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도시화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도시화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도시화와 도시문제의 배경

3. 도시문제의 원인

4. 세계의 도시화 특징

5. 한국에서의 도시화 특성

6. 우리나라의 도시화 과정

7. 한국의 도시문제 해결방안

본문내용

경우는 1820년이래 인구의 離村向都가 계속되어 왔으나, 최근에 들어와서는 이에 정반대의 현상인 離都向村의 인구이동이 일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전혀 새로운 인구이동현상은 1970년대 초기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도시 인구 율도 머지 않아 80%선을 넘어서 90%선에 육박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단계에 접어들면, 우리나라의 도시화 과정은 완전한 종말단계에 이르게 되어 이촌향도의 인구이동이 멈춰지게 되고 인구의 U턴 현상과 J턴 현상이 나타나 대도시 주변의 인구증가가 두드러질 것이다. 이와 같은 조짐은 이미 서울의 위성 도시와 주변지역에서 시나브로 나타나고 있다.
7. 한국의 도시문제 해결방안
- 교통문제
오늘날 우리나라의 도시에서 해결되어야 할 주요한 문제의 하나는 교통문제일 것이다. 이러한 교통문제는 격심한 인구집중에 대비하여 교통시설의 정비와 확충이 뒤따르지 못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고밀도의 교통인구를 감당하는 데 가장 알맞은 대중교통수단으로 간주되는 전철 및 지하철은 수도권과 부산에만 한정되어 있고 단조로운 노선망과 타 교통수단과의 연계부족 등으로 도시교통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철의 확충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왜냐하면 지하철의 건설비용이 엄청나게 비싸며 외채에 의한 지하철 건설은 국민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안겨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지하철보다 건설비가 저렴한 제3의 대중교통수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주택문제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은 필연적으로 대도시 및 그 주변지역의 상공업을 집중시켜 노동력의 수요가 생김에 따라 인구집중을 유발하여 주택공급이 불충분하게 되었다. 특히 대도시의 인구집중에 주택공급이 뒤따르지 못하여 주택부족현상이 극심하다.
우리나라의 주택보급율은 1970년대 초에 50%대를 유지하다가 중반에 이르러 60%대를 넘어섰다. 그러나 지금까지 자기 집에서 거주하는 사람은 많아지지 않았으며 주택의 질적 향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주택문제는 고소득층보다는 정책적인 배려를 가장 필요로 하는 서민층의 문제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주택부족에서 빚어진 도시지역의 과밀주거형태는 자칫 주부들의 의식을 도피적 혹은 공격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우려가 있거니와 자녀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사회불안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의 주택정책방향은 좀더 서민층에 배려를 두어야 하며, 우선 공공주택은 규모를 계속 소형화하고 입주대상도 일정 수준이하의 저소득층으로 제한해야 한다. 또한 공공단체는 조합주택, 사원주택 및 각종 공익단체의 주택건설을 촉진해야 한다. 이와 아울러 기존 주택의 시설개선사업도 활발히 추진하고 과밀주거의 생활환경을 개선해야 하며 주택금융을 다양화시켜 수요를 진작시켜야 한다.
- 도시빈민문제
도시 빈민의 문제는 불량주택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들이 거주하는 곳은 주로 달동네, 가마니촌, 뚝방동네, 산동네 등으로 속칭되고 있으며, 이들은 대개 불량주택지대에 거처한다. 그러므로 도시빈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지대는 서구도시의 슬럼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빈민계층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시기는 1960년대부터의 일이다. 국가정책은 농촌, 농업 중심의 정책에서 도시, 공업중심의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공업화 위주의 경제계획과 도시중심의 지역개발을 시행함으로써 이촌향도의 인구이동이 대량으로 발생하였다. 농사짓는 일밖에 모르는 농민출신들은 도시로 유입되어 공식부문의 취업에서 배제된 채 도시 주변지역의 소위 판자촌에서 집단적으로 거주하게 되었다. 그것이 현재의 슬럼이 된 것이다. 현재는 이들 지역 중 도시재개발사업으로 철거되었거나 현지 개량된 곳도 많이 있다.
- 도시 공해 문제
우리나라의 도시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공해지역의 하나로 변모한 것은 1960년대부터 취해온 공업화 위주의 경제정책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사실 그 같은 정책의 결실로 우리나라에 보릿고개와 같은 절대빈곤이 해소되었으며 과거보다 윤택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쫓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환경을 되살리는데 소요되는 경비가 경제성장분을 초과하지는 말아야할 것이다. 이대로 방치하다간 국토의 환경보전은 물론 도시의 공해를 방지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공해의 피해는 생물적 약자- 어린이, 노인, 임산부, 저소득주민-에 먼저 나타나는 것이 현대 공해의 특징이며 또한 사회적 약자-농어민과 근로자들-에게 먼저 발생한다. 생물적, 사회적 강자는 신체가 건강하거나 양호한 환경 속에서 생활하므로 공해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처럼 공해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은 전국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는 도시주민들이 쾌적한 환경 속에서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매연, 소음, 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요인을 조사하여 적절한 조처가 있어야 한다. 또한 앞으로 한국사회는 공업화와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이므로 더욱 심각해질지도 모르는 환경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각개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이다.
- 정보화 사회와 도시정비
지금 인류사회는 공업 사회에서 정보사회에의 역사적 전환기에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물자의 대량 생산, 대량 소비를 중심으로 한 사회에서, 정보의 대량 생산과 고도이용을 중심으로 사회가 변혁하고 있다는 것이고, 현재 산업의 정보화 단계에서부터 개인과 시민 생활의 정비 단계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정보는 벌써 에너지 이상으로 유용한 자원이 되고 있고 정보의 가치의 생산을 중심으로 한 사회, 경제가 발전해 가는 사회를 정보화 사회라고 부른다, 정보화 사회는 오토메이션 단계와 지적 창조 단계 그리고 사회 변혁단계의 3단계를 거쳐 발전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정보사회에서는 종래의 도로와 하수도 등과 같이, 정보통신의 기간적인 시설은 빠뜨릴 수 엇는 도시의 기반이 된다. 이와 같은 발상을 바탕으로 광케이블망, 쌍방향 CATV등의 정보통신 기반을 정보기반이라고 부른다. 현재 정보도시 조성의 구상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전보의 수신, 발신 능력의 강화, 정비를 토대로 도시개발을 진전시켜 보자는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8.24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