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전자정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서론

2. 전자정부의 성과와 한계

3. 차세대 전자정부의 비전 및 추진전략

4.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전략 및 방안

5.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위하여 모바일 전자정부를 구현하려는 전략을 수립 중에 있다.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기존 유선인터넷 중심의 전자정부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유무선 통합의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제까지 전략적인 방향 없이 부처별 또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산발적으로 추진되었던 방식에서 벗어나 정부 모바일 공통 게이트웨이 등을 구축하여 중복 개발 및 낭비 요소를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림 8] 모바일 전자정부 구성 아키텍처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은 정보통신부의 이동통신망 개방 계획과 맞추어 공공부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공통 게이트웨이를 구축하고, 이를 각 이동통신사업자의 IWF(Inter-Working Function) 등 망연동장치와 연동한 정부 모바일 IDC(Internet Data Center) 형식으로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위 [그림 8]은 효율적인 모바일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구성도를 제시하고 있다. 모바일 전자정부를 추진한다는 것은 기존 유선인터넷 중심에서 제공되었던 전자정부 서비스를 무선인터넷 환경으로 확장한다는 의미 외에도, 모바일 단말기 및 네트워크에 특성화된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된다.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를 통한 결과 통지 및 모바일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통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는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을 통해서만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로 분류된다. 특히 위치기반서비스는 공공 안전, 물류 등과 관련된 공공 영역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모바일 전자정부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식 이외에도 무선 LAN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보완되어 추진될 필요가 있다.
모바일 전자정부를 포함한 유비쿼터스 전자정부에 대한 추진은 유럽 등 전자정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다채널 전략(Multi-Channel Strategy)을 통한 전자정부에 대한 접근성 제고 및 전자정부서비스로부터의 소외 계층 완화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며, 보다 개인화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정부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져 대국민 맞춤서비스(CRM)가 가능해질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전자정부서비스에 접근 가능한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을 통하여 전자정부서비스의 시·공간이 보다 단축되며 서비스 내용도 더욱 고도화될 것이다.
유비쿼터스 전자정부의 추진은 모바일 전자정부를 구축함으로써 그 접근성을 확장한 후 KIOSK, DTV, 전화기 유럽 등 전자정부 선진국에서는 일반 전화기를 통한 전자정부 접속 방법으로 VoiceXML 등을 검토하고 있다.
등으로 그 접속 매체를 단계적으로 확장해 나가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제까지 제공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영역에서의 전자정부 서비스 창출과 연계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연구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위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국내에서는 제 3공간이란 개념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물리적인 영역과 사이버 영역의 융합인 제 3공간을 통한 전자정부 영역의 확대는 지능화된 도로와 자동차를 통한 ITS 분야, 소형 칩을 활용한 의료 분야, 스마트먼지(Smart Dust) 등을 활용한 국방 분야에 우선적으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유비쿼터스 전자정부는 기존 유선인터넷 중심의 전자정부를 고도화하고, 국민으로 하여금 전자정부에 대한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유비쿼터스 전자정부에 대한 시작은 모바일 전자정부를 구축함으로써 가능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은 전자정부 서비스를 단순하게 모바일 단말기로 연장하는 것에 그치는 것은 그 의미가 축소되며, 유무선 통합과 보편적 상시접속이라는 전략 하에서 추진되었을 때 비로서 그 의미가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개념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비쿼터스 전자정부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제 3공간으로의 공간개념 확대가 주요한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현재 기반 기술의 개발 및 확산 문제와 구축사업으로서의 현실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관련 제 3공간에 대한 논의는 아직 검토 초기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제 3공간에서의 응용서비스 개발 및 활성화에 대한 논의는 일단 민간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전자정부 추진은 모바일 전자정부에 대한 전략적이고도 체계적인 접근, KIOSK, DTV, 전화기 등 다양한 매체로의 접근성 확대, 현재 추진 중인 ITS 및 위치기반기술 등 대상 영역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Accenture, eGovernment Leadership: Realizing the Vision, April 2002.
[2] Mark Weiser. Hot topic: Ubiquitous Computing IEEE Computer, Oct. 1993, pp.71~72.
[3] Mark Weiser & John Seely Brown, Designing Calm Technology, PowerGrid Journal, v 1.01, July 1996.
[4] Mark Weiser & John Seely Brown, The Coming Age of Calm Technology, October 1996.
[5] 노무라총합연구소,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시장창조, 전자신문사, 2002.
[6] 정보통신부, e-KOREA VISION 2006, 2002. 04.
[7] 하원규, 김동환, 최남희,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2002.
[8] 한국전산원 , Beyond e-Government 비전수립 및 중점 추진과제 개발, 2002.
[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biquitous 연구 동향 및 향후 전망, 2002.

키워드

  • 가격무료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