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요점 정리 자료입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 요점 정리 자료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봉합
- 시상봉합, 인자봉합, 관상봉합, 전두봉합
⑶ 천골
- 대천문, 전두천골: 생후 18개월 내에 닫힘
- 소천문, 후두천골: 생후 6~8주 (2~3개월)에 닫힘
⑷ 두개변형
- 아두가 모체 골반을 통과하면서 적응하는 과정
- 정도는 다양
- 3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옴
⑸ 두개골의 주요 경선
① 대횡경선 (두정골간경, BPD)
② 소횡경선 (관상봉합간경, BTD)
③ 전후경선 (OFD)
④ 소사경선 (SOB)
⑤ 대사경선 (OM)
2) 모체와 태아와의 관계
⑴ 태세(attitude)
- 태아신체 각 부분, 즉 태아의 머리, 몸통, 사지와의 상호관계
- 정상태세: 난형(등이 굽어지고 머리는 가슴쪽으로 굴곡되고 하지는 서로 교차된 상태로 굴곡되어
대퇴 앞면에 놓여 있으며 손도 교차된 상태 → 완전굴곡)
- 소사경선(가장 짧은 경선이 골반 입구 통과)
⑵ 태위(lie)
-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상호관계
- 종류: 종위(longgitudinal lie) → 두부 or 둔부
횡위(transverse lie) → 질분만 불가
⑶ 선진부(presentation)
- 골반입구에 제일 먼저 들어가는 태아의 부분,
경관내구를 덮게 되는 태아의 부위 또는 분만동안 산도를 통해 선두가 되는 부분
- 두위(95%), 둔위(3%), 견갑위(1%)
- 결정 요인: 태아의 태세, 태위, 아두의 굴곡과 신전
- 종류
① 두위: 두정위, 안면위, 전정위, 전액위
② 둔위, 골반위: 순골반위, 완전 골반위, 불완전골반위, 양족위, 슬위
③ 행위, 견갑위
⑷ 선진부 지적부위(denominator)
- 자궁내 태아의 태향을 정하는 선진부의 지점
- 지적표시
① 두정위 - 후두골- occiput …… "O"
② 둔위 - 천골 - sacrum ……… "S"
③ 안면위 - 턱 - mentum ……… "M"
④ 횡위 - 견갑골 - scapular …… "Sc"
견봉 - acromion …… "A"
⑸ 태향(position)
- 선진부와 모체골반과의 상호관계
- 3글자의 약어로 표시: ROA, LOP
⑹ 선진부의 하강정도
- 태아의 선진부와 좌골극 간의 거리로 표시
- 좌골극 수준에 도달 → 선진부 하강정도 0
- 좌골극 1cm 아래 → 선진부 하강 +1
- 좌골극 1cm 위 → 선진부 하강 +0
- station +4~ +5 → 아두가 곧 만출을 의미
⑺ 함입
- 완전 굴곡된 두정위인 경우 가장 넓은 경선인 대횡경선이 진골반을 통과했다는 의미
⑻ 동고정위와 부동고정위
① 동고정위(synclitism)
: 아두의 시상봉합이 골반의 천골갑과 치골결합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며
모체의 골반 평면과 두개골이 평행상태로 놓인 경우
② 부동고정위(asynclitism)
: 아두의 시상봉합이 천골갑에 가깝게 놓여 있거나 또는 치골결합에 근접해 있는 자세로
아두가 골반강에 적응하기 위한 정상적인 반응이나
한쪽으로 너무 치우치거나 부동고정위 상태로 지연되면 → 아두골반 불균형(CPD) 의미
3. 만출력(power)
1) 1차 만출력: 불수의적 자궁수축
- 정상적인 자궁수축은 자궁저부에서 시작→자궁경관을 이룸
- 자궁상부가 점점 짧아지고 두꺼워지면서 자궁하부를 끌어당김
- 자궁수축(1차 만출력) → 경관의 소실, 개대, 태아하강에 관여함
⑴ 소실(effacement, 거상)
- 분만1기 동안 경관의 길이가 짧아지고 경관의 두께가 얇아져
자궁경부 길이 2~3cm, 두께가 1cm가 소실되는 것을 의미
- 초산부: 개대가 일어나기 전 먼저 소실됨
- 경산부: 소실과 개대가 동시에 일어남
- 거상의 정도는 %로 표시(~100%)
⑵ 개대(dilatation)
- 자궁경관이 분만1기 동안 확장되는 것을 의미(1~10cm)
- 완전 개대: 10cm 정도의 개대로서 내진시 경관의 부분이 촉지되지 않음
- 경관의 개대는 분만1기 중 거의 활동기에 이루어짐
- 염증이나 수술로 인해 경관이 손상을 받게 되면 경관개대가 지연될 수 있음
- 분만1기에 수의적으로 힘을 주는 것은 경관개대에 도움이 안됨
- 자궁 개대 요인: 자궁상부 퇴축, 선진부의 압박, 양막의 압력
자궁수축의 특성
① 불수의적(involuntary)
· 자궁근육은 불수의적 신경지배
· α수용기 → 자궁수축, β수용기 → 자궁이완
· norepinephrine, epinephrine α·β수용기 모두에 기능
- 프로게스테론 존재시 → β수용기 자극
- 에스트로겐 존재시 → α수용기 자극
② 주기성(intermitent)
· 수축(contraction), 이완(relax)의 반복
- 빈도: 수축의 시작부터 다음의 시작까지
- 기간: 수축이 시작되어 사라질때까지
- 강도: 수축의 강도는 mmHg
· 자궁저부의 우성원칙:
- 자궁저부의 자궁각에서 시작, 자궁저부의 수축 강도, 기간 > 자궁하부
③ 동통(pain)
2) 2차 만출력: 수의적으로 밀어내는 힘
- 선진부가 골반층에 도달하면 산부는 대변 볼 때 힘을 주듯이 힘이 주어지는 것을 느낌
→ 횡경막과 복근 수축 → 복강내 압력 상승 → 태아만출
- 분만2기 선진부가 만출된 후에는 수의적인 힘을 주지 못하도록 교육
→ 이 시기에 과도한 수의적인 힘은 외음부에 외상과 손상을 입힐 수 있음
- 선진부가 질구를 향하여 내려올 때 항문올림근도 함께 수축함
4. 심리적 반응(psychological response)
-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신감, 불확실성,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양상,
분만과정과 출산에 대한 태도, 기대, 통증, 불안 등
- 산부의 불안: 카테콜라민 호르몬 분비 → 혈관과 근육 수축
→ 더 많은 통증 유발, 경관개대에 영향 → 분만 지연
- 분만에 대하여 미리 준비: 분만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 확신감, 분만통증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처함
5. 산부의 자세(position)
1) 직립자세(걷기, 앉기, 쭈그리고 앉기, 무릎꿇기)의 영향
- 태아하강이 잘되고 자궁수축도 강해지고 거상과 이완이 촉진되는 효과
- 제대압박의 위험 감소
2) 앙와위의 영향
- 대동맥과 상행정맥 압박 → 심박출량 감소 → 기립성 저혈압 발생 → 태아심음의 감소
→ 측위로 누워있기를 원하는 경우 측위로 눕게 함
  • 가격5,0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