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①코(Nose, Nasal)
②비강(Nasal cavity)
③인두(Pharynx)
④후두(Larynx)
⑤기관(Trachea)
⑥기관지(Bronchus)
⑦폐(Lung)
①코(Nose, Nasal)
②비강(Nasal cavity)
③인두(Pharynx)
④후두(Larynx)
⑤기관(Trachea)
⑥기관지(Bronchus)
⑦폐(Lung)
본문내용
로 왼폐는 2개의 엽으로 구성되어있다.
*우측 폐*
■ 세 개 엽으로 구성 : 상엽, 중엽, 하엽
■ 1개의 주기관지 : 좌측보다 짧고, 곧고, 넓다
- 대부분의 흡입된 이물질은 이곳에 침착
■ 3개의 엽(2차)기관지와 10개의 분절 기관지
* 좌측 폐 *
■ 두 개 엽으로 구성 : 상엽, 하엽
- 심장이 위치한 좌측 폐는 우측 폐보다 좁다
■ 1개의 주기관지와 2개의 엽(2차)기관지, 8개의 분절 기관지
* 소엽(lobule) : 폐의 1차 기능 단위
말단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폐포, 폐순환
가스교환 단위 : 호흡 세기관지 ~ 폐포
흉곽강의 내측과 폐의 표면은 각각 벽측흉막 parietal pleura 과 장측흉막 visceral pleura 에 의해 덮여 있다. 두 흉막 사이에 존재하는 세포외액은 폐가 움직일 때 윤활제 역할을 한다.
폐내기관지는 폐의 결합조직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섬유성의 바깥층은 신경이나 림프관 이외에 혈관을 갖고 있어 기관지벽에 혈액을 공급한다. 세기관지 bronchiole 는 지름이 1-3㎜인 작은 공기통로로서 세기관지의 모든 벽은 폐포로 되며 이때의 기도를 폐포관이라 한다. 성인의 폐에는 약 3억 개의 폐포가 있고 그 지름이 약 250-300㎛인 다면체 구조를 하고 있으며 한쪽으로는 기도와 통한다. 폐포 사이중격에는 수많은 모세혈관과 결합조직 섬유가 있다. 모세혈관은 내피세포에 의해 싸여 있으며, 폐포사이중격은 모두 폐포 상피세포에 의해 싸여 있다. 폐포상피세포의 위에는 폐 계면활성제와 함께 폐포대식세포 alveolar macrophage 가 있어 호흡과 함께 폐포로 들어온 이물질이나 세포가 죽어 생긴 세포파편을 제거한다.
폐의 혈액 순환은 산소량이 적고 이산화탄소량이 많은 정맥피가 심장의 우심실로부터 폐동맥을 따라 운반됨으로써 시작된다. 폐동맥은 따라 들어온 정맥혈은 폐포까지 들어가 모세혈관에서 산소를 얻어 심장의 좌심실로 들어간다.
흉막기도혈관은 자율신경계의 구심성신경섬유 및 원심성신경섬유에 의해 지배받고 있다. 10번째 뇌신경인 미주신경 vagus nerve 으로부터 나온 부교감신경섬유와 교감신경줄기의 가지는 주 기관지 부근에서 만나 폐자율신경망을 형성한 후, 기관지벽과 혈관벽을 따라 폐로 들어간다. 교감신경은 폐혈관계에서는 혈관수축작용을, 기관지선에서는 분비운동작용 secretomotor activity 을 나타내며, 부교감신경은 기관지수축을 촉진시킨다
*우측 폐*
■ 세 개 엽으로 구성 : 상엽, 중엽, 하엽
■ 1개의 주기관지 : 좌측보다 짧고, 곧고, 넓다
- 대부분의 흡입된 이물질은 이곳에 침착
■ 3개의 엽(2차)기관지와 10개의 분절 기관지
* 좌측 폐 *
■ 두 개 엽으로 구성 : 상엽, 하엽
- 심장이 위치한 좌측 폐는 우측 폐보다 좁다
■ 1개의 주기관지와 2개의 엽(2차)기관지, 8개의 분절 기관지
* 소엽(lobule) : 폐의 1차 기능 단위
말단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폐포, 폐순환
가스교환 단위 : 호흡 세기관지 ~ 폐포
흉곽강의 내측과 폐의 표면은 각각 벽측흉막 parietal pleura 과 장측흉막 visceral pleura 에 의해 덮여 있다. 두 흉막 사이에 존재하는 세포외액은 폐가 움직일 때 윤활제 역할을 한다.
폐내기관지는 폐의 결합조직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섬유성의 바깥층은 신경이나 림프관 이외에 혈관을 갖고 있어 기관지벽에 혈액을 공급한다. 세기관지 bronchiole 는 지름이 1-3㎜인 작은 공기통로로서 세기관지의 모든 벽은 폐포로 되며 이때의 기도를 폐포관이라 한다. 성인의 폐에는 약 3억 개의 폐포가 있고 그 지름이 약 250-300㎛인 다면체 구조를 하고 있으며 한쪽으로는 기도와 통한다. 폐포 사이중격에는 수많은 모세혈관과 결합조직 섬유가 있다. 모세혈관은 내피세포에 의해 싸여 있으며, 폐포사이중격은 모두 폐포 상피세포에 의해 싸여 있다. 폐포상피세포의 위에는 폐 계면활성제와 함께 폐포대식세포 alveolar macrophage 가 있어 호흡과 함께 폐포로 들어온 이물질이나 세포가 죽어 생긴 세포파편을 제거한다.
폐의 혈액 순환은 산소량이 적고 이산화탄소량이 많은 정맥피가 심장의 우심실로부터 폐동맥을 따라 운반됨으로써 시작된다. 폐동맥은 따라 들어온 정맥혈은 폐포까지 들어가 모세혈관에서 산소를 얻어 심장의 좌심실로 들어간다.
흉막기도혈관은 자율신경계의 구심성신경섬유 및 원심성신경섬유에 의해 지배받고 있다. 10번째 뇌신경인 미주신경 vagus nerve 으로부터 나온 부교감신경섬유와 교감신경줄기의 가지는 주 기관지 부근에서 만나 폐자율신경망을 형성한 후, 기관지벽과 혈관벽을 따라 폐로 들어간다. 교감신경은 폐혈관계에서는 혈관수축작용을, 기관지선에서는 분비운동작용 secretomotor activity 을 나타내며, 부교감신경은 기관지수축을 촉진시킨다
추천자료
기계적 인공호흡
호흡부전 환자간호, 성인 호흡기 장애 증후군, 기계적 인공 호흡
호흡장애 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Ventilator Care(인공호흡기 간호)
tachypnea (빈호흡) R/O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사례연구
호흡기 구조와 기능
인공호흡기 사용법 및 간호
현문사 - 간추린 인체해부학(~신경계까지)
[단전호흡] 단전호흡의 효과와 방법
성인호흡곤란증후군(ARDS) A+간호사례연구
[산과환자를 위한 운동의 원리] 임신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변화, 임신 중 유산소운동 효과, ...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 아동기 호흡기 감염의 특징 상기도 문제 A+
호흡기내과 실습지침서 (인플루엔자 및 폐렴 ) 간호사정, 진단, 문헌고찰,약물,검사실 등 포함
[동서협진과 CASE]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수두증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