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es mere exposure enhance positive evaluation, independent of stimulus recognition?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ifference in the pattern of the mere exposure effect, there was a cultur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ference judgment.
거론되지는 않았지만, 이 연구의 결과는 단순노출 효과의 패턴에서는 문화적 차이가 없는 반면, 선호 결정의 정도에서는 문화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t is possible that this difference is related to subjective familiarity on the part of US subjects to the utterance.
이 차이는 발성에 대한 일부 미국 피험자들의 주관적 친숙함과 관련되어 있을 수 도 있다.
In the Philippines, Spanish ha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language. Likewise in the US Spanish, while not necessary understood, is a familiar 'utterance'.
필리핀에서 스페인어는 언어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스페인어는 이해가 필연적으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친숙한 발성이다.
This shared linguistic influence may explain the difference in degree found.
공유된 언어적 영향은 정도의 차이를 설명할지도 모른다.
Resent research on the mere exposure effect has demonstrated that positive affect which was enhanced by subliminally repeatedly presented polygons was generated in response to new polygons which are similar to the presented stimuli in shape and substance (Monahan, Murphy, & Zanjonc, 2000)
의식되지 않게 반복적으로 나타난 다각형에 의해 높아지는 명확한 정서는 나타난 자극들과 모양과 물질이 비슷한 새로운 다각형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된다.
In addition, preference, which was increased by exposed face photographs, was also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average composites of those faces which had never been presented (Rhodes, Halberstadt, & Brajkovich, 2000).
게다가 노출된 얼굴 사진에 의해 증가된 선호도 역시 나타난 적 없는 그 얼굴들의 평균 합성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되었다.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whether such generation of preferences would be also found for auditory stimuli such as the utterances used in the present study.
미래의 연구는 그러한 선호도의 발생이 현재 연구에서 쓰인 발성과 같은 청각적 자극들에 대해서도 발견될 것인지 조사해야한다.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dd to the growing literature of cognition and emotion research from a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이 연구의 결과는 문화 심리학적 조망의 인지 논문과 정서 연구의 성장에 부언하였다.
Evidence in cultural psychology has suggested that the human psyche, which includes cognitive systems and emotion, is influenced by cultural meanings, norms, institution. and the daily practices of the local culture.
문화심리학에서의 증거는 인지체계와 정서를 포함한 사람의 심리가 문화적 의미, 표준, 제도, 그리고 지역문화의 일상적 관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제시되어 왔다.
Interestingly, the present results would raise questions about to what extent cultural practices and meanings become part of psychological processes.
흥미롭게도, 최근의 연구들은 문화적 관습과 의미가 어느 정도로 심리 과정의 일부분이 되는가에 대한 질문들을 증가시킨다.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imply that there would be less cultural differences in the pre-attentional stage, where cognitive activity does not matter.
최근 연구에서의 결과들은 인지활동이 중요하지 않은 pre-attentional stage에서 더 작은 문화적 차이가 있다고 의미한다.
Additional research, which aims at filling in the gap between previous findings in cultural psychology and the present study's suggestion that preference for an object would be led by mere exposure regardless of culture, is needed to clarify the degree of cultural influence on psychological processes.
문화 심리학적 선행 결과들과, 대상에 대한 선호도가 문화와 상관없이 단순 노출 효과에 의해 이끌리게 될 수 있다는 현재 연구들 사이의 틈을 채우려는 추가적인 연구는 심리 과정에서의 문화적 영향의 정도를 뚜렷하게 밝혀야할 필요가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2.0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