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의미,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필요성과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대상자 및 미국, 호주의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 사례로 본 향후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 활성화 방안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의미,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필요성과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대상자 및 미국, 호주의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 사례로 본 향후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 활성화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의미

Ⅲ.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필요성

Ⅳ.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대상자

Ⅴ. 미국, 호주의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 사례
1. 미국의 사례
2. 호주의 사례
1) PE Persnal
2) Workpower
3) InteWork
4) CAREERPLAN SVCS(CPS)
5) Workright

Ⅵ. 향후 지원고용(지원고용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1. 전환서비스 프로그램의 확대
2.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개선
3. 직무지도원(job coach)의 제도적 양성
4. 보호고용 시설의 확대
5. 학교·지역사회 여러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서는 지원기간을 최소 6개월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직무지도원(job coach)의 제도적 양성
직무지도원은 직업재활 과정에서 내담자에 대한 상담, 격려, 내담자 개인 또는 집단의 고용조건, 특정한 작업 환경이나 특정고용 장소 등에서 내담자를 지원하는 사람이다. 현재 중증(발달)장애인에 대한 직업지도는 대부분 직무지도원(job coach)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4년제 대학에서 양성되는 직업재활사의 경우, 상담과 평가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고, 실제로 중증(발달)장애인의 고용현장에 함께 투입되어 활동할 직무지도원은 전문적으로 양성되지 못하고 있으며 인력에 대한 확보도 어려운 실정이다.
발달장애인의 고용과정에서 직무지도원의 주요 역할은 ① 고용주와 내담자간의 작업관계를 설정하고, ② 업체의 정책, 절차, 서비스, 기준, 임금, 기회 등에 대한 지도시 내담자를 지원하며, ③ 내담자가 고용에 대해 자기동기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④ 내담자가 직무를 준비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성인 및 직업교육 전문가와 함께 일하며, ⑤ 내담자의 만족도, 도덕성, 생산성 등에 대한 부분을 알려주고, ⑥ 내담자의 개인적, 교육적, 직업적 문제 등에 대한 위기상담을 할 수 있어야 하며, ⑦ 내담자가 수행수준을 설정하고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고, ⑧ 내담자가 생산성을 유지하고, 작업기준에 부합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분석하고 보충할 수 있어야 하며, ⑨ 내담자와 그들의 동료들이 부수적인 변화들에 대응하는 전략과 절차들을 개발하도록 도와야 하고, ⑩ 동료들이 내담자의 신체적, 심리적,사회적 차이를 이해하도록 도와야 하며, ⑪ 보호작업장 환경에서 경쟁적인 노동시장 환경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내담자와 협력해야 하고, ⑫ 특정 내담자를 할당받는 경우 직업재활 직무배치 전문가로 일해야 한다.
따라서 재활전문요원 양성 등에 대한 법률 정비를 통해 직업재활사와는 달리 전문대학의 재활전공자를 중심으로 직무지도원 양성과정을 마련하여 체계적으로 인력을 양성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4. 보호고용 시설의 확대
보호고용영역은 주로 국가(보건복지부와 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 근로시설, 보호작업장, 직업훈련시설, 작업활동센터,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등으로 이용 장애인의 능력과 임금수준, 생산활동 이외의 부가 프로그램 내용에 따라 구분하여 운영되고 있다.
현재 보호작업장이나 직업훈련시설 등의 시설이 많지 않고 실제로 고용된 장애인들의 대부분이 경증 장애인이며 그 시설 또한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중증 장애인들이 보호고용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호고용시설의 양적·질적 확대가 필요하다.
5. 학교·지역사회 여러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현재 특수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대부분 실제 고용시장과 동떨어진 교육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기본소양교육으로 바뀌고 직업기능과 관련된 교육은 지역사회의 사업체나 복지관 등과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고등부 학생들의 경우에는 사업체 현장 실습 위주의 직업교육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본다. 이러한 네트워크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학교, 복지관, 고용주 등의 긴밀한 연계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Ⅶ. 결론
하청, 실습이나 취업 등의 관계를 맺은 사업체와의 유대관계를 굳건히 하기 위하여 사업체 사장 이하 임직원들, 근로자들을 학교에 초청하여 다양한 협력행사를 벌였고, 사업체에서 생산한 물품의 판매를 학부모회와의 협조를 통해 알선하기도 하였다. 지역 사업체와의 협력 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첫째, 학교가 지역사회의 한 일원이 됨을 의미하며, 또 학교 시설의 개방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서 사회통합으로 접근할 수 있다. 둘째, 지역 사업체는 장애학생들에게 훌륭한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다. 단지 취업을 위한 교류로서가 아니라 현장학습이나 견학으로서 학생들의 경험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는 교육자원이 된다. 그러므로 사업체와 학교간의 교류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교감을 통해서 협력체제를 굳건히 유지한다면 특수교육의 성과가 더욱 증대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위해서는 학교의 전 직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장애학생들의 취업을 위해서 발로 뛰면서 사업체를 방문하고, 혹은 밤늦게까지 사업체 담당자를 만나고, 또 취업대상 학생들의 사후 관리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것은 경제성과 우리 학생들의 취업을 비교해서는 안될 것이다. 직업을 가진다는 것은 장애를 가진 한 인간의 삶의 질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덧붙여 제언하고 싶은 것은 특수학교는 더 이상 장애학생들에 대한 학교교육만으로 그 임무가 완료되어서는 안 된다. 장애학생들에 대한 교육활동의 결과는 가시적으로 경제적인 자립을 위한 취업에 있다고 보아도 과언은 아니다. 학교 교육과정에 작업·직업교육이 있다는 것은 취업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며, 단지 교육활동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 졸업한 후 우리 학생들의 진로는 가정이나 시설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진정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 서비스가 이루어지려면 졸업후의 진로에 대해서도 특수학교가 학부모들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 복지관이나 지역사업체와의 연계를 통해 직업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면 진정한 정상화 이념에 접근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강위영·조인수·정대영, 직업재활과 지원고용, 성원사, 1993
강위영·조인수·구대회, 직업재활개론, 성원사, 1991
강위영, 중증 장애인을 위한 지원 고용프로그램의모형, 직업재활연구 제3집, 한국 직업재활학회, 1993
나운환, 중증장애인의 고용 활성화를 위한 연구, 장애인고용 96봄호, 장애인고요촉진공단, 1996
이성일, 중증정신지체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직업전환기 직업훈련 프로그램 적용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5
이주현,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6
박희찬·김은영·김선욱·유병주, 장애인 직업, 인간과 복지, 1994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5.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