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산업공학실험-단기기억실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실험목적

실 험 방 법
➀실험참가자
➁실험장치
➂실험방법

결 과

토 의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부족한 수면으로 매우 피곤한 상태였다. 실험자는 다른 실험자의 총 정답수가 62, 64개인데 반하여 52개밖에 맞추지 못하였다. 암기 방법은 5자리정도까지는 맹목적으로 기억에 맡겨두었다가 자릿수가 많아지면 빠른 속도로 웅얼되면서 자릿수를 채워나가는 방법을 썼다.
● 피실험자 전장희의 결과
횟수
자릿수
1회
2회
3회
총 맞은 개수
맞은 %
50% threshold
5
5
4
5
14
93.33
8.61
6
5
4
5
14
93.33
7
3
5
4
12
80.00
8
2
4
4
10
66.67
9
0
3
3
6
40.00
10
1
4
1
6
40.00
11
0
0
0
0
0.00
12
0
0
0
0
0.00
합계
16
24
22
62
51.67
역시 다른 피실험자와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 실험자는 다른 시험자와는 달리 첫 번째 실험이 끝난 후에 10분간 휴식을 취하지 않고 바로 실험에 임하였다. 암기 방법은 실험 초반에는 특별한 방법을 쓰지 않다가 실험이 계속 되어가면서 요령이 생겨 전화번호 식으로 나누어서 외웠다고 한다.
4. 토 의
전체적인 실험 결과를 보면 자릿수가 늘어날수록 정답률이 줄어든다. 이것은 왜 일까?
첫 번째로 시간을 들 수 있겠다. 앞서 말했듯이 단기 기억은 장기 기억과는 달리 18초정도밖에 유지 되지 못한다. 자릿수가 늘어날수록 그만큼 시간은 늘어나게 되어 기억해 내기가 힘들어 지는 것이다.
두 번째로 용량을 들 수 있겠다. 밀러는 매적 넘버라고 하여, 7±2을 인간이 기억하기 쉬운 숫자의 개수라고 하였다. 이것은 이 정도만큼의 용량 한계를 인간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험에서도 볼 수 있듯이 5~9사이를 넘어선 자릿수의 정답률은 10%정도로 앞선 자릿수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외에도 많겠지만 앞서 말한 이유들로 우리는 자릿수가 늘어날수록 바로 기억해 내기가 힘들어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실험에 영향을 끼친 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먼저 피실험자의 상태에 대해 알아보자. 정세현, 전장희 실험자는 비교적 좋은 상태에서 실험을 하였지만 정현우 실험자는 그 전날 과도한 음주와 부족한 수면으로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래서 다른 피실험자들보다 총 정답률이 훨씬 뒤떨어진 것이다.
그리고 실험자의 암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정현우 실험자는 계속하여 웅얼거리는 것이 자릿수가 작을때는 매우 효과적이나 늘어날수록 오히려 방해가 된다고 말했다. 전장희 실험자는 처음엔 맹목적으로 외우기만을 하다가 스스로 전화번호 식으로 외우는 방법을 채택하였는데 그것이 훨씬 더 외우기 편했다고 얘기하고 있다. 정세현 실험자는 11자리를 3개나 맞추었는데 이것은 다른 실험자 모두 하나도 맞추지 못한 것과 매우 대조적이었다. 이것은 chunk로 묶는 것이 자릿수가 늘어나도 기억의 용량을 키워 외우기 쉽도록 해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휴식 시간의 유무이다. 정세현-정현우 실험자는 첫 번째 실험이 끝난 후 10분간의 휴식을 취하였는데 반하여 전장희 실험자는 쉬지 않고 2번째 실험에 임하였다. 첫 번째 실험이 끝난 후 10분간의 휴식 시간을 갖는 것은 앞서 했던 실험의 단기 기억이 모두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자는 의도였다. 증명이라도 하듯이 첫 번째 실험에서의 총 정답은 16개인데 반하여 두 번째 실험의 총 정답은 24개로 급격히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더욱 나아가 우리가 실험에서 정답률을 높이는 방법(단기 기억 능력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보자.
첫째로 실험하기 좋은 몸 상태와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현우 실험자를 보면 몸 상태는 단기 기억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진정된 상태에서 실험에 임한다면 더욱 높은 정답률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chunk로 묶기를 하라는 것이다.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인 정세현 실험자는 chunk로 묶어서 암기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자릿수가 늘어날수록 더욱 좋은 효과를 보인다.
셋째로 장기 기억과 연관을 시키는 것이다. 실험 도중 939102라는 숫자가 있었는데 9391은 정현우 실험자 어머니의 전화번호였다고 한다. 그래서 정현우 실험자는 이 숫자를 어머니 전화번호 02로 암기하였는데 그는 실험이 끝난 이틀후에도 이 숫자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5. 참고문헌
심리학의 이해 집문당 김선 143~146
공학심리학 성화사 진영선, 곽호환 공역 219~236
인간공학 대영사 조영일 58~61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