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크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로크의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아동교육에 관한 로크의 교육사상
3)가정교육에 대한 로크의 교육사상

2. 로크의 교육목적론

1) 신체교육론
1-1) 교육과 신체
1-2) 자연과 신체교육
1-3) 습관형성과 신체교육

2) 덕성교육론
2-1) 이성적 발달로서의 정신교육
2-2) 아동의 덕성과 교육
2-3) 가정교사와 교육
3-4) 아동의 본성과 교육2

3) 지적교육론
3-1) 읽기교육과 쓰기교육
3-2) 라틴어 교육과 일반과목 교육

3.로크의 교육내용론
1) 기초교과
2) 내용교과와 기능교과

4. 로크의 교육방법론
1) 형식도야이론
2) 습관형성론

5.로크의 교사론

본문내용

고전론의 내용과 배열의 형식적 특성이 정신의 다양한 특성의 형식적 훈련을 이룬다는 교육적인 중요성을 갖고 있다고 믿게 하였다.
형식도야이론의 기본개념에는 첫째, “일반적인 능력”의 존재에 대한 신념이다. 둘째, 형식도야이론은 학습의 ‘일반적인 전이’를 기본가정으로 삼고 있다. 한 가지 내용을 통해 획득된 효과가 다른 내용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셋째, 형식도야이론에서 학교 교과의 분류와 교육내용의 선정 및 배열은 형식적인 정신훈련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2) 습관형성론
로크의 지성에 관한 습관형성의 논리는 어디까지나 신체에 관한 논리에서 유추하여 논하고 있다. 신체→지성(정신)의 유추적 사고방법은 로크의 습관형성론의 중요한 특질의 하나이다. 동시에 그것은 습관형성의 논리 내지는 대상과 표적의 위상 그 자체를 규정하는 것으로 되었다. 그 위상이란 신체와 정신을 서로 가로지르는 외적행위와 내적정신과의 연결점으로서의 행동인 것이다.
5.로크의 교사론
로크는 가정교사에 의한 가정교육을 찬성했고 학교교육을 철저히 부정하고 있다. 유능한 인간을 만드는 것은 관찰과 근면이 따르는 정의와 아량, 절제의 원리로서, 그런 제 성질은 학생들 서로에게서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로크는 가정교사에게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예절을 꼽고 있다. 왜냐하면 좋은 예절은 접촉하는 모든 사람에게서 존경과 호의를 얻게 하고, 다른 모든 좋은 성질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따라서 좋은 성질들을 유익한 것으로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가정교사의 예절을 중시하고 있는 반면 가정교사의 학식의 정도는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가정교사는 완전한 학자일 필요는 없고 단지 학생이 어떤 학문에 대한 개관이나 간단한 학설 정도만을 맛볼 수 있게 가르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가정교사가 학생에게서 권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가정교사에게 때릴 힘이 없다는 걸 알려선 안되며 둘째, 부모 스스로 대단한 존경의 마음을 가지고 가정교사를 대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부모의 교육기능을 가정교사에 전부 맡기고 있기 때문에 단지 지식의 교수로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예절의 모범이 되고, 도야의 중요성을 알고 그 기술을 갖는 교사의 선정을 강조하고 있다. 재산을 물려주는 것보다도 훌륭한 교육에 먼저 투자해 두는 쪽이 장기적 안목으로 보면 이익이 된다는 것이다. 많은 비용을 결코 아까워하지 않도록 충고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0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