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과거론I
과거론II
정유년 증광시에서 제출한 시사책
관직과 녹봉
재부론
풍수설과 장지
존주론
북학변I
북학변II
북학변III
요약부분에 대한 독후감
과거론II
정유년 증광시에서 제출한 시사책
관직과 녹봉
재부론
풍수설과 장지
존주론
북학변I
북학변II
북학변III
요약부분에 대한 독후감
본문내용
월한 제도를 이용해서는 상등의 선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조정에서는 문벌을 따져 인재를 기용하여 문벌에 속하지 않은 사람은 시험을 보더라도 발탁이 되지 않았다. 능력 없는 자가 시험을 보면 벌을 준다하면 문이 막힐 정도로 사람이 몰리지 않을 것이며 불시에 시험을 해야 진정한 인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벌 외에 재능과 덕망이 있거나 기술, 예술에 능한 지방선비나 평민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선발한다면 조정에서 인재를 얼마든지 골라 쓸 수 있으며, 문벌 집단의 훼방을 막아야만 훌륭한 인재를 구할 수 있다 하였다. 박제가는 오늘날의 풍속을 바꾸지 않고 따르면서 과거제도의 폐단을 혁신하고자 한다면, 문벌을 배려하여 여러 등급의 과거를 베풀고, 붕당을 배려하여 여러 등급의 과거를 베풀어야 한다 하였다.
정유년 증광시에서 제출한 시사책
오늘날 선비는 너무 많다. 옛날의 선비는 수가 적었음에도 후세에 이름을 전하고 있는데 오늘날의 선비는 수가 많으나 세상에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당나라 때의 선비는 시부에 월등한 재능을 보였는데, 재능이 특별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들을 시험하는 방법이 달랐기 때문이다. 오늘날 선비는 명예획득을 목표로, 이익을 추구하려는 목적으로 시험을 봤다. 중국은 각 시대마다 다른 방법으로 선비를 시험하여 각각 다른 기준으로 인재를 뽑았다. 결국 자기 시대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에 의하여 변천을 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내용을 학습하여 시험을 통해 발탁이 되었다. 능력이 있거나 기술이 뛰어나 발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문벌과 명예를
정유년 증광시에서 제출한 시사책
오늘날 선비는 너무 많다. 옛날의 선비는 수가 적었음에도 후세에 이름을 전하고 있는데 오늘날의 선비는 수가 많으나 세상에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당나라 때의 선비는 시부에 월등한 재능을 보였는데, 재능이 특별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들을 시험하는 방법이 달랐기 때문이다. 오늘날 선비는 명예획득을 목표로, 이익을 추구하려는 목적으로 시험을 봤다. 중국은 각 시대마다 다른 방법으로 선비를 시험하여 각각 다른 기준으로 인재를 뽑았다. 결국 자기 시대에 적합한 제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에 의하여 변천을 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집안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내용을 학습하여 시험을 통해 발탁이 되었다. 능력이 있거나 기술이 뛰어나 발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문벌과 명예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