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유형과 중요성,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지도과정,실제,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문제점,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효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유형과 중요성,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지도과정,실제,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문제점,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유형
1. 자아 중심의 활동
2. 재료 용구의 중심의 활동
3. 감상 중심의 활동
4. 문제 해결 중심의 활동
5. 생활자기의 중심의 활동
6. 가치 이해 중심의 활동

Ⅲ.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중요성
1. 첫째
2. 둘째
3. 셋째
4. 넷째

Ⅳ.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도예실
1. 교과교육실(도예실)의 의의
2. 교과교육실(도예실)의 필요성

Ⅴ.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지도과정
1. 진단
2. 계획
3. 기초 기능의 지도
4. 실제 제작
5. 장식하기
6. 건조
7. 소성

Ⅵ.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실제
1. 발상 단계의 지도
2. 표현 활동의 지도
1) 흙
2) 그릇 성형
3) 점토판에 부조로 표현하기
4) 장식용 벽걸이 만들기

Ⅶ.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문제점

Ⅷ.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효과
1. 아이들
2. 교직원
3. 학부모

참고문헌

본문내용

틀에 대량으로 찍어서 만든 후 염료로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어 회화성이 있다. 흔히 학생들이 체험학습장에 가서 초벌 구이 된 그릇에 붓으로 염료를 찍어서 자기가 원하는 그림을 그려 넣으면 체험학습장에서 재벌 구이해서 예쁘게 완성된 작품을 돌려받을 수 있다.
2) 그릇 성형
그릇 성형할 때는 만들고자하는 형태와 크기, 수량에 따라 적절한 성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릇의 성형 기법에는,
가) 빚어서 만들기
적당한 량의 점토를 손바닥에서 둥글게 굴린 다음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서 돌려가며 기물의 형태를 빚어서 만드는 기법
나) 말아 올려서 만드는 기법
점토를 잘 주물러서 바닥에 놓고 손바닥으로 떡가래처럼 빚은 다음, 말아서 쌓아가며 만들어 가는 기법. 떡가래 기법이라고도 한다.
다)점토판으로 만들기
점토로 판을 만든 후 원하는 형태로 붙여가며 완성하는 기법.
점토판을 만든 후 가장 자리를 올려서 만드는 간단한 기법.
(참고 작품) 재떨이. 접시, 쟁반 등
점토판을 사각형으로 재단한 후 꼭짓점 부분을 사각형으로 오려내고 불여서 올리는 기법.
(참고 작품) 쟁반, 상자모양의 그릇 등
라) 주입식 기법
석고 틀을 만들고 거기에 흙물을 부어서 같은 형태의 작품을 다량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기법
마) 물레성형 방법
전기 물레의 회전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만드는 기법
※ 초등학교에서는 빚어서 만들기의 성형 기법. 말아서 만들기의 성형 기법. 판으로 만들기의 성형 기법만으로 지도해도 될 것이다.
※ 도자 공예의 성형기법을 익힌 뒤 작품의 형태에 맞는 기법을 선택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장식은 여러 가지 도구나 물건, 문양 집 등을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3) 점토판에 부조로 표현하기
자신의 얼굴을 캐릭터화해서 도자 타일로 표현하기.
점토판을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을 캐릭터화하여 표현 한 후 초벌구이만 한 작품.
4) 장식용 벽걸이 만들기
점토판에 일상 생활 중에서 인상적인 장면을 표현하여 초벌구이 한 작품.
적당한 두께의 점토판을 만든 후 스케치하고 점토를 붙여 가며 표현하도록 함
Ⅶ.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문제점
첫째, 기본접근방법의 문제점으로, 지금 우리 나라의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현황은 표현위주의 미술교육과 기능 중심의 미술교육이 혼재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즉 미술은 아동의 자아 표현이다라고 생각하여 스스로 자유로운 표현을 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또한 미술을 기능이라는 생각에 재료나 기법을 소개해 주고 따라하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통미술을 지도 할 때에도 어떤 기법으로 제작되었는지 관심을 기울이고 그 기법을 바탕으로 아동이 스스로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도록 한다. 즉 전통미술에 대한 기본 접근을 표현재료나 기법 면에서 찾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상의 문제점으로, 전통미술을 지도할 수 있는 목표 및 기본방향, 지도상의 유의점이 포괄적이며 추상적이다. 교과서에 수록된 전통 미술 작품의 수가 적고 영역별로 다양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지 않고 난이도를 고려하여 각 학년 단계에 맞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못하다. 지도서에서는 주로 미술품의 시대나 장소, 주제의 내용, 표현재료와 기법, 조형상의 원리, 느낌 등이 간단하게 서술되어 있는 실정이어서 깊이 있는 지도가 불가능하다.
셋째, 지도방법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학습자인 아이들의 내밀한 정서와 흥미를 보다 고려한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되지 못하고 있으며, 지도를 위한 자료와 자원이 매우 미흡하다.
넷째, 교사의 인식과 지역사회 분위기 면에서, 교사들은 관심은 어떤 내용을 어느 수준으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를 대부분이 교사가 모르며 학교나 지역사회를 볼 때 전통미술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신적, 물리적 환경조성이 안되어 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전통미술지도의 현황은 단순한 표현활동의 형식적인 감상활동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깊이 있는 접근이 안 되고 있는 이유는 표현중심, 기능중심의 미술교육의 영향이며, 교육과정 상의 목표가 포괄적이고, 교과서 작품의 수가 적고 다양하지 못하며 계열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도방법이 다양하지 못하고 자료가 부족한 것도 문제이다. 교사의 능력부족과 학교나 가정 사회분위기가 조성되어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Ⅷ.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효과
1. 아이들
▶ 흙의 종류나 특징을 알게 되었고 만들기에 자신이 생겼다.
▶ 조형요소를 말로만 듣고 표현하는 방법을 잘 몰랐는데 흙으로 직접 만들면서 덩어리감, 질감, 균형 등을 잘 이해하게 되었다.
▶ 미술이 좋아졌다.
▶ 예전에는 미술에 자신감이 없었는데 지금은 자신감이 생겼다.
▶ 만들다 보면 시작과 끝이 달랐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 도예에 관한 지식을 많이 알게 되었고 만들기도 쉬워졌다.
▶ 도자기를 만드는 것이 매우 재미있고 계속 만들고 싶다.
▶ 만들 때는 재미있는데 정리하는 것이 너무 힘들다.
2. 교직원
▶ 필요성은 느끼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진행하기 힘들고 어려운 점이 많은 도예 수업이 실제로 진행되면서 아이들이 즐거워하는 모습이 너무 좋았다.
▶ 교사의 전문성이 많이 요구되는 주제라서 시도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는데 진행되는 과정을 보면서 누구나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도예와 조소 그리고 회화 분야가 같이 움직이면서 종합적인 아이들의 미술 실력이 향상되었다.
▶ 아이들이 언제나 신나게 수업에 참가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3. 학부모
▶ 아이들에게만 할 것이 아니라 어머니들도 같이 참여해서 일 년 동안 배웠으면 좋겠다.
▶ 비싼 돈을 들여 도예 체험학습을 한 것보다 정말 알차고 다양한 경험을 아이들이 했으며, 아이들의 작품을 보고 많이 놀랐다.
▶ 다른 학교 학부모에게 자랑하여 부러워하는 모습을 보니 즐거웠다.
참고문헌
김광문(1985), 도자기 공예Ⅰ,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
권준범(1997), 도자공예의 지도원리, 사향미술논총 제5집
강경숙(1989), 한국 도자사, 일지사
윤용이(1996),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임영방(1976), 미술교육,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정양모(1992), 한국의 도자기, 서울 : 문예출판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9.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