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의 개념과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주거의 개념

[주거의 의미와 기능]
1. 주거의 의미
2. 주거의 언어적 해석

住居의 歷史

[석기시대의 주거문화 / 한반도 주거문화의 시작]
1. 구석기 시대 ( ~ 약 6~5천 년경 ) / 인공주거의 시작
2. 신석기 시대 ( B.C. 6000년 ~ B.C. 1000년 ) / 움집의 발달
※ 한국의 원시 시대 주거 유형
3. 청동기 시대 ( B.C. 1000년 ~ B.C. 300년 ) / 정착형 주거로의 발전

본문내용

착생활이 시작) → 주거문화에 영향
-. 정착생활 : 좋은 땅과 파종에서 수확에 이르는 기간 동안 머물러 있어야 했음
-. 내구적인 주거의 건설 필요
-. 협업을 통한 생산의 증대를 꾀함 → 취락의 규모 확대(마을 단위의 영역 계획)
-. 취락주민들을 위한 방어용 시설로 보이는 환호(環濠)가 나타나며 부지 조성을 위한 대규모 토목정지공사 흔적도 확인되었다.
ex) 울산 검단리 유적 - 청동기 취락의 구성
. 환호(環濠)의 흔적 : 마을의 방어(방어적 기능) + 계층간의 거주영역의 구분
. 가마시설 2개소 : 철제 농공구를 제작하기 위한 시설로 추정
- 마을의 공동체적 생활을 위한 영역의 설정, 방어, 공동생활을 위한 시설
-. 문명의 발상과 국가의 탄생은 청동기의 발명으로 시작된다. 청동기의 출현은 권력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청동기는 광석의 채굴운반제련주조 등 일련의 조직적인 노동과정을 통해 생산), 목조부재의 맞춤이 가능하게 되었다.
-. 취락의 입지는 주로 하안(河岸)이나 하천과 관계있는 구릉이 대부분으로 이는 농경생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집터 : 적게는 10 ~ 100여 기 이상
. 반움집 수직벽체가 발생하고 지붕 서까래가 지면에서 떨어지는 움집
으로의 변화 (住居)
-. 주거의 형태 : 청동기시대에도 움집의 형태가 지속되었으나 규모, 평면 구조등 차이
-. 규모 : 40~50m²의 것이 가장 많다.
-. 평면 형태 : 장방형 (cf. 신석기 시대 - 원형이나 방형)
-. 기둥의 배열 : 3개의 기둥이 2열로 배열된 6주식(六柱式)이 보편적
-. 화덕은 한쪽으로 치우쳐 있거나 2개의 화덕을 갖는 사례 발견
-. 저장공이 있는 경우는 드물고 별도의 저장공간이나 시설을 갖는 경우 발견
-. 움집의 특징 (반움집 →지붕이 벽체와 분리되면서 맞배나 우진각 지붕의 가구체계)
. 움의 깊이가 얕아졌다. (30cm 이내의 것이 대부분) → 지상주거로 발전과정
. 원형이나 방형의 평면에서 장방형 평면으로 변화
. 주거면적의 확대
. 저장공의 사라짐과 저장공간의 분리
. 화덕의 편재와 화덕수의 증가
. 초석의 사용 등 → 농경의 발달에 따른 주거 공간의 분화
-. 수직벽체를 만들기 위한 흔적 : 움의 가장자리에 남겨진 수직기둥 구멍자리 발견
ex) 흔암리, 세죽리, 금탄리, 태성리, 공귀리 등
-. 배수구(울산 연암동과 옥현유적)의 설치
-. 화덕시설의 발달
. 화덕의 주변을 둘러 얕은 환형(環形溝)를 판 모습
. 화덕 내부에 단을 두어 불길이 주위로 번지지 않도록 만든 경우
. 화덕에 조리시설로 추정되는 흔적 발견
. 내부공간의 분화
-. 청동기의 반움집의 평면 : 장방형으로 길어지면서 2개의 화덕
(단일 공간 내에서 장소에 따라 공간이 구분 → 내부공간이 구별)
. 바닥에 단차(옥내고상부) : 주변공간과 중심공간을 차별화 (포항 초곡리)
. 칸막이벽을 설치 - 두개의 공간을 만든 예 발견 (울산 다운동 7호 주거지)
-. 단실(單室型) 주거 → 다실형(多室型) 주거로의 발전 (농경생활에 따른 주거의 변화)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0.0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