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설계] 물의 순환과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 및 대운하에 대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자원설계] 물의 순환과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 및 대운하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물의 순환
1) 물의 개요
2) 물의 순환
3) 물의 순환 과정
4) 물의 순환과 에너지
5) 지구상의 물의 분포

2. 우리나라 하천에 특성
1) 우리나라 하천의 일반적 특색
2) 우리나라의 유황

3. 대운하
1) 운하의 정의
2) 대륙운하
3) 해외의 대륙운하
4) 경부운하
5)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구상

본문내용

나, 오늘날에도 다량의 물자를 저렴하게 수송할 수 있는 교통로라는 이점 때문에 그 개발이 추진되는 예가 적지 않다.
3) 해외의 대륙운하
현재 크게 이용되고 있는 주요 내륙운하로는 서부 유럽에서는 라인강과 엘베강을 잇는 독일의 미텔란트 운하, 독일의 루르지방과 프랑스의 로렌지방을 잇는 모젤운하, 라인강과 도나우강을 잇는 루트비히스운하 등을 들 수 있고, 러시아에서는 볼가강과 돈강을 잇는 볼가-돈운하를 들 수 있으며, 북아메리카에서는 슈피리어호 (湖)와 휴런호를 잇는 수세인트마리운하, 허드 슨강과 이리호를 잇는 이리운하, 이리호와 온 테리오호를 잇는 웰랜드운하, 미시간호와 미시 시피강을 잇는 일리노이운하 등을 들 수 있다. 독일에서는 지난 1992년, 라인·마인강과 다뉴브 강을 연결하는171km의 운하를 개통하여 북해와 흑해간의 유럽대륙을 관통하는 총 3,500㎞의 물길을 연결하였는데 이 운하는 폭55m, 평균수심 4m로 건설되고 교량122개, 수문 59개가 설치되었으며, 총 공사비로는 61억 마르크(약3조5천억 원)가 소요되었다.
4) 경부운하
최근 경부운하는 한반도 대운하와 연계되어 발표되고 있다. 먼저 한강과 낙동강을 잇는 경부 운하를 만들고 이어 영산강과 금강을 연결하는 호남 운하를 건설한 다음 이를 서로 연결, 여기에 전국 각지의 지선들을 연결하고 통일 후에는 북한 신의주까지 물길을 이어 한반도 대운하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경부운하의 총 길이는 550∼600km로 예상된다. 경부운하 건설의 핵심은 물길이 없는 낙동강 상류와 남한강 상류를 잇기 위한 인공수로를 만드는 것인데 두 하천을 연결하려면 30km 안팎의 인공수로가 필요하며, 두 하천의 수위 차(110∼120m)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수로 양끝에는 배를 끌어올리고 내릴 갑문을 설치할 계획이다. 인공수로는 25km 안팎의 터널과 5km가량의 교량 형태로 건설된다. 터널은 낙동강 상류인 경북 문경시 마성면과 남한강 상류인 충북 괴산군 장연면을 연결하며, 충주호와 별도로 만든 저수지에서 야간 전력을 이용해 퍼올린 물을 인공수로에 공급한다. 또 한강과 낙동강의 댐 양안에는 별도의 수로를 만들고 갑문을 설치해 배가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갑문이 경부운하에만 15개 가량 필요하게 된다. 운하의 평균 수심은 6m, 강폭은 100m로 계획되고 있는데 화물을 실어 나르는 바지선은 수심이 3.5m 정도면 문제없지만 유람선도 다닐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심을 6m로 만들 계획이다. 예상되는 공사기간은 4년이며, 건설비용은15조 원 정도의 민자 유치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5)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구상
이명박 대통령이 독일 현지에서 공개한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는 한반도 물줄기를 하나로 잇는 대역사다. 이 대통령이 15대 국회의원 시절이었던 1996년 7월부터 구상해온 프로젝트는 경부운하(가칭)와 호남운하,북한운하 등 3개 운하를 건설,하나로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경제성 논란 끝에 공사가 잠정 중단돼 있는 경인운하도 포함된다.
프로젝트는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경부운하 건설이 핵심으로 총 연장 553㎞의 대수로를 만드는 사업이다. 문경새재 부근 조령의 해발 140m 지점에 20.5㎞의 터널을 건설하고 터널 양쪽에 두 강의 수위를 맞춰주는 갑문을 건설,물길을 연결한다.물길의 경부고속도로인 셈이다.
총 연장 200㎞의 호남운하는 영산강 하구와 금강을 거쳐 경부운하로 연결되며,북한운하는 2가지 연결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예성강과 대동강,청천강을 이어 신의주까지 수로를 연결하는 방법과 임진강부터 예성강을 연결,원산까지 수로를 연결하는 안이다.
이 대통령이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를 강조하는 이유는 물류비용 절감,국토균형 발전,수자원 보존 및 효율적 이용,관광산업 발달 등 파급효과가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반도 대운하가 들어서면 한국 경제가 제2의 도약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이 이 대통령의 생각이다.
경부운하가 건설되면 5000t급 바지선이 부산에서 강화도까지 왕래하게 돼 물류비용이 지금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고,한강 유역의 빈번한 홍수 발생
과 낙동강 유역의 물 부족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운하통과 지역을 중심으로 선착장과 물류터미널 등이 들어서면 지역경제가 균형 발전하는 것은 물론 국내 관광산업 발전도 예상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론도 거세다. 경제학자들은 투자 대비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고,환경단체 등에서는 하천과 산림 훼손이 불가피해 하천 생태계 파괴 및 수질오염 문제가 부각될 것이라는 논리로 맞서고 있다.
6) 경부운하 건설의 이점
경부운하 건설의 핵심 이점은‘획기적인 물류비 절감’이다. 경부운하 완성시 5천 톤 급 바지선이 부산에서 강화도까지 왕래하며 석유, 목재, 시멘트, 유연탄, 자동차, 제철 등 시간이 급하지 않고 덩치가 큰 화물을 배로 수송하면 운송비를 지금에 비해 25∼33%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물동량 증가에 따른 경제성 증가 외에도 건설된 인공수로가 지역의 홍수조절, 물 부족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과 우리나라의 교통난은 수도권과 부산항을 잇는 경부축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경부 운하와 같은 새로운 운송시스템 도입 시 국가 물류체계를 혁신하고 일자리 창출, 관광자원 개발 등 지역 균형발전을 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7) 경부운하 건설 계획에 대한 비판
수도권과 연남권 사이를 오가는 물류 통행량은 전국 물동량의 3%에 불과하고 독일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홍수기와 갈수기의 수량차이가 커서 운하 사용을 위한 수량확보가 매우 힘들다. 그리고 백두대간을 관통하는 20여 km 길이의 터널을 뚫고 강에 배가 다닐 수 있는 충분한 폭과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 엄청난 규모의 추가 공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없다는 비판과 함께, 한강과 낙동강의 수량 부족으로 강 중간 중간에 댐을 막아 호수를 만들고 이를 갑문으로 연결하면서 수질이 오염될 우려가 있어 한강과 낙동강이 가진 생태적, 문화적, 환경적 가치의 중요성을 간과한 사업이 될 수 있다는 환경단체의 이의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12.2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