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전통][전통 건축][전통 제례][전통 가구][전통 조경][전통 건강관리법]우리나라의 전통 건축, 우리나라의 전통 제례, 우리나라의 전통 가구, 우리나라의 전통 조경, 우리나라의 전통 건강관리법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전통][전통 건축][전통 제례][전통 가구][전통 조경][전통 건강관리법]우리나라의 전통 건축, 우리나라의 전통 제례, 우리나라의 전통 가구, 우리나라의 전통 조경, 우리나라의 전통 건강관리법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

Ⅲ. 우리나라의 전통 제례

Ⅳ. 우리나라의 전통 가구

Ⅴ. 우리나라의 전통 조경
1. 개념 : 자연과의 조화, 인차(因借)의 원리
2. 자연과의 조화원리 : 자연의 인간화, 인간의 자연화
3. 인차의 원리 : 공간적 특성의 활용
4. 조형미 : 자연의 일부, 무조작

Ⅵ. 우리나라의 전통 건강관리법
1. 자연환경(自然環境)에 순응(順應)
2. 절도(節度) 있는 생활(生活)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서 지나친 행동을 삼가고 적절한 기거생활을 해야한다는 데서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기거가 자연계 규율에 조화될 때 좋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사상에 기초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인간 생활의 질서가 대자연의 질서와 일치되어야 함을 강조함으로 조화의 원칙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인간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여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둘째, 식생활(食生活)이 건강유지와 질병치료에 중요시 되어왔음을 여러 기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교에서는 음식은 자연의 정기(精氣)를 품고 있기 때문에 음식을 골고루 조화롭게 섭취함으로써 자연의 정기를 흡수할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건강의 유지, 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식생활의 원칙들을 여러 기록에서 볼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는 음식과 약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았다. 인간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여러 영양분을 골고루 조화롭게 섭취하는 것이 오늘날의 보약과 같은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다만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자연과의 조화를 잃었기 때문에 이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약으로 균형을 되찾으려 하였다. 이때에 약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독이 되며 건강한 사람은 오미(五味)를 갖추어 식사를 하는 것으로 건강유지에 힘써야 한다. 소문(素門)의 장기법시론편(藏氣法詩論篇)에는 약물은 사(邪)를 공격하고 오곡(五穀)은 신체를 양육하고 오과(五果)는 영양을 도우며 오축(五畜)은 영양을 높이고 오채(五菜)는 영양을 보충한다(홍원식, 1973)하고 동의보감에서도 건강을 위해 음식물을 골고루 섭취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허준, 1980). 또한 과하지 않게 먹을 것에 대하여 많은 언급이 있는데 음식의 양과 지나친 맛에 대한 것들이다. 마시는 것도 지나치게 많이 마시지 않고 먹는 것도 배부르게 먹지 않는다(이수광, 1979)는 기록이 있는가 하면 음식은 과식하지 않고(홍만종, 1979)라는 기록과 포박자(抱朴子)에서는 억지로 라는 말은 삶을 해치고 수명을 해치는 근본이다. 취했을 때 억지로 술을 마시고 배부를 때 억지로 먹는 것은 당연히 그 몸을 해치는데(葛洪, 1983) 등의 기록은 모두 과식의 해로움을 말해주고 있다. 식생활에는 음식의 양 뿐만 아니라 매운맛, 신맛 등 맛의 정도가 지나친 것(홍만선, 1982 ; 홍만종, 1979)과 기름진 음식, 농도가 너무 짙은 것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이다(홍만종, 1982, p 60). 또한 계절에 조화된 식생활을 강조하여(허준, 1980, p 8); (이수광, 1976, p 314; 홍만선, 1982) 음양(陰痒)과 기후의 변화에 알맞는 식생활의 조화를 중요시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약의 사용에도 마찬가지로 계절에 따른 양과 농도를 조절하여야 한다는 것이다.(유효통 외, 1989). 이와 같은 식생활은 거의 도가 지나치지 않을 것과 계절의 변화에 역점을 두고 있어 기거생활에서와 같이 중용과 조화원리를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는 도교의 자연사상과 유교의 중용이 모든 일상생활의 기본원칙이 되어 음양이 조화를 이룬 균형있는 식생활이 강조되었기 때문이다.(Needham & Lu Gwei-Djen, 1962).
참고문헌
1. 국립국어연구원(2002), 우리문화 길라잡이, 학고재
2. 김성기(2001), 한국의 전통문화, 월인출판
3. 윤사순, 한국문화 탐구의 의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4. 이이화(2003), 한국사 이야기, 한길사
5. 최운식 외(2002), 한국 민속학 개론, 민속원
6. 한미라 외(2004), 한국인의 생활사, 일진사
7. 홍일식(1995),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정신세계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2.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