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and Third World(Ⅱ) : South East Asia & Middle East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국과 동남아 관계
1. 냉전 전후 중국・동남아 관계
1) 냉전기 중국・동남아 관계
2) 탈냉전기 중국・동남아 관계

2. 동남아 각국과 중국의 관계
1) 미얀마
2) 태국
3) 베트남
4) 라오스·캄보디아
5) 인도네시아
6) 필리핀
7) 말레이시아

3. 중국・동남아 간 최근 현안
1) 안보환경 측면 : 남중국해의 영유권 분쟁
2) 경제발전 측면 : 경제 위협론 및 중・일 간의 동남아 시장 경쟁
3) 동남아권 화교의 정치·경제 측면

Ⅲ. 중국과 중동 관계
1. 중국의 對중동정책
2. 중동의 각국과 중국 관계
1) 사우디 아라비아
2) 이란
3) 이라크
4) 기타 국가
Ⅳ.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으며, 미국은 911테러 이후 이라크를 손에 넣음으로써 안정적인 에너지를 바탕으로 21세기 세계의 패권국가로 군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으며, 더불어 21세기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을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반미정서가 강한 후세인 정권과의 상대적 친밀감을 이용하여 우수한 품질과 풍부한 매장량을 자랑하는 이라크 원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으나, 미국의 이라크 점령으로 인해 이 같은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李意, “海安全局看中的能源外交西非洲上海志社年 第2期,p。48 재인용
4。기타 국가
걸프협력협의회 GCC GCC(Gulf Cooperation Council)는 1981년 창설된 페르시아 걸프 연안 6개국 간 경제협력기구로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UAE, 오만, 카타르, 바레인이 회원국으로 있다. 6개국의 산유량은 약 1,500만b/d로 세계 전체의 18%, 중동 산유량의 65%를 차지한다.
는 1981년에 창설된 페르시아 걸프연안 6개 국가들 간 경제협력기구로 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 UAE, 오만, 카타르, 바레인이 회원국이다. 6개국의 산유량은 약 1,500만 b/d로 전 세계 산유량의 18%를 차지하고 중동 산유량의 65%를 차지한다. 중국의 중동 원유 수입량이 2025년에는 700만 b/d 로 증가하고 원유 수입에 있어서 중동의존도가 현재 50%에서 7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국과 GCC국가들의 경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2005년 중국은 이라크, 쿠웨이트, 오만, 예멘, 시리아 등으로부터 각각 117.0만톤, 164.6만톤, 1,083.3만톤, 683.9만톤, 2,387만톤 의 원유를 수입하였다. 중동지역은 국내 정치경제사회 상황이 불안정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원유매장량과 생산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세계 원유수입국들의 에너지 자원 의존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고 앞으로 계속될 전망이다.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도 예외는 아니다. 1990년대 이후 중국의 에너지 자원외교는 공급의 다원화 전략으로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지만, 중동지역에 대한 의존도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중동에서 각국의 갈등과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Ⅳ. 결 론
동남아 국가들의 중국에 대한 상이한 인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남아 지역에서의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영향력 구축 목표는 동남아 국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는 데 한계가 있다. 동남아 국가들은 안보상 여전히 미국에 더 의존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동남아가 미국 등 역외 강대국 사이에서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균형자 역할을 하기란 사실상 쉽지 않다. 중국 스스로도 다극화전략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한계를 인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 지역에서 미국을 견제하기보다는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강대국과의 외교를 중시하면서, 경쟁보다는 공존을 표방하는 외교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이 바로 헤징 전략 이다. 헤징 전략은 미국과 중국의 양자 가운데 어느 쪽도 분명하게 선택하지 않으면서, 이들 강대국으로부터 자신의 최대 이익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예경, 상게서 p.339
최근 에너지 외교에 힘쓰고 있는 중국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앞으로 중동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것이라 예상이 된다. 또한 2004년 중국과 GCC간 FTA 추진 합의로 양 지역간 경제협력 관계는 더욱 강화 될것이며, 중동지역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참고문헌
● 단행본
양승윤·황규희 외, 『동남아-중국관계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3
한국국제정치학회 중국분과, 김예경편『중국 현대국제관계』, 오름, 2008
김재철, 『중국의 외교전략과 국제질서』, 폴리테이아, 2007
●연구논문
심기은·노기현·이선미, “중국의 에너지 자원 확보 외교 전략과 우리의 대응방안 연구”,정책연구보고서,에너지경제연구원, 2007년 12월
박번순, “중국의 경제 동남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나”Chindia Journal, 2007년 2월호
박복영, “중국의 석유소비급증과 중동진출 동향”, 에너지 포커스, 제1권 8호,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년 8-9월호,
박사명, 「전장에서 시장으로 : 중국 - 동남아 관계의 지속과 변화」 『동남아시아 연구 15권 2호』
이동률, 「탈냉전기 중국의 동남아 외교:전략과 목표」,『中蘇硏究』, 24권 3호, 2000
유철종, ‘남중국해의 남사군도 영토분쟁에 관한 연구’,정치정보 연구 제8권 제2호, 2005
외교통상부 에너지자원협력과 , 에너지자원:이라크 서울:늘봄플러스, 2008
정재갑, 중국의 에너지 외교정책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08
李意, “海安全局看中的能源外交西非洲上海志社年 第2期
李,走出冷世界大中外略, 南,南出版社,1997
野村總合硏究所, 「華人경제권의 시대」,『財界觀測』, 1993
BP Statistic Review of World Energy. 2008
John Keefer Douglas. Matthew B.Nelson and Kevin Schwartz. op. cit.,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John Keefer Douglas. Matthew B.Nelson and Kevin Schwartz. op. cit., China and Iran
John Keefer Douglas. Matthew B.Nelson and Kevin Schwartz .op.cit., "China and Saudi Arabia"
● 신문기사등
KOTRA 콸라룸프,양곤,방콕 KBC 2008. 무역자료
“석유,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 석유회보 KPA Magazine, 석유협회, 2008년 3-4월호
“사우디 국왕 베이징에서 중국 주석과 에너지 협정 체결”, News VOA.com, 2006년 1월 23일
“日 ‘경제코드’로 동아시아 묶는다,” 서울신문, 2007년 11월 21일
“중국, 이란 산 에너지 수입키로”, 에너지 포커스,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년 12월
人民日報 2001년 7월 2일
  • 가격5,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07.2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