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식인][지식근로자][신지식인이론][지식근로자이론]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정의와 특성,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역할과 기능,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사회적 배경과 조건, 신지식인(지식근로자) 이론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지식인][지식근로자][신지식인이론][지식근로자이론]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정의와 특성,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역할과 기능,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사회적 배경과 조건, 신지식인(지식근로자) 이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정의

Ⅲ.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특성
1. 정신적 특성
1) 선견지명의 혜안
2) 개방적·창의적 자세
3) 꾸준한 노력과 성실성
4) 프론티어 정신
5) 긍정적인 사고
6) 자료·정보에 대한 공유 의지
7) 고객, 소속 조직, 지역사회 지향적 사고
8) 제2·제3의 목표로의 매진
2. 행동적 특성
1) 아이디어 창출의 연속
2)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현실 접목
3) 신지식의 신속한 습득과 활용
4) 메모·기록하는 습관과 체계적 자료 정리
5)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나름의 경쟁 무기 확보
6) 정보·지식의 적극적 전파

Ⅳ.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역할

Ⅴ.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기능
1. 체제 정당화의 기능
2. 비판의 기능

Ⅵ. 신지식인(지식근로자)의 사회적 배경과 조건
1. 등장배경
2. 조건

Ⅶ. 신지식인(지식근로자)에 관한 이론
1. 하이에크(F. Hayek)의 『지식의 다양성』
2. 드러커(P. Drucker)의 지식 근로자와 개인의 계발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그 중 성공적인 신지식인의 특성으로 크게 3종류의 마인드 집합이 나타나는데 자기 자신을 관리하는 마인드인 내핵 마인드(시간 지향적 마인드, 통찰 마인드, 결단적 마인드), 개인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필요한 중핵 마인드(긍정적·낙관적 마인드, 도전적 마인드, 성실성, 책임감), 외부 환경과의 소통을 위해 필요한 외핵 마인드(타인 지향적 마인드, 개방적·수용적 마인드, 개선적 마인드)가 그것이다.
신지식인의 조건을 이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것들이 신지식인의 필요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다. 그들이 가지는 인내심과 호기심도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 부분은 다음 신지식인의 특성 부분에서 더 자세히 다룰 것이다.
Ⅶ. 신지식인(지식근로자)에 관한 이론
1. 하이에크(F. Hayek)의 『지식의 다양성』
신지식인 개념의 철학적 배경은 하이에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하이에크에 따르면 지식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추상적인 지식, 즉 대학에서 연구되는 학문적인 지식이고, 다른 하나는 구체적인 지식, 즉 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지식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지식이라고 하면 밤을 새워 연구하거나 책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으로 알기 쉬운데, 현실에서는 지식의 다양성으로 인해 잘 짜여지지 않아 과학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매우 중요한 일단의 지식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식의 존재는 일반대중 누구나가 지식활동의 중심에 설 수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누구나 새로운 발상이나 경험으로, 터득한 지식을 활용하여 일하는 방식을 끊임없이 개선하고 혁신함으로써 가치를 창출시킨다는 신지식인 개념은 국민 모두를 지식활동의 중심에 서게 함으로써 국가발전을 가져오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2. 드러커(P. Drucker)의 지식 근로자와 개인의 계발
지식기반사회로의 변화가 본격화되면서 하이에크가 제시한 지식의 다양성을 전제로, 개인적인 자아계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미래학자를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21세기를 좌우할 미래의 주역으로서 다양한 개인상을 제시하였는데,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피터 드러커의 지식 근로자\' 라는 개념이다. 이는 자본이나 노동은 지식이라는 새로운 생산수단에 의해 점점 그 자리를 잃어갈 것이며, 다가오는 지식기반사회에서 국가와 기업의 흥망성쇠는 지식의 존재 여부에 따라 판가름이 날 것이라는 이론이다. 이에 따르면, 누구든지, 어떤 종류의 일을 하든지 간에 학식과 상관없이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현실에 적용시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인간은 지식 근로자가 될 수 있다는 논리이다. 드러커의 이러한 개념이 지나치게 경제적인 가치를 중심적으로 다루고는 있으나 지식과 관련한 실천성의 측면에서는 신지식인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으며, 다양한 가치와 분야의 지적 활동에 대한 개념을 포괄하는 신지식인은 이보다 더 확장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신지식인은 학력과 직종에 관계없이 자신의 분야에서 획득한 지식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들로서 21세기 국가 발전의 중심적 역할을 해 나갈 것이다.
참고문헌
- 김영민(1999), 지식인과 심층 근대화 접선의 존재론, 철학과현실사
- 김효근(1999), 신지식인, 매일경제신문사
- 레지 드브레, 강주헌 역(2001), 지식인의 종말, 예문
- 지식인의 책무 관련, 드레퓌스 사건
- 지식인을 위한 변명(1995), 보성출판사
- John, Paul(2005), 지식인의 두 얼굴 위대한 명성 뒤에 가려진 지식인의 이중성, 을유문화사
- N. Chomsky(2005), 지식인의 책무. 황소걸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4.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