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화][판화 특성][판화 기법][판화 주제선정][판화 판화용구][판화 조각칼][케테콜비츠]판화의 정의, 판화의 유형, 판화의 특성, 판화의 기법, 판화의 주제선정, 판화의 판화용구, 판화 조각칼, 판화와 케테콜비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화][판화 특성][판화 기법][판화 주제선정][판화 판화용구][판화 조각칼][케테콜비츠]판화의 정의, 판화의 유형, 판화의 특성, 판화의 기법, 판화의 주제선정, 판화의 판화용구, 판화 조각칼, 판화와 케테콜비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판화의 정의

Ⅲ. 판화의 유형
1. 누르기 판화
2. 찍어내기 판화
3. 옮겨내기 판화
4. 문질러내기 판화
5. 문질러넣기 판화

Ⅳ. 판화의 특성
1. 간접 표현
2. 복제성과 편리성
3. 독자적인 미감
4. 표현 방법의 다양성

Ⅴ. 판화의 기법
1. 목판화
2. 동판화
3. 석판화
4. 공판화

Ⅵ. 판화의 주제선정

Ⅶ. 판화의 판화용구
1. 실물판화
2. 종이판화
3. 고판화
4. 목판화

Ⅷ. 판화의 조각칼
1. 둥근칼
2. 세모칼
3. 납작칼
4. 창칼

Ⅸ. 판화와 케테콜비츠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같이 농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반면, 판화는 흑백이나 색의 대비 효과를 살리는 것이 특징이다.
Ⅶ. 판화의 판화용구
판화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도구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 밖에도 판화용구로서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를 응용해 볼 수도 있다.
1. 실물판화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맛 볼 수 있고 유아가 다루기 쉬운 것을 생각한다.
2. 종이판화
도화지켄트지보드지 붙이기 판화에서는 두꺼운 종이얇은 종이바탕이 있는 종이도 사용해 본다.
3. 고판화
엽서 크기의 석고판이 보통인데 큰 것은 석고로 판을 만든다.
4. 목판화
내성이 있는 봉(棒)판, 벚나무판, 그 외 참나무판, 합판 등을 사용한다.
Ⅷ. 판화의 조각칼
1. 둥근칼
굵은 선이나 점을 새길 수 있다. 짧거나 긴 선으로 넓은 면을 파내는데 효과적이다.
2. 세모칼
V자 모양의 날카로운 선을 새길 수 있다. 윤곽선을 새기거나 가늘고 섬세한 부분을 새길 수 있다.
3. 납작칼
평평한 면을 파내는 데 적당하다. 얕게 파면 거칠거칠한 느낌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사용할 때 칼날이 판면에 닿게 하여야 한다.
4. 창칼
칼을 두 번 움직여 파낸다. 가는 선이나 세부 표현을 하는데 쓰인다. 칼을 잡는 방법도 다른 것과는 다르게 수직으로 날을 세워서 새기고, 다시 약간 눕혀서 사용한다.
Ⅸ. 판화와 케테콜비츠
케테 콜비츠는 자신의 예술활동을 구제 받을 길 없는 사람들을 위한 일말의 책임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바 있다. 그리고 그녀는 작품이 사회에 밀착해서 그 사회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기를 바랐다. 이것은 이른바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나약한 밀실을 부수고 이웃이 있는 현실로 나온 작가정신의 발로이기도 하다. 그녀가 작품을 대하는 이러한 기본정신은 판화라는 매체를 통하여 대중과 쉽게 연결 시켰으며 동시대인들에게는 현실에 대한 각성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한 케테 콜비츠의 판화 작품들은 중국에서는 30년대 루쉰(魯迅)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신흥 목판화 운동을 통하여 소개된 이후 판화가 중국 인민들의 민중적 삶을 재현해내는 사회주의적 현실주의 미학의 주요한 미적 교육 수단이 되기까지 많은 영향을 주었다. 54 운동을 계기로 하여 시발되었던 신흥 목판화 운동은 반사의적, 반전통적, 반봉건적 품격들이 서구 음영법과 시각에 의해 제창되어졌다. 본디 중국 근대의 목판화란 이미 19세기부터 많은 화보(畵譜), 화전(畵傳)들을 엮어 내기 시작하면서 고대 이래로 다양하고도 심도 있는 양식과 기법이 형성되어 오고 있었다. 그러던 중 1920년에 접어들면서부터는 회화의 평민화를 부르짖으면서 판화의 방법은 가장 쉽고 편리하게 민중들로 하여금 작위되고 감상할 수 있는 양식으로 인식 되어지면서 루쉰의 적극적인 제창에 의해 본격적으로 확산되어 가기 시작했다. 당시 중국의 시대적 상황은 열강의 침략과 좌우의 갈등, 침공의 기회를 노리는 일본의 간계 등으로 혼란스러운 시국이였으며 루쉰과 그 동료들은 판화로 대중을 각성시켜야 한다고 믿었고 케테 콜비츠의 작품 <희생>을 『북두(北斗)』라는 잡지에 실어서 1931년에 최초로 공개하였다. 이후 그녀의 판화는 중국의 미술 학도들에게 영향을 미쳐서 중국 목판화 운동에 큰 자극이 되었다. 특히 이화(李樺)는 케테 콜비츠의 영향을 받은 대표 작가로 1935년에 제작한 목판화 <노도와 같은 분노>(도74)는 콜비츠의 <돌격>과 비슷한 구도와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에서의 목판화 운동은 단순한 미술 운동의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의 조형활동으로도 그 활약상이 대단했다. 특히 항일로서의 목판화의 순발력과 대중적 호소력은 엄청난 효과를 올리기도 했다. 물론 루쉰 같은 탁월한 문예 운동가가 존재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일 것이다. 루쉰은 신흥 목판화의 개화와 발전을 위해 소련 판화와 독일 판화를 도입하여 집중적으로 소개했을 뿐만아니라 케테 콜비츠를 높이 평가하여 그녀의 판화선집을 내게 되었는데 이때 루쉰은 케테 콜비츠와 교분이 있었던 아그네스 스메들리(Agnes Smedley) 에게 서문을 부탁하기도 했다.
루쉰은 케테 콜비츠의 작품에 관해서 수없이 많은 이야기, 강연, 편지, 그리고 그의 문학작품 속에서 소개했고 여류화가로서 콜비츠 이상으로 예술계를 진동시킨 사람은 없다고 까지 예찬했다. 루쉰은 케테 콜비츠 작품에 대한 감동을 다음과 같이 피력하고 있다.
“거기에 펼쳐져 있는 그림들은 빈곤, 질병, 기아, 죽음 등이 있다. 물론 저항과 궐기도 있으나 그런 것은 비교적 적게 들어 있었다. 거기에는 그녀의 자화상이 많았는데 그 얼굴에는 증오와 분노가 치밀어 올라오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보다도 강렬한 자애와 연민이 더욱 깊이 깔려 있다. 그것은 모두 곤욕을 당하고 학대받는 어머니의 마음 자태를 그린 화상들이다. 그러한 어머니는 손가락을 붉은물로 장식하지 않았으며 흔히 농촌에서 볼 수 있는 시골 여인의 모습이다. 흔히 사람들은 어머니란 세상에 소용도 없는 무능한 자식들만 사랑하는 존재라고 비웃기도한다. 그러나 콜비츠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어머니는 건강하고 능력이 있는 자이지만 곤욕 당하고 학대받고 있기에 더욱 그들을 근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루쉰은 케테 콜비츠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참여적 인문정신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문정신은 신흥 목판화 운동에 영향을 미친 본질인 요소이기도 하다. 케테 콜비츠는 어느 작가보다도 그림을 통해서 자신의 감정을 거의 완벽하게 보는 이에게 전달해 주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녀의 작품이 자기가 살았던 한 시대를 충실하게 표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작품들이 그 국경을 넘어 강한 호소력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녀가 자신이 처한 특수한 현실 내지 대상을 통해서 보편적인 인간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구자현, 판화, 미진사, 1989
김정희 외,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03
김춘일, 어린이 판화교실, 미진사, 1997
민혜숙, 케테 콜비츠, 서울, 재원, 1995
서승원 외 3인, 판화미술의 세계, 서치방, 1994
임영방, 미술과 교육, 서울대학교 출판사, 서울, 1982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9.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