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돈이, 태극도설] 주돈이의 태극도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돈이, 태극도설] 주돈이의 태극도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돈이의 생애와 사상

2. 유교의 혁신

3. 주돈이의 태극도설

4, 태극도설의 배경
(1) 유가 정통설
(2) 도가의 유래설
(3) 불가의 유래설

5. 주돈이의 유학사 중의 입장과 지위

6. 참고자료

본문내용

도는 그릴 수가 없어 부득이 빼겠다.
先天地之偈一有物先天地,無形本寂蓼, 能爲萬物主,不逐四時凋.
이렇게 보면 주돈이의 태극도설은 분명히 도교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고, 그러나 그것은 역시 주돈이에 의해 유가적인 사유에 맞게 개도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시 한번 생각할 것은, 주돈이의 태극도가 태극선천지도와 약도하므로 그를 모방 개조했다는 것은 부인 할 수 없으나, 태극선천지도 자체를 상고하건대, 이 역시 도교의 창작이 아니라 주역의 계사설을 크게 원용한 것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유가쪽에서는 오히려 도교의 태극 선천지도가 유가철학의 영향으로 되었다는 것을 주장해야 되겠고, 그러할 때 주돈이의 태극도설은 주희 말대로 유가 정통의 소산이라 인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쉽게도 주희는 도교의 태극 선천지도 자체가 주역의 계사의 영향으로 이루어 졌다는 것을 내세워 주돈이를 옹호하지 않았다.
(3) 불가의 유래설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주돈이는 승 수애와 깊은 교분을 갖고, 그로부터 비단 태극도설 뿐만 아니라 통서 사상에 이르기까지 깊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은 주돈이의 태극도설, 통서에 대해 불가의 영향이 컸다는 불가들의 주장을 알아보자.
<<사실은 주돈이가 말한 無極而太極 이라는 말은 도교설을 취했기보다는 불가설을 취했다는 것이 옳을 것이다. 대개 불가에서 圓相을 가지고 모든 것의 궁극적인 중심을 삼는다. 예를 들면,覺을 원각,悟를 원오,寂을 원적이라고 하듯이, 옛날 馬祖가 사람을 시켜 도흠선사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그 속에는 하나의 동그라미만 그려져 있었다. 이를 본 도흠선사는 그 동그라미 속에 또 하나의 동그라미를 그려 넣어 되돌려 보냈다는 것이다.>>또 규봉종밀선사가 지은 선원제 전집도서 권하에 미오시중도가 있는데 거기에서는 태극도설의 첫 번째 부분을 眞如로, 두번째 부분을 아뢰야식으로 도시하고, 아뢰야식속에는 진망이덕을 함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 진여, 그리고 진망이덕은 무극, 태극, 양의에 해당한다. 그러니 주돈이의 태극도설은 불가설을 취했다고 해야 하지 않겠는가 ? 주돈이가 말한 무극은 불가에서 말한 진여다. 진여는 對待를 초절하여 언설이 불가하므로 그저 동그라미를 그려 그 순연 무잡함을 표시한 것이다. 주돈이는 그의 통서에서 <誠無爲,幾善惡>이라 했고 또<寂然不動者誠也>라 하여 성은 무극과 같고, 기는 태극과 같은 것처럼 해놓고 있다. 이런것들은 아마도 주돈이가 승 수애의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여간 주돈이와 승 수애가 서로 교분이 두터웠다는 것이 사실이고 보면 주돈이가 불가설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다. 확실히 주돈이의 태극도설이나 다른 사상은 儒, 佛, 道를 고루 섭취한 것임에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생각건대, 주돈이의 태극도설이나 통서는 그 형식은 도교설의 영향이 큰 것 같으나,그 철학적 사유형태는 역시 유가적인 것이 고수되었다고 할 수 있고,그것은 특히 불가의 <진여연기설>에 힘입은 것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쯤에서 그치고 여기서는 주돈이의 태극도설 형성에 있어서의 한 배경으로 제시하는데 그치겠다.
5. 주돈이의 유학사 중의 입장과 지위
주희가 주돈이의 태극도설과 통서에 대하여 칭찬한 뒤에 송, 명의 모든 유학자들은 대체로 그가 이른바 도학의 전통 중에 종사의 지위에 있음을 인정하였다. 이제 주돈이의 학문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첫째, 주돈이의 태극도설이 유교 혁신의 즉, 신유학 형성의 처음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그의 철학의 관념이 그 이전의 공, 맹과 합치되는가? 공, 맹학설의 내부이론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주돈이가 취했던 역전 및 중용의 이론은 형태상으로는 모두 형이상학적 체계로써 천도를 최고의 실체로 삼고 거기에 성의 관념을 보충하였다. 공, 맹은 심성론의 입장이었다. 주돈이의 학설은 결국 하나의 천도관을 이루려고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공자가 인간의 자각을 중시한 사상과는 본래 그 차이가 분명하다. 맹자도 역시 천도에 대하여 언급하긴 하였지만 그 목적하는 바는 여전히 주체성의 의미를 지닌 심성의 관념이었으므로 주돈이의 이론과는 취지가 다르다. 다시 한 걸음 더 나가 주돈이는 오행으로 만물을 해석하였는데, 공, 맹은 본래 저작 중에서 오행에 관하여 언급하지 않았다. 또 주돈이는 무극, 태극 등의 관념으로 온갖 사물의 근본을 강의하였는데 이는 대부분 역전에 의거한 것이다. 공, 맹은 근본적으로 이런 문제에 흥미가 없었으며 이런 문제를 논급한 적도 없었다. 요컨대 주돈이의 학설이 의거하였던 경적은 본래 공, 맹의 말이 아니었으므로 공, 맹의 학설과 다를 수밖에 없다.
둘째, 신유학의 이론은 주희에 의하여 하나의 거대한 종합적인 체계가 되었는데 이 종합적인 체계가운데 주돈이의 학문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주돈이의 학문이 이론적인 입장에서 후세의 유학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가라는 문제이다. 이른바 주돈이가 후세 유학자들에게 미친 영향이란 사실 그가 대표로 하는 천도관 혹은 형이상학과 우주론이 혼합된 체계를 가리키며 이것이 후세 철학에 널리 전하여진 것을 말한다. 총괄하여 유학사의 표면적인 면과 근본적인 면에 대해서 말하면 주돈이는 역전과 중용을 근거로 한 유학이론 중에서 최초의 체계를 대표한다. 이러한 방향은 송, 명유학 가운데에서 하나의 커다란 세력권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체계의 내부적인 면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정과 주희의 사상은 주돈이와는 다르지만, 대체적인 방향에 있어서는 육상산과 왕양명 계열을 제외한 거의 전부가 주돈이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옛사람들은 주돈이가 <앞을 계승하여 뒤를 열어준> 대가였다고 말하곤 하였다. 중용과 역전의 학설이 공, 맹의 학설이 아니기 때문에 <앞을 계승하였다>라는 말이 반드시 주돈이에게 해당되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뒤를 열어 주었다>는 말은 주돈이의 학설이 한 사상의 앞길을 열어 놓았다는 점에 해당시켜볼 때 부끄러움이 없어 보인다.
6. 참고자료
류승국, 동양철학연구, 근역서재
최승호, 동양논리학사, 새문사
김봉모, 세계문화사대계, 대학당
김충렬, 중국철학산고Ⅱ, 온누리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01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