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민화(民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민화(民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Ⅱ. 민화(民畵)의 개념과 정의 1
 1. 민화의 개념과 정의 1

Ⅲ. 민화의 기원과 발전 2
 1. 민화의 기원 2
 2. 민화의 발전 2

Ⅳ. 민화의 작가 3
 1. 도화서(圖畵署)의 정통화원과 시골의 환쟁이들 3

Ⅴ. 민화의 주제와 종류 4
 1. 민화의 주제 4
 2. 민화의 종류 4
  (1) 화조도(花鳥圖)·초충도(草蟲圖)·영모도(翎毛圖) 5
  (2) 어해도(魚蟹圖) 5
  (3) 호작도(虎鵲圖) 6
  (4) 십장생도(十長生圖) 7
  (5) 문자도(文字圖) 8
  (6) 책거리 그림 8

Ⅵ. 민화의 기능과 역할 9
 1. 민화의 기능과 역할 9

Ⅶ. 민화의 특징과 의의 9
 1. 민화의 특징 9
 2. 민화의 의의 10

Ⅷ. 맺음말 10

본문내용

한 역원근법(逆遠近法)으로 그렸는데, 이는 서양의 현대 미학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화법이고 배경에는 대체로 아무것도 그리지 않았다. 주로 선비가 아들의 방을 장식하기 위해 주문하였고 서재에 비치된 것으로 보아 학문에 정진하고 글공부를 적극 권장했던 당시의 생활을 엿볼 수 있다.
Ⅵ. 민화의 기능과 역할
1. 민화의 기능과 역할
민화의 기능과 역할은 그것이 필요로 했던 시대의 생활과 연관시켜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민화는 회화이면서 정통회화에 비해 생활미술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민화의 소재들은 순수감상을 위한 것들도 있긴 하지만 그 외에 기복축사(祺福逐邪), 벽사진경(僻邪進慶). 권선징악(勸善懲惡)과 같은 기원이나 소망 그리고 민간신앙이나 종교적인 측면을 강하게 띠고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효(孝)·제(悌)·충(忠)·신(臣)·예(禮)·의(義)·염(廉)·치(恥)의 여덟 글자로 이루어진 문자도를 보면 일상생활의 도덕이나 윤리규범이 담겨있고 책거리 그림에는 학문 존숭의 뜻도 내포되어 있다. 특히 문자도는 당시 서민들을 유교적 도덕관으로 교화시키는데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 할 수 있다. 값싼 가격으로 대량 보급이 가능했던 문자도는 서민사회를 유교적 도덕이나 윤리 속에 질서 있게 유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모란꽃이나 알을 많이 낳는 물고기와 게 등이 많이 그려진 것은 부귀영화나 부귀다남, 자손번성 같은 민간의 소박한 염원을 적극적으로 표출한 결과이다. 이렇게 볼 때 민화는 우리 선조들의 꿈과 사랑, 도덕과 윤리, 신앙과 종교. 학문존숭 등의 내용을 표현하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지니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이외에도 민화가 지니고 있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기능은 장식의 역할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민화는 대개 화려한 채색과 뛰어난 장식성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는데 특히 산수, 인물, 영모, 화조 등 다양한 주제의 그림들 중에서도 현재 남아있는 민화의 절대 다수가 화조화로 이루어진 것을 보더라도 민화의 장식적 기능이 대단히 컸던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화조화에도 서민 대중이 바라는 소박한 소망과 기원이 담겨져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와 함께 장식적인 면에서도 매우 큰 역할을 했음이 분명하다. 이처럼 민화는 정통회화보다도 우리 선조들의 소망과 염원의 다양한 측면을 훨씬 더 뚜렷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민화는 정통회화 못지않게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Ⅶ. 민화의 특징과 의의
1. 민화의 특징
민화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간단히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왜냐하면 민화에서 볼 수 있는 양상이 수없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통회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정통회화의 특징과도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민화의 특징을 굳이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천진성이나 해학성·단순성을 두드러지게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성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민화에서는 비단 단순성만이 아니라 주제나 내용, 표현방법 등 여러 측면에서 집합적으로 볼 때 다양한 양상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정통회화에 비해서 채색이 특히 강하고 장식성이 두드러진 것을 부인할 수가 없다. 조선시대의 회화는 유교사상이나 유교미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수묵담채가 기본을 이루고 있었던 것에 비해 서민 대중사이에서 유행한 그림, 또는 궁중의 인습적, 전통적 그림에서는 이처럼 강한 채색을 지니고 있어서 큰 대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런 강한 채색들이 들어간 민화는 한국회화에서 채색을 중시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기존을 생각에 큰 변화를 제시한다. 강한 채색 중에서도 산수화에서는 청록산수의 전통이 강하게 전해져 내려온 것을 볼 수 있고 모란꽃 그림 같은 데에서는 밝고 선명한 붉은 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어 정통회화의 수묵화조화에 비해 대단이 장식성이 강하고 강렬한 한국적 특성을 꾸밈없이 나타낸 점이 주목된다. 민화의 색채는 우리의 색채감각이나 미의식을 파악하는데 가장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2. 민화의 의의
민화는 매우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정통회화 이상으로 한국적 특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대단히 크다고 볼 수 있다. 정통회화가 교육받은 사람의 세련된 말씨에 비유될 수 있다면 민화는 순박한 농부의 투박한 말씨에 비유될 수 있을 듯하다. 민화는 우리의 민족성과 문화적 특성을 가식 없이 드러내 준다. 또한 민화는 서민대중의 생활과 염원을 드러내고 문화적 성격과 독창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회화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당시 역사, 문화와 관련하여 대단히 큰 의미가 있고 할 수 있다. 또한 민화를 통하여 사회를 풍자하기도 하고 민화 이외에는 현재 민중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민화는 조선시대의 풍속화와 함께 그려진 시대의 사회상과 생활상을 추정 할 수 있으며 민화에는 일반 민중의 삶이 녹아내려 있는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민화는 역사상 유래 없는 모든 계층을 다 아우르고 있어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Ⅷ. 맺음말
앞의 내용들을 통해 민화는 민중만의 그림이 아니며 모든 계층을 어우르는 그림이었고 발생의 원인은 복을 부르고 잡귀를 물리치며 집안의 평화를 부르고 자손의 번영을 바라는 소망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물론 그 배경에는 조선후기 상공업의 발전과 고대에서부터 이어져 온 역사·문화의 축적도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에도 민화는 현존하고 있고 지속되고 있으며 민화를 통해 사람들은 마음의 안녕을 찾는다. 그 예로 현재에도 대부분의 집에는 달마도나 호랑이·학 그림이 걸리고 있다. 달마도를 민화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도 있지만 달마도를 거는 이유를 길상벽사·기복호사를 바라는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면 달마도 역시 민화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민화는 특정한 형식도 특정한 화법도 없는 말 그대로 자유분방한 그림이다. 사람들의 마음속에 항상 복을 바라고 집안의 안녕을 바라고 자손의 번영을 마음이 남아 있다면 앞으로도 민화의 전통은 계속 이어질 것이면 더욱 다양한 민화들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8.1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