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철학과 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칸트의 철학과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칸트의 삶과 철학

2. 칸트의 과학론

3. 칸트의 학적인식

4.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5. 칸트의 비판철학

6. 칸트철학의 한계와 모순점

7. 칸트철학의 영향과 의의

8. 참고자료

본문내용

없다.
5. 칸트의 비판철학
1770년 교수 취임논문 《감성계와 예지계의 형식과 원리에 관하여》는 형이상학적 인식과 수학자연과학적 인식의 관계에서 고민하던 칸트에게 하나의 새로운 비약을 위한 내용이었다. 칸트는 여기에서 케임브리지―플라톤학파의 영향 아래 공간을 아직도 신에게 직접 연관시키던 뉴턴을 떠나, 공간과 시간을 인간 감각에 나타나는 감성적 세계의 형식으로 보는 생각을 처음 제시하였다. 동시에 이 감성적 세계의 형식과 순수지성의 대상이 되는 예지적 세계의 형식을 잘못 취해, 예를 들면 예지적 세계의 사상(事象)에 감성계의 술어(述語)를 사용함으로서 여러 가지 해결불가능한 형이상학적 난제와 대립이 생겨난다는 구상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전망에서 인간 이성인식의 근거와 한계를 뚜렷이 해야 할 보다 완벽한 저서로서 10여 년의 고생 끝에 나온 것이 주저 《순수이성비판(純粹理性批判, 1781)》이다. 여기에서 칸트는 앞의 교수 취임논문의 전망을 보완해 인간의 이성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확실하게 인식가능한 것은 감각적 여건을 기초로 한 인간의 인식 주관인 아프리오리(apriori;선천적)한 인식형식으로서의 공간시간 및 카테고리(純粹悟性槪念) 등에 의해 정리되고 구성된 현상으로서의 자연, 다시 말해 감성적 세계에 한정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 현상의 세계를 초월한 물자체(物自體)의 세계와 예지계에 관련되는 이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인식은 이론적 학문으로서 성립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이념은 현상세계의 인식에 궁극적 통일을 부여할 방향을 제시하는 통제적 원리로만 인정된다고 결론지었다. 근세 수학적 자연과학의 인식 성립장면의 구조를 분석하고, 인간을 현상으로서의 자연적 세계의 입법자(立法者)로서 일찍이 없었던 적극성과 자율성으로 파악하는 한편 영혼불멸, 자연적 인과계열로부터의 자유, 신의 존재 등의 이념을 둘러싼 인식에 대하여 이성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으로서 그 유한성을 논하였다. 이론적 인식에 대해서는, 통제적 원리로서 그 이상의 의미를 인정하지 않았던 물자체의 세계 또는 예지계의 전망은 제 2 의 비판서인 《실천이성비판(實踐理性批判, 1788)》에서 인간의 자율적 도덕이 존재해야 할 불가결의 순수실천이성의 요청으로서 적극적 의미를 가지고 재흥(再興)된다. 조건 없는 도덕적 명령으로서 정언명법(定言命法)이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영생(永生)과 자유 또는 덕(德)과 행복의 일치를 보장할 신의 존재가 불가결한 조건으로 요청되어야만 한다고 하였다. 제 3 의 비판서 《판단력비판(1790)》은 앞의 제12비판서에서 다룬 이론과 실천의 영역을 매개통일시키는 것으로서 구상되었다. 칸트는 여기에서 미적 인식을 상상력과 오성(悟性)의 장난에 의한 목적 없는 합목적성의, 이해 상관이 없는 개념을 뺀 인식으로서, 또한 유기적 자연의 인식에서 사용되는 목적론적 원리를 단순히 통제적 원리에 머무르는 것으로서 각각 규정하고, 미적 또는 목적론적 판단력이 이론이성과 실천이성 사이를 매개하는 것에 불과한 까닭을 밝혔다. 칸트는 이상의 3개 비판서에 의하여 인식하고 행위하고 믿고 느끼는 근세적 인간 주체의 존재 방식을 그 유한성에 충분히 유의하면서도 자율성과 적극성을 살려 파악하였다.
6. 칸트철학의 한계와 모순점
칸트철학의 한계는, 그 자신이 주장한 내용자체가 모순을 갖는데 있다. 그에 의하면, 물자체(thing it-self)란 것과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인식능력들이 존재한다. 이 인식능력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직관형식으로서, 이것을 통하여 우리는 감성영역의 질료들을 인식하게 된다. 나머지 하나는 오성(understanding)의 범주로써, 이것을 통하여 우리는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이것들을 종합하면, 물자체는 우리의 직관에 의해 경험의 질료가 되고, 이것은 우리의 개념을 통해 사고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즉, 물자체는 인간의 인식능력에 의해 '변형', 혹은 '가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물자체에 대한 순수한 지식을 가질 수가 없다. 이것을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라고 한다. 칸트는 인과의 개념이 인간의 오성에 내재한 것으로 물자체에는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그의 주장에 비추어 볼 때, 합리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바로 이 점이 모순이다. 왜냐하면, 칸트는 인식이 가능하기 위해 선천적 인식능력 뿐만이 아니라, '물자체'까지도 가정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물자체에 인과의 개념이 적용된 것이다. 우리가 물자체에 대해 전혀 알 수 없고, 인식능력들이 본성상 경험에만 적용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면, 어떻게 경험의 원인으로써의 물자체가 존재한다고 할 수가 있겠는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나타난 사상이 '독일관념론'이고, 헤겔에 이르러 절대적 관념론으로서 절정에 이르게 된다. 그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인식가능하며, 실제로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존재하는 모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는 '이성적인 것이 현실적인 것이요, 현실적인 것이 이성적인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7. 칸트철학의 영향과 의의
칸트철학은 그가 지녔던 유한주의 입장을 버리고, 인간 주체를 무한한 우주를 구성하거나 산출하는 주체, 유한한 감성을 무한한 예지적 직관 등으로 확대시키는 형태로서 J.G.피히테F.W.J.셸링G.W.F.헤겔 등으로 이어진 낭만주의 세대의 이른바 독일 관념론철학에 계승되었다. 그 영향은 영국프랑스의 이상주의 여러 조류에까지 미쳤다.
독일의 신칸트학파 철학은 19세기 말부터 학문적인 문제 상황에 부응해 칸트의 비판주의를 부흥시키려 한 것이었다. 신칸트학파가 퇴조한 뒤 나타난 오늘날의 여러 철학 조류도 대부분 직접간접으로 칸트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따라서 칸트철학은 오늘날에도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식비판적초월론적 철학의 영향은 E.후설의 현상학(現象學)으로부터 J.하버마스의 비판적 합리주의, L.비트겐슈타인과 P.F.스트로슨 등의 언어분석철학에까지 미친다.
8. 참고자료
박영식, 서양철학사의 이해, 철학과 현실사
이와자끼 다께오, 서양철학의 흐름, 이문출판사
송경호, 서양철학의 산책, 선명출판사
  • 가격1,4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8.1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