지는 것이 아니라 이해 일반과 관련하여 밝혀진다. 이른바 기술에 부합하는(kunstgerecht) 이해의 실제와 기술 없는(kunstlos) 이해의 실제는 이해와 오해의 근거를 보편적으로 밝힘으로써 구별되는 것이다.
슐라이어마허가 이해의 실제를 두 가지로 구별한다는 점은 그의 해석학 이론이 이론을 위한 이론이 아니라 이해의 사실이 갖는 난제를 실제적으로 드러내고 해결하려고 한다는 사실을 지시한다. 여기에 실제와 이론의 교차가 있으며 특수와 보편의 만남이 있다. 진정한 보편성은 이들 두 축의 일방적 수렴에 있지 않고 그 상호성과 교차성에 있다. 이 점은 그의 철학 일반이 딛고 서 있는 균형성이며, 이러한 균형성은 슐라이어마허 철학에서 실재론과 관념론의 상호성으로 구체화될 때 정점에 이른다. 보편적 해석학의 학문성은 해석학 영역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슐라이어마허 철학 일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참고문헌
리차드팔머, 해석학이란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01
슐라이마이허, 해석학과 비평, 철학과 현실사, 2000
조셉 블라이허, 권순홍, 현대 해석학, 한마당, 1983
한스·게오르그 가다머, 이길우이건관임호일한동원 역, 진리와 방법 Ⅰ, 문학동네, 2000
후프나겔, 해석학의 이해, 서광사, 1995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