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통주택 사합원의 형성 과정과 공간구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중국전통주택의 배경
(1)자연환경
(2)사회문화 환경
2.사합원의 형성과 발전과정
3.사합원의 공간구성 및 특성
(1)외부공간의 특성
①배치방식
②영역성
③단위건물의 구성방식
④내적인 폐쇄성
⑤공간연계방식
(2)내부공간의 특성
①평면구성방식
②개구부처리방식
(3)공간사용의 특성
①동선
②주공간의 위계
4.사합원의 공간구성의 기본요소분석
(1)문과 벽, 담장
(2)건물(廳, 堂, 室)
(3)회랑
(4)정원(庭院)

Ⅲ.결론
요약 및 조별토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좋고 화초를 심을 수도 있을 만한 생활공간이다. 원(園)은 화초와 나무를 심고 돌을 쌓아 가산(假山)을 꾸미고 물을 끌어들여 연못을 만드는 등 조경의 비중이 큰 공간이다.
사합원은 원자(院子)를 중심으로 구성되는데 규모가 큰 사합원은 깊이방향으로 원자를 두 개 이상 두어 구성되기도 한다. 이를 일진원(一進院), 이진원(二進院), 삼지원(三進院) 등으로 부른다.(그림4-4~4-7) 원자는 주거공간의 핵이 되는 곳으로서 이를 중정으로 가족의 생활공간이 배열된다. 원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한편으로는 자연과 만나고 사색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인간이 자연과 만나는 곳인 원자에는 다양한 나무나 꽃이 심겨지고 어항이나 화분이 놓이기도 한다. 이러한 면에서 원자는, 마치 거실과 같은 생활공간으로 비워져 있는 한국 전통주택의 마당과는 대비된다. 이밖에 각 건물이 만나는 모퉁이나 회랑의 후면에는 누각천정(樓角天井)이라고 불리는 작은 뜰이 형성되는데 이곳은 바위나 대나무 등으로 꾸며진다.
Ⅲ.결론
●요약
1)중국 주거에서 사합원과 같은 형태의 중정을 두고 건물을 배치하는 수법은 앙소문화시대의 가옥유지에서 중심형 취락 배치로부터 중정이라는 형식이 일찍부터 싹트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이후에도 나타나는 대표적 사례는 상대와 하대 또는 고대의 문헌에서 나타나는 사향의 제도, 서주시대의 궁궐유적지, 춘추말기의 칠기 도안, 한대의 화상전 및 가형명기, 당대 돈황석굴의 벽화, 송대의 문희귀한도 등이다. 이와 같이 많은 유물과 자료로부터 명·청시대의 이르러 완성된 중정을 중심으로 한 사합원식의 배치형태가 중국의 주거역사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2)중정을 가운데 두는 사합원식의 배치수법은 중국인의 주거에 대한 개념이 방어성을 띤 도구적 산물로 보는 경향과 중국의 문화와 사회적 속성이 같이 어우러지면서 사합원과 같은 중국의 독특한 주거형식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3)내원은 내향적 성격의 외부공간이지만, 실질적·상징적 중심공간으로 사합원의 핵이라고 할 수 있다.
4)건물을 서로 연결하면서 중정을 둘러싸고,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계하는 역할을 하는 회랑은 사합원을 하나의 유기체로 만드는 기능을 갖고 있다.
5)평면유형의 기본원칙은 ‘ㅁ’자형에 ‘’자형의 평면이 종방향으로 부가되어 확장되기도 하고, 횡방향으로 연이은 두 개의 주택이 통합되어 확장되기도 하며, 종횡 양방향으로 확장되어 6진 이상의 대규모로 발전되기도 한다.
6)건물이 종축선상에 일렬로 도좌방-수화문-청방-정방-후조방 순으로 배열되지만, 경우에 따라 도좌방과 수화문 사이에 요방이 삽입되는 경우도 있고, 규모가 클 경우 수화문과 청방 사이에 손님의 숙소인 객청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7)전원의 형태가 길고 좁게 될 경우 수화문이 측면으로 이동하여 영벽과 같은 평행선상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영벽과 도좌방 사이에 직각으로 꺾이도록 배치하여 전원의 깊이가 깊어지도록 평면을 구성하기도 한다.
●조별 토론
이와 같이 중국 전통주거 양식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사합원의 형성 과정과 공간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는 추가적으로 공간 비율, 사합원에 반영된 요인을 분석하였고, 좀 더 알고 싶은 것에 대해서는 질문란으로 정리하였다.
공간 비율
4진원 규모에서 마당의 높이와 너비의 비를 살펴본 결과, 종축선상으로 도좌방-수화문-청방-정방-후조방 순으로 진입할수록 마당의 너비와 높이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도식1)
또한 평면적으로 봤을 때 마당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청방에 면해 있는 마당보다 정방쪽에 면한 마당의 비율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건물 또한 위계적 구성에 따라 도좌방, 청방, 정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공간 깊이와 높이가 커진다.
이것으로 보아 마당, 건물의 공간비율도 공간의 위계적 구성에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식2)
사합원에 반영된 요인
첫째는 道의 개념에 바탕을 둔 음양의 이원적 정신세계이다. 중국인의 자연관과 우주관에 바탕을 둔 공간개념은 정방형의 구조로 형상화 되었다.
둘째는 중국 특유의 사회구조의 영향인데, 오랜 봉건사회를 유치해 온 국가로서 위계적 질서와 혈연적 유대관계를 근본, 건축과 주택의 공간구성에도 영향을 주어서 축과 질서 그리고 위계적인 공간구성 등으로 표출되었다.
셋째는 중국 특유의 가족제도이다. 공간사용의 위계와 남녀의 구별은 철저하게 지켜졌고, 주택은 내부적으로는 풍요와 질서를 함축하면서도 외부적으로는 침입과 간섭을 극도로 배제하는 폐쇄적인 구성체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넷째는 풍수사상이다. 중국의 풍수사상은 주택의 위치와 향의 선택 그리고 세부적인 공간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과거의 건물을 통하여 그때의 사회적 제도와 사상 등을 유추 할 수 있다.
질문란
①사합원은 내부 중정을 향해 열린 공간은 목구조를 사용하였지만 외부는 조적식 구조를 사용하였다. 왜 구조를 다르게 하였을까?
②현재는 슬럼가로 변해있다는 조사자료에 의해 사합원의 주택구조는 현재 중국주택양식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중국의 자연환경이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합원 주택양식의 형성 배경은 지리적, 자연환경의 요인보다는 그때의 사회적 인식, 사상이 더 큰 비중을 차지했음이 아닐까?
Ⅳ.참고문헌
1. 북경의 주택/ 손세관/ 열화당 미술문고 301/ 1995
2.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손세관/ 열화당 미술책방 015/ 2002.11
3.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손세관/ 열화당 미술책방 016/ 2002.11
4. 중한 전통주택 비교를 통한 현대적 주택 디자인 개발 :중국 사합원과 한국 전통 상류주 택을 중심으로 / 매문병/ 동서대 대학원/ 2006.02
5. 중국 사합원의 생성과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최장순/한국농촌건축학회/ 2005.02
6. 공간사용특성에 따른 한국과 중국 전통주거 비교연구: 조선시대 양진당과 명·청 시대 사 합원을 중심으로 / 강희/ 국민대 대학원/ 2004
7.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명·청시대 사합원의 주거공간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정온가옥과 북 경 사합원을 중심으로/ 홍철웅/ 전북대 대학원/ 2004.02
  • 가격3,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11.19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1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