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화의 교육적 의의, 판화의 특성, 판화의 기법,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의미,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유형,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과 에른스트,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찍기방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화의 교육적 의의, 판화의 특성, 판화의 기법,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의미,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유형,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과 에른스트,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찍기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판화의 교육적 의의
1. 본능적 표현 욕구를 충족
2. 노작적 사고 활동
3. 정신 집중력이 길러진다
4. 표현 의욕과 표현 능력을 길러준다
5. 복수성
6. 과정의 예술

Ⅲ. 판화의 특성
1. 간접 표현
2. 복제성과 편리성
3. 독자적인 미감
4. 표현 방법의 다양성

Ⅳ. 판화의 기법

Ⅴ.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의미

Ⅵ.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유형

Ⅶ.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과 에른스트

Ⅷ.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찍기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의 비합리성은 에른스트의 형상성에 존재하는 미묘한 부유의 상태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프로타쥬는 에른스트가 자신의 금제로부터 벗어난 독특한 수단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동전을 문질러서 만든 무늬가 화폭의 붓놀림을 대신하여 그 형상들을 보는 사람에게 환상적인 이미지를 불러 일으켜서 숨겨진 어떤 현실 - 초현실을 드러내 줄 수 있다.
프로타쥬 기법은 어떤 특정한 형상을 얻을 때까지는 도형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나무조각의 결에서 얻어지는 동일한 구조라 할지라도 여러 가지 의미로 작품을 대하는 사람이 성급한 시각적 결론을 맺지 않도록 제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기법으로 만들어진 작품의 특징 중 하나는 바탕의 구성적 추상적 형태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이다. <매혹적인 사이프러스 나무>에서는 밀짚모자의 비늘 모습의 구성은 ‘싸이프러스 나무’로 변했고 마루의 나뭇결은 거친 대양의 표면으로 변했고 붓으로 물결치는 모습을 나타낸 두텁게 칠한 유화 물감은 멕시코 만류가 되었으며, <종마와 바람의 신부>에서는 실을 문지른 형상이 처의 흔적 또는 말의 모양이기도 하다.
또 다른 하나는 문지른 대상의 표현적 질감의 형태와 직접 관련이 있다. 이 방법은 대상을 변용시키지 않고 꼴라쥬처럼 그대로 작품 속에 포함시킨다. 예를 들면 조그만 껍질 또는 밤나무 잎을 단순히 문지르는 경우 빵부스러기를 사용해 빵 반쪽만을 표현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에른스트가 『박물지』에서 작품들을 제작하는 과정에서의 프로타쥬는 매우 확실하고 신축성있는 기법이었다. 이 프로타쥬 기법을 유화에 적용시킨 것이 그라타쥬(Grattage) 기법이다. 프로타쥬에서 도화지의 경우처럼 그라타쥬에서 캔바스가 그 밑에 놓인 물체의 구조를 그대로 재현했다. 그러나 그라타쥬는 밑에 놓인 물체의 구조뿐만 아니라 캔버스 자체의 표면구조 효과도 프로타쥬 기법과는 달리 그라타쥬만의 독특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Ⅷ. 프로타쥬기법(프로타주기법)의 찍기방법
(1) 종이판화 혹은 고무판화의 원판을 기존의 방식대로 완성한다.
(2) 완성된 판을 작업대에 놓고, 그 원판 위에 얇은 종이를 올려놓는다.
(3) 크레용 혹은 색연필을 이용하여 표현요소와 원리(색상, 대비, 강조, 변화) 등의 효과를 생각하면서 판의 요철을 통한 이미지를 문질러 찍어 나타낸다.
(4) 문질러 찍을 때 크레용 혹은 색연필은 처음에는 밝은 색으로 부드럽게 문질러 칠하면서 사용하고, 점차 어두운 색으로 부분적으로 강하게 칠한다.
(5) 짧은 시간에 쉽게 찍을 수 있으므로 비교하면서 여러 장을 다양한 효과로 찍어 완성한다.
참고문헌
◎ 박정환(2001), 미술교육에서 프로타쥬 다색판화 연구
◎ 에른스트 요한·요르커 융커, 이유영·유종영 역(1989), 최근 100년간의 독일 문화사, 서울, 민지사
◎ 에른스트 피셔, 김성기 역(1984), 예술이란 무엇인가, 서울, 돌베게
◎ 전성수 외 3명(2003), 함께 배우는 우리 미술, 예경
◎ 한운성(1991), 판화세계, 미진사
◎ Efland, Arthur(1996), 미술교육의 역사, 서울 : 예경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9.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