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 과정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Ⅱ. 문헌 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 과정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100mg, 1일 3회 복용한다
부작용 : 설사, 구역, 구토, 변비, 가려움, 발진, 간질성 폐렴, 어지러움, 전신권태감 등
금기환자 : 심한 담도 폐쇄 환자, 전격성 간염 환자, 소아, 신질환 환자, 소화성 궤양, 비기능성 담낭환자, 급성 담낭염 환자, 임부 또는 수유부
-Legalon 140mg
효능,효과 : 다음 질환의 보조 치료 : 독성 간질환, 간세포 보호, 만성 간염, 간경변
용법,용량 : 1회 35-140mg(또는 1회 15-60 mg), 일 3회 복용한다
부작용 : 위통, 설사, 알레르기 반응
금기 : 심한 담도 폐쇄 환자, 이 약의 과민증 환자, 12세 이하의 소아
-Zeffix 100mg
효능,효과 : 만성 활동성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증 환자(혈중 HBV-DNA 양성환자에 한함)의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
용법,용량 : 1일 1회 100mg 투여
부작용 : 투여기간 동안 ALT 상승, CPK 상승, 무력증, 피로, 두통, 오심, 구토
금기환자 : 간이식 환자 및 진행성 간질환 환자는 위험성이 높음, 중증 신장해 환자의 경우
-Tepra Tap
약리기전: nonserlective b-adrenegic broking agent
효능,효과
1. 기외수축 (상실성,심실성) 발작, 성빈맥의예방, 빈맥성심방세동, 발작성심방세동, 동빈맥, 협심증, 고혈압, 비후성대동맥판하협착증, 크롬친화세포종
2.갑상선중독중의 보조요법.
부작용: 구토, 변비, 설사, 시력장해, 환각
◎ 간호 과정 적용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S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차여.”
“움직이기 싫어여.”
“움직이면 힘들어 여”
O 호흡수 28회/min
A.C = 93cm
사과형 배모양
복수와
관련되 비효율적 호흡양상
호흡을
편안하게 하도록
유도한다.
Hight fowler's position을 취해준다.
2시간만다 체위 변경을 교육한다.
휴식을 취하게 한다.
하루 4번 호흡음 청진 한다.
청진상 호흡음 정상
호흡수 21회/min
“전보다는 호흡하는게 편해요.”
S“팔다리가 간지러 워요.”
“특히 새벽에 더 간 지러워요”
O팔다리에 긁힌자 국이 있다.
T.bilirubin수치 7.2mg/dl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피부손상을 줄인다.
손톱을 짧게 깍아준다.
가려울 때 부드러운 빗으로 두드리라고 교육한다.
진양성 로션을 발라준다.
미온수 목욕을 하라고 교육한다.
피부에 새로 긁힌 자국이 없다.
소양감 감소로 전보다 전보다 잘 잔다고함.
S“병원에 얼마나 오래 있어야 되는지...”
(한숨)
얼마나 있어야 좋 아질지 몰라서 마음 이 조급해여..”
건강위기와 관련된 개인의 비효율적인 대응
긍정적이 생각을 가지게 한다.
여러사람과 어울릴수 지지한다.
환자가 자신의 무력감, 영적 고민등을 표현하면 적극적인 경청을 한다.
매일 정해놓은 시간에 환자와 대화를 한다.
자조집단에 들도록 권유를 한다.
(cafe.daum.net/healthyliver)
말씀도 잘하시고 웃기도 하신다.
처음보다 부정적인말을 들한다.
환자 자신이 병을 이기려는 의지를 가짐.
Ⅴ. 결론
처음 해보는 Case라 생각보다 많이 어려웠다. 실습 기간 2주동안 Case할 환자를 찾는 것부터 쉽지가 않았다. 다들 병명이 하나 내지는 두 개인 분을 찾으라고 해서 찾았다. 하지만 그분을 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니였다. 병명은 하나이지만 병에 대한 두려움과 마음의 병에 대해 지지를 한다는 것이 생각과 같지 않았다. 그분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것 부터가 나에게 막연했다. 그저 TV나 다른 매체들로만 그렇겠지 했던 것들이 내가 옆에서 보니 대응이 부적절한 부분이 많았다. 부인 이야기가 나올 때면 어떻게 대답을 해야하는지 어떻게 지지를 해야 하는지를 몰라서 당황스러웠던 적도 있었다. 그리고 내가 계획했던 간호들을 다해보지 못 한 것이 안타깝다. 나중에 간호사가 돼서는 정신적인 지지와 독자적인 간호 계획들을 수행해보고 싶다.
처음으로 이곳에서 돌아가신 분을 봤다. 실제로 보는 것은 내가 티비나 다른 매체들을 통해 보는 것들과는 사뭇 달랐다. 그리고 선생님들이 처리하는 모습들도 나에겐 색다른 경험이었다. 나만 당황하고 안절부절 못하고 있을 때 선생님들은 흔들림 없이 일을 처리하는 모습들을 봤을 때 조금은 충격이었다. 내 자신을 조절 할 줄 아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
Ⅵ. 참고 문헌
최철자 외 (2004).성인간호학. 수문사
시그마 외 (2003).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홍근표 외 (2000). 기본간호학. 수문사
부작용 : 설사, 구역, 구토, 변비, 가려움, 발진, 간질성 폐렴, 어지러움, 전신권태감 등
금기환자 : 심한 담도 폐쇄 환자, 전격성 간염 환자, 소아, 신질환 환자, 소화성 궤양, 비기능성 담낭환자, 급성 담낭염 환자, 임부 또는 수유부
-Legalon 140mg
효능,효과 : 다음 질환의 보조 치료 : 독성 간질환, 간세포 보호, 만성 간염, 간경변
용법,용량 : 1회 35-140mg(또는 1회 15-60 mg), 일 3회 복용한다
부작용 : 위통, 설사, 알레르기 반응
금기 : 심한 담도 폐쇄 환자, 이 약의 과민증 환자, 12세 이하의 소아
-Zeffix 100mg
효능,효과 : 만성 활동성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증 환자(혈중 HBV-DNA 양성환자에 한함)의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
용법,용량 : 1일 1회 100mg 투여
부작용 : 투여기간 동안 ALT 상승, CPK 상승, 무력증, 피로, 두통, 오심, 구토
금기환자 : 간이식 환자 및 진행성 간질환 환자는 위험성이 높음, 중증 신장해 환자의 경우
-Tepra Tap
약리기전: nonserlective b-adrenegic broking agent
효능,효과
1. 기외수축 (상실성,심실성) 발작, 성빈맥의예방, 빈맥성심방세동, 발작성심방세동, 동빈맥, 협심증, 고혈압, 비후성대동맥판하협착증, 크롬친화세포종
2.갑상선중독중의 보조요법.
부작용: 구토, 변비, 설사, 시력장해, 환각
◎ 간호 과정 적용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S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차여.”
“움직이기 싫어여.”
“움직이면 힘들어 여”
O 호흡수 28회/min
A.C = 93cm
사과형 배모양
복수와
관련되 비효율적 호흡양상
호흡을
편안하게 하도록
유도한다.
Hight fowler's position을 취해준다.
2시간만다 체위 변경을 교육한다.
휴식을 취하게 한다.
하루 4번 호흡음 청진 한다.
청진상 호흡음 정상
호흡수 21회/min
“전보다는 호흡하는게 편해요.”
S“팔다리가 간지러 워요.”
“특히 새벽에 더 간 지러워요”
O팔다리에 긁힌자 국이 있다.
T.bilirubin수치 7.2mg/dl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피부손상을 줄인다.
손톱을 짧게 깍아준다.
가려울 때 부드러운 빗으로 두드리라고 교육한다.
진양성 로션을 발라준다.
미온수 목욕을 하라고 교육한다.
피부에 새로 긁힌 자국이 없다.
소양감 감소로 전보다 전보다 잘 잔다고함.
S“병원에 얼마나 오래 있어야 되는지...”
(한숨)
얼마나 있어야 좋 아질지 몰라서 마음 이 조급해여..”
건강위기와 관련된 개인의 비효율적인 대응
긍정적이 생각을 가지게 한다.
여러사람과 어울릴수 지지한다.
환자가 자신의 무력감, 영적 고민등을 표현하면 적극적인 경청을 한다.
매일 정해놓은 시간에 환자와 대화를 한다.
자조집단에 들도록 권유를 한다.
(cafe.daum.net/healthyliver)
말씀도 잘하시고 웃기도 하신다.
처음보다 부정적인말을 들한다.
환자 자신이 병을 이기려는 의지를 가짐.
Ⅴ. 결론
처음 해보는 Case라 생각보다 많이 어려웠다. 실습 기간 2주동안 Case할 환자를 찾는 것부터 쉽지가 않았다. 다들 병명이 하나 내지는 두 개인 분을 찾으라고 해서 찾았다. 하지만 그분을 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니였다. 병명은 하나이지만 병에 대한 두려움과 마음의 병에 대해 지지를 한다는 것이 생각과 같지 않았다. 그분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것 부터가 나에게 막연했다. 그저 TV나 다른 매체들로만 그렇겠지 했던 것들이 내가 옆에서 보니 대응이 부적절한 부분이 많았다. 부인 이야기가 나올 때면 어떻게 대답을 해야하는지 어떻게 지지를 해야 하는지를 몰라서 당황스러웠던 적도 있었다. 그리고 내가 계획했던 간호들을 다해보지 못 한 것이 안타깝다. 나중에 간호사가 돼서는 정신적인 지지와 독자적인 간호 계획들을 수행해보고 싶다.
처음으로 이곳에서 돌아가신 분을 봤다. 실제로 보는 것은 내가 티비나 다른 매체들을 통해 보는 것들과는 사뭇 달랐다. 그리고 선생님들이 처리하는 모습들도 나에겐 색다른 경험이었다. 나만 당황하고 안절부절 못하고 있을 때 선생님들은 흔들림 없이 일을 처리하는 모습들을 봤을 때 조금은 충격이었다. 내 자신을 조절 할 줄 아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
Ⅵ. 참고 문헌
최철자 외 (2004).성인간호학. 수문사
시그마 외 (2003).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홍근표 외 (2000). 기본간호학.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