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젼 드라마속의 여성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본문내용

는 약호가 되기도 한다.
1) 표상적 약호
Fiske가 말하는 ‘표상적 약호’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리의 현실을 구성하는 어떤 사회적 약호들, 예를 들면, 안색, 의상, 머리 모양, 얼굴 표정 등과 같은 것들이 측정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필름에서 의도적으로 관례화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말한다. 배역의 성격이나 역할을 암시해주는 분장 등이 그것이다.
여기서 이와는 다른 것들, 예를 들면, 자연 경관과 같은 것들은 특정한 의미로 체계있게 구체화시키기는 쉽지 않지만 나무도 그 종류에 따라 상이한 부가의미를 갖도록 약호화될 수 있고, 비슷하게 바위나 새들도 그렇게 이용되고 관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수에 반영된 나무는 우리 머릿 속에 이미 특정한 부가의미를 갖고 약호화되어 있는 것으로서 로맨틱한 사랑 이야기를 위한 ‘세팅’으로 전환된다.
<표2>에서 위계적 순서로 분류된 약호의 종류는 사실 모호한 점이 없지않다. 예를 들면, 1단계 층에서의 ‘말’과 2단계에서 기계적 약호로 분류된 ‘대사’는 사실 거의 구분할 수 없다. 대본의 대사는 문화적 관습에 따라 쓰이기 때문이다. 비슷하게 ‘외모’는 ‘사회적 약호’로, ‘배역’은 관습화된 ‘표상적 약호’로 분류하였지만 이 둘은 오직 영상 제작자의 의도성과 노골성의 개입 여부라는 점에서만 다르다. 실생활에서 사람들의 외모는 선천적인 것이지만 우리가 사람들을 외모에 따라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한 텔레비전의 약호 역시 이와 같은 우리의 관습에 따라 배역을 정하게 된다. 배역을 결정하는 사람은 단지, 더 의도적으로, 더 관습적으로 이를 사용할 뿐이다. 즉, 배역의 외모는 드라마의 연출에서 더욱 고정관념적으로 사용될 따름이다.
2) 기계적 약호
비슷하게 텔레비전의 기계적 약호 역시 관례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사람에게 촬영하고자 하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카메라 작동방법의 선택은 한정되어 있고 명확하다. 프레이밍(framong) 및 카메라의 움직임(tracking), 카메라 거리와 렌즈의 움직임(pan, tilt, roll), 카메라 위치, 앵글, 초점, 관점, 그리고 렌즈의 선택 등에 대한 관례화된 약호가 있다. 카메라에 의한 기계적 약호 이외에도 세팅, 음악, 소리, 조명이나 편집 등과 같은 기계적 약호들은 <표2>에서 말하는 1단계 수준의 사회적 약호가 전달하는 의미들을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의 거리로 인해 만들어지는 기계적 약호의 의미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대인적 거리’라는 사회적 약호로부터 나온다. ‘대인 거리’는 사람들 사이의 친소 관계나 공적/사적 관계, 상하 관계 등을 살펴보는 지표이다. 일상생활에서 지켜져야 될 일정한 ‘대인거리’는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그러한 ‘대인 거리’가 지켜지지 않고 한 개인 공간이 타인에 의해 침범될 때 사람들은 경계심을 보이고 긴장하게 된다. 비슷하게, 카메라의 거리는 프로그램 속의 인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친소 관계 및 상하 관계를 나타내게 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텔레비전 인물과 시청자와의 친근감, 또는 혐오감, 거리감, 긴장감 등을 촉발하게도 된다. ‘클로즈 업’이나 ‘미디엄 샷’과 같은 이들 카메라의 거리가 전달하는 의미는 그때 그때의 다른 사회적 약호나 기계적 약호들과 갖는 구조적 맥락 속에서, 그리고 이들 약호들을 선택하게 만드는 이념적 약호에 의해 만들어진다.
3) 이념적 약호
세 번째 수준은 첫번째와 두번째 수준의 약호들을 선택하고 조직하게 만드는 이데올로기서의 ‘이념적 약호’유상적 이미지의 제작 과정에 개입하는 기계적 약호나 표상적 약호에는 이미 그 문화의 이념적 가치들이 개입하여 있다. 이러한 이념적 약호는 구체적 사례를 포착하기가 어렵지만 Fiske가 제공하는 예를 든다면, 드라마나 영화에서 묘사되는 남녀 주인공의 극중 대사를 지배하는 관례화된 표상 방식, 즉 주로 여주인공은 남주인공에 대해 모르는 것을 묻고 남성은 가르켜 주는 대사 구성은 바로 가부장제의 이념적 약호라는 것이다.
또한 영화나 드라마의 위기 상화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남녀 역할, 즉, 여성은 주로 남성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존재로, 남성은 그러한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침착하고 용감하게 여성을 보호해 주는 존재로 묘사되는 표상적 관례 역시 가부장제의 이념적 약호라고 하겠다. 또는 드라마에서 흔히 범죄를 개인 소유의 재산을 훔치는 것으로 묘사하는 관례적인 표상 방식 또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의 부호화로 볼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한 장면 속에 동시 존재하는 이와 같은 사례들의 ‘자연스러움’은 이념적 약호에 따라 어떻게 다른 약호들(표상적, 기계적 약호들)이 서로 일관성있게 존재되고, 그럼으로써 한 사회의 일반적 상식을 구성하는 의미의 집합을 만들어내는지 보여주는 구체적 증거이다.
텔레비전 텍스트에서 유상적 이미지의 의미 구축 과정은 <표2>의 상위 단계와 하위 단계를 오르내리는 지속적인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진다. 의미는 오직 현실의 표상과 이데올로기가 ‘자연적인 것’으로 보이게끔 일치할 수 있을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유상적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은 이렇듯 자연스럽게 보이는 약호의 단위들을 분해하여 그것의 ‘자연스러움’이 고도로 이념적인 것임을 드러내 보이는 작업인 것이다. 비록 이와 같은 작은 단위의 분석은 텔레비전의 서술 구조와 같이 더 큰 규모의 약호에 대한 분석과는 다른 것이라 하더라도 의미의 다층적인 보호화가 어떻게 텔레비전의 내용을 구축하고 있는지에 대한 세부적 분석을 가능하게 만드는 출발점이 된다. 박정순, 대중매체의 기호학, 나남, 1995, pp.325~330
지금까지 살펴본 본 연구의 분석틀은 다음과 같은 도표로 설명될 수 있다.
<표> 본 연구의 분석틀
분석유형
분석틀
서술적 구조 분석
통합체 분석
Propp의 기능
⇒ 이데올로기
대립적 이항 분석
계열체 분석
아사버거의 카메라 기법
실제 TV에의 적용
Fiske의 텔레비전 부호
백선기오은영, 텔레비전과 페미니즘:TV코미디 프로그램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연구 1995 겨울호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 가격1,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