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백제][삼국시대][백제사]백제시대(백제)의 역사, 백제시대(백제)의 언어, 백제시대(백제)의 회화, 백제시대(백제)의 공예, 백제시대(백제)의 조각양식, 백제시대(백제)의 고분, 백제시대(백제) 대외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제시대][백제][삼국시대][백제사]백제시대(백제)의 역사, 백제시대(백제)의 언어, 백제시대(백제)의 회화, 백제시대(백제)의 공예, 백제시대(백제)의 조각양식, 백제시대(백제)의 고분, 백제시대(백제) 대외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백제시대(백제)의 역사
1. 한성시대(漢城時代) BC18-AD475
2. 웅진시대(熊津時代) 475-538
3. 사비시대(泗 時代) 538-660

Ⅱ. 백제시대(백제)의 언어

Ⅲ. 백제시대(백제)의 회화

Ⅳ. 백제시대(백제)의 공예
1. 화전(畵塼)
2. 뒤꽂이
3. 토제장경호

Ⅴ. 백제시대(백제)의 조각 양식
1. 한성기
2. 웅진기
3. 사비기
1) 제1기(538년˜550년경)
2) 제2기(550년경˜7C초)
3) 제3기(7C초˜660년)

Ⅵ. 백제시대(백제)의 고분
1. 송산리 고분
1) 무령왕릉
2) 무녕왕릉 진묘수(石獸)
2. 능산리 고분

Ⅶ. 백제시대(백제)의 대외관계
1. 제 1기
2. 제 2기
3. 제 3기
4. 제 4기
5. 제 5기
6. 제 6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웠을 뿐더러 이러한 발전된 문화를 일본에 전파(513년과516년 등)하기도 하였다. 이점은 1971년 무녕왕릉 발굴에 의하여 입증되었다. 웅진시기의 63년은 북방적인 요소를 상당히 없애고 유연한 문화를 정착 시키는 한편 중국남조와의 교류에 의하여 우아한 남조문화를 수용하여 백제특유의 부드럽고 세련된 문화를 창조해 가고 있었던 것이다.
공주 지역의 사지 가운데 웅진기의 사지가 정식으로 발굴되지 못했기 때문에 불교조각의 대표작들은 분명하게 밝혀진 적이 없다. 그러나 6세기 전반기 내지 중엽경으로 생각되는 몇몇 작품의 예(보원사지 출토 금동불입상, 예산사방불)로 보아 높은 육계, 앞으로 숙인 긴 얼굴, 세장한 신체, 시무외 여원인의 손모양, 휘어내려간 물결옷주름과 함께 귀족적인 얼굴과 불의 끝단의 과장적인 장식주름 등의 표현은 북위 후기 정광식 불상과 상통하고 있는 것이다. 북위양식의 직접적인 영향인지는 알 수 없지만 6세기전반기의 중국남북조에서 공통적으로 표현된 특징으로 생각할 수 있어서 양나라 불상양식의 영향을 일단 고려할 수 있다.
3. 사비기
1) 제1기(538년550년경)
예산사방불상, 정림사소불상 및 석조삼존불상, 보원사 금동불입상 등은 중국북위양식의 전통이 상당히 남아 있으면서도 백제화된, 이른바 초기백제양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양식도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겠지만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좀더 강직한 특징과 세련되고 우아한 특징으로 대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반된 특징이 확연히 구분되어 나타나는것은 아니고 동시에 표현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것은 바로 예산사방불에서 나타나고 있다.
2) 제2기(550년경7C초)
백제적인 특징이 완전히 정착한 것이다. 앞서 살펴본 불상양식에서 약간 진전되었는데, 동서위말 양식과 북제, 주양식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한편 한국적인(백제적) 특징을 확연히 정립(예 : 군수리 납석불좌상,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신리 금동보살입상, 태안마애불상, 서산마애불상, 납석제 반가사유상등)하였으며 백제의 얼굴과 백제적인 우아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이 정착된 백제적인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하겠다.
3) 제3기(7C초660년)
무왕(600640)대야말로 백제의 마지막을 장식하던 문화의 황금기였던것 같다. 통일제국이던 수와 당의 새로운 문화가 들어오고 그런 와중에서 이 시기 초기에는 옛 양식이 남아있는가 하면 새 양식이 등장하는 등 복잡한 양상을 보이다가 650년을 전후해서는 당양식의 영향을 받은 새양식이 본격적으로 진출하는것 같다.
Ⅵ. 백제시대(백제)의 고분
기본형은 고구려와 같은 석실 토분(돌로 현실을 만든 토분)이다.
1. 송산리 고분
고구려와 같은 사신도가 있어 고구려의 영향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송산리 고분군은 공주시 중심부에서 서북방으로 약 1㎞ 지점인 송산소 남쪽 경사면에 위치한다.
1) 무령왕릉
송산리 고분군의 하나이다.
2) 무녕왕릉 진묘수(石獸)
이 투박한 형태의 돌짐승은 중국의 한나라 이래로 분묘 앞에 세워 귀신을 쫓는 돌짐승, 또는 묘의 안을 지키는 진묘수로 추측되고 있다.
2. 능산리 고분
고구려 것에 비하여 우아하고 섬세하며 세련된 특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천정의 구름과 연화 무늬는 고구려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이다.
Ⅶ. 백제시대(백제)의 대외관계
백제의 대외관계는 낙랑과 대방군이 멸망하여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게 되면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데, 전 과정을 대략 6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제 1기
4세기 초에서 4세기 말로 고구려의 남하에 대한 대응책으로 신라와 화호관계를 맺었다. 이 시기에 백제는 평양성전투에서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키는 등 고구려의 남하를 막아 냈다.
2. 제 2기
4세기 말에서 5세기 중엽으로 백제-왜-가야 연합과 고구려-신라 연합의 대결 양상을 띠던 시기이다. 백제에서 신라가 이탈하여 고구려에 접근하자 백제가 왜군과 가야군을 모두 동원하여 신라를 공격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는 일시적으로 아신왕대에 한강 이북지역을 고구려에게 빼앗기기도 하였다.
3. 제 3기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중엽에 해당되는 시기로서, 고구려 장수왕의 평양천도에 위협을 느낀 백제가 신라와 함께 공수동맹을 맺어 신라-백제 연합과 고구려가 대결하는 구도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 백제는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개로왕이 전사하고 수도 한성이 함락되어 웅진으로 천도하게 된다.
4. 제 4기
6세기 중엽에서 6세기 말로 웅진 천도 후에 혼란을 겪었던 백제가 사비천도 후 중흥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또한, 그 힘을 바탕으로 신라-가야군과 동맹하여 고구려에게 빼앗긴 한강유역을 회복하나 신라가 고구려와 연결하여 한강유역을 점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격분한 성왕이 신라를 공격하나, 관산성전투에서 전사하고 말았다. 결국 이 시기는 신라와 백제가 연합하는 관계로 시작하였으나, 신라-고구려와 백제가 대결하는 양상으로 끝나게 된다.
5. 제 5기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로, 고구려가 한강 유역을 되찾기 위해 신라에 압력을 가하자 고구려와 신라의 화친관계가 깨지면서 삼국이 서로 대립하던 시기이다. 이 때에 백제와 신라는 각각 수나라나 당나라의 힘을 이용하여 고구려를 견제하려는 개별적인 대중국 외교정책을 추진하였다.
6. 제 6기
7세기 초에서 7세기 중엽의 시기로, 중국에서 당나라가 강성하고 고구려가 중국과 강력히 대립하였다. 이 때에 백제가 친고구려 외교로 기울자 신라는 당나라와의 접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백제로 이어지는 남북진영과 신라-당나라로 연결되는 동서진영이 서로 대립하던 시기이다. 이러한 대립 상황에서 백제는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고 말았다.
참고문헌
1. 김기섭,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2000
2. 김유진, 백제이야기, 창비, 1995
3. 곽동석, 한국조각사 연구의 30년
4. 김리나, 백제조각의 양식과 변천, 백제의 조각과 미술, 공주대학교박물관, 1991
5. 김철준, 백제건국고, 백제연구 13, 충남대 백제연구소, 1982
6. 문명대, 한국조각사, 열화당, 1980
7. 이도학,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2003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