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종류,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구성요인,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순서,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사례,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종류,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구성요인,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순서,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사례,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토의의 개념

Ⅲ.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종류
1. 일제 문답식
2. 대화식
3. 강단식(symposium)
4. 자유 토의
5. 공개식(forum)
6. 대좌석
7. 원탁식
8. 배심토의
9. 워크샵
10. 버즈법
11. 브레인스토밍

Ⅳ.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구성요인

Ⅴ.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순서
1. 준비하기
2. 문학 작품 살펴보기
3. 문학적 체험하기
4. 반응 공유하기
1) 전체 토의Ⅰ
2) 소집단 토의
3) 전체 토의 Ⅱ
5. 내면화하기
6. 정리하기

Ⅵ.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사례

Ⅶ. 문학토의(문학토론, 독서토론)의 방법
1. 토의 전 개인의 반응 성찰 : 학생 개인의 교류 과정 성찰
2. 4단계 토의를 통한 반응의 확장 심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환기되었던 느낌, 생각, 의문점 등을 되돌아보면서 자신의 반응을 응시하고 성찰하게 된다. 이 단계가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이 자신의 반응을 정립할 시간을 가지지 않으면, 맹목적으로 타인의 반응에 동조해 버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문학 텍스트에 대한 첫 반응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반응 일지(response journals)\'를 쓰는 것이다. 반응 일지는 학생들이 독서 가 끝난 후에 쓰게 할 수도 있고, 독서하는 도중에 쓰게 할 수도 있다. 반응 일지에는 단순히 읽은 것을 요약하기보다, 문학 텍스트와 자신의 삶을 관련시키는 내용을 쓰거나, 재미있거나 인상적인 단어나 부분을 쓰거나, 등장 인물에 대한 느낌 등을 쓰게 한다(Tompkins & Hoskisson, 1995).
반응 일지를 쓸 때 교사는 특정한 주제를 주지 않고 떠오르는 생각을 자유롭게 써 보게 할 수도 있고, 반응을 위한 몇 가지 질문이나 주제를 제시하고 써 보라고 할 수 있다. 처음에 반응 일지에 무엇을 써야 할지 잘 모르는 학생들에게는 후자의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 때 반응 일지를 위한 질문들은 학생들이 문학 텍스트를 체험했던 것과 관련되는 주로 심미적인 것들이어야 한다. 반응 일지를 쓸 때 제시할 수 있는 질문이나 지시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Cox, 1996). - 독서하면서 무슨 생각(느낌)이 들었는가? 이야기(시)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이야기(시)에서 궁금한 점은? 이 이야기 다음에 어떤 일이 벌어질 거라고 생각하는가?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는가? 이 이야기(시)에 대해 무엇이든 쓰고 싶은 것을 쓰시오.
반응 일지의 유형 중에서 토의학습의 자료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는 양쪽 일지(double-entry journals)이다. 이 일지는 지면을 반으로 나누어 왼쪽에는 이야기(시)에서 관심을 끌었던 구절이나 사건을 쓰고, 오른쪽에는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 또는 그것에 관련된 자신의 경험, 견해 등을 쓰는 것이다(Yopp & Yopp, 1996).
이 밖에도 작품을 읽고 연상되는 장면이나 인물의 모습을 상상하여 그려 보는 것도 첫 반응을 표현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저학년의 경우에는 그림을 그리고, 토의 단계에서 그림에 대하여 말해 보게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Vance et al, 1997).
이렇게 첫 반응 표현 단계에서 학생들은 공적인 토의 단계로 나아가기 전에 반응 일지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보면서 작품과의 교류 과정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면서 명료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응 일지나 그림은 다음 토의 단계에서 토의를 시작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 교사와 학생이 같이 협의하여 토의 화제를 선정하고자 할 때, 이 반응 일지를 보고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어떤 문제에 가장 관심을 갖는가를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반응 일지나 그림은 교사가 학생들의 텍스트에의 몰입이나 이해 정도, 반응하는 양식 등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 삼을 수도 있다.
2. 4단계 토의를 통한 반응의 확장 심화
① 교사와 학생의 교류
② 학생과 학생의 교류
교사와 학생의 교류(교사중심 전체 토의)
이 단계는 다음 단계인 학생중심 토의 단계로 가기 전에, 교사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토의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명료하게 하며, 반응을 표현하는 방식이나 토의를 이끌어 나가는 방법 등을 안내해 주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다음 단계인 학생중심 소집단 토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사의 주도성이 크다. 이 단계에서 교사가 제공하는 여러 도움을 통하여 학생들은 반응을 표현하고 명료화하는 방식과 토의를 이끌어 나가는 방식 등을 내면화하면서 점차 자기 주도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질문하기(questioning) 전략이 전체 토의 전개에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교사가 던지는 질문은 학생들의 문학 작품에 대한 반응을 표현하고 자극하는 데 영향을 미치며 전체 토의를 이끌어 나가는 매개체가 된다. 반응중심 문학 토의에서는 교사만 질문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도 문학 텍스트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내고 스스로 질문을 제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학생들이 질문을 만들어내는 것은 교사가 어떤 유형의 질문을 좋은 질문이라고 생각하는가 또는 교사가 주로 어떤 질문을 하는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Commeyras & Sumner, 1995). 만약 문학 작품을 읽고 나서 교사가 문학 작품에 대한 사실적 정보를 묻는 단순회상적 질문만 주로 한다면, 학생들 스스로 문학 작품에 대한 질문을 만들 때도 역시 그런 질문만을 제기하게 될 것이다. 또 소집단 토의를 할 때도 그런 문제를 가장 중요한 화제 거리로 다루려고 할 것이다. 그럼 교사는 주로 어떤 질문을 활용해야 할까?
문학교육에서 활발한 독자의 반응을 유도하고 적극적인 독서 태도를 개발시키고자 한다면 심미적인 자세가 주를 이루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Ruddell & Ruddell, 1995), 반응중심 문학 토의학습에서는 교사가 문학 텍스트에 대한 정보추출적 질문보다는 심미적 질문을 제기해야 한다. 정보추출적 질문이란 문학 텍스트로부터 정보나 사실을 획득하는 데 주의를 기울이는 질문을 말하고, 심미적 질문이란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문학 텍스트를 경험한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질문을 말한다. 반응중심 문학 토의에서는 학생들의 문학 텍스트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자극하고 표현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권희정, 독서토론수업으로 하는 논술공부, 중등우리교육, 우리교육(중등), 2006
강태완 외, 토론의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김진섭, 토론하기의 국어교육적 수용 연구, 어문학교육20, 1998
김영훈, 독서토의 학습이 아동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토론과 토론 학습. 1999
신헌재·권혁준·우동식·이상구, 독서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박이정, 1996
임충묵, 독서 토의 학습과 독후감 쓰기 학습이 아동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 석사학위 논문, 2000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