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농주의 실학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농주의 실학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 朝鮮 儒學을 향한 시대적 要請
2. 實學의 배경과 기원
2.1. 시대적 배경
2.2. 사상적 기원
3. 重農主義 學派
3.1. 내용과 성격
3.2. 重商主義 학파와의 관계
4. 重農主義 실학자들
4.1. 磻溪 柳馨遠
4.2. 星湖 李瀷
4.3. 茶山 丁若鏞
5. 맺는 말 - 成果와 限界

본문내용

약용은 18세기를 전후하여 조선 사회에서 강력히 제시되고 있던 개혁의 의지를 집대성했고, 개혁의 당위성을 명백히 해주었던 인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에게는 개혁을 향한 열정과 함께, 빈곤과 착취에 시달리던 민에 대한 애정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그는 시대의 문제점을 밝혀내는 데 과감했으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고뇌하던 양심적인 지식인이었다고 생각된다.
5. 맺는 말 - 成果와 限界
본고에서는 중농주의 실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두 조류가 등장하고 전성기를 이루는 것은 시기를 조금 달리 한다. 물론 다산 정약용의 경우는 두 학파를 넘어서 집대성하고 있지만, 주로 중농주의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에 이르는 시기에 융성했고, 중상주의는 18세기 중반부터 등장하여 융성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당시 조선사회가 내적이고 외적인 측면의 실학 태동 원인과 상통한다. 먼저 조선 후기의 정치, 경제적 모순이 심화되는 내재적 문제로 인해서 자연스럽게 중농주의가 싹트게 되었다는 것이다. 농업을 본업으로 하여 발전해왔던 조선사회에서 사회 개혁의 근본이 바로 농업과 토지 문제가 아닐 수 없었던 것이다. 한편 중상주의 실학은 좀 더 조선의 후기로 넘어오면서 활발해지는 상공업과 대외무역의 상황이 자극하였던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중농주의가 조선 사회의 내적이고 근본적 차원에서 개혁에 접근하고자 했던 것이라면, 중상주의는 외적인 변화를 주어 민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둘은 서로 상호 보완적인 조선사회 개혁론이었던 셈이다.
앞서 서두에서 말한 바와 같이, 실학 사상은 근본적으로 시대적 요청에 따른 응답이었다. 조선이라는 오랜 역사의 왕조가 내적, 외적으로 내홍을 앓던 시기에 그 구조적 변화를 요구하는 역사적 열망에 대한 선각자들의 고민이자 열정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개항 이전의 조선 후기를 마무리하면서 개항과 함께 시작되는 근대 사회를 열기 위한 준비이기도 했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영.정조 시기에 일부 정책으로 채용되기는 하였으나, 실학자들의 논의가 국가 정책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반영되지는 못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로 인해서 근대를 위한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채 개항과 함께 혼란의 시기로 접어들었다는 점이다.
또 한 가지 지적할 것은 조선의 실학은 왕도정치의 구현이라는 유학적 이상의 실현이라는 차원의 연장선상에 있었다는 것이다. 유형원, 이익, 정약용은 조선 후기 대유학자였으며, 그들의 실학 사상은 철저히 유학에서 도출한 것들이다. 다만 무게 중심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달리하였을 뿐이었다. 특히 다산의 토지제도 개혁론은 전통적 왕토사상의 구현이라는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었다. 따라서 실학도 거시적 차원에서 본다면 전근대적 차원에 머물러 있었으며 유학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실학자들은 과연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는 것일까? 개인적으로 한 가지를 지적하고 싶다. 현대 사회가 조선과 같은 농업사회는 아닐지라도 적어도 농업은 인간의 먹거리를 제공해 주는 근원적인 산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산업화라는 이름으로 농업을 희생시키면서 산업, 공업을 발전시켜왔다. 건국 이후 산업화 시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피한 점은 인정한다 치더라도 이제 부터라도 다시 농업정책을 경제논리만이 아닌 근본적인 차원에서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것이 조선의 실학자들이 우리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참고 문헌 및 자료]
1. 단행본 및 논문
한영우, 『다시 찾는 우리 역사』, (경세원, 2007)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열음사상총서15』, (열음사, 1994)
금장태,『韓國實學思想硏究』, (집문당, 1987)
이익, ≪곽우록≫, 『실학사상독본3』, (한길사, 1992)
金泰永, 『실학의 국가개혁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교사용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2005)
남상락, “한국 실학사상의 철학적 고찰”, 석사학위 논문(성균관대학교, 1791),
李乙浩, “韓國의 實學思想에 대하여”, 『한국의 실학사상-삼성세계사상31』, (삼성출판사, 1993),
柳馨遠, <磻溪隧錄>, 姜萬吉 譯, 『한국의 실학사상-삼성세계사상31』, (삼성출판사, 1993)
姜萬吉, “柳馨遠과 개혁사상”, 『한국의 실학사상-삼성세계사상31』, (삼성출판사, 1993)
姜萬吉, “李瀷과 <星湖僿說>”, 『한국의 실학사상-삼성세계사상31』, (삼성출판사, 1993)
金泳鎬, “丁若鏞과 <經世遺表>”, 『한국의 실학사상-삼성세계사상31』, (삼성출판사, 1993)
2. 인터넷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실학”,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5706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학”,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95377&v=4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세치용”,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341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세치용”,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34198&v=4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용후생”,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66701&v=43
한민족문화대백과, “유형원”,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7151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익”,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78350&v=4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약용”, (동방미디어, 2001)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301423&v=43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