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극의 성립과 발전과정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극의 성립과 발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천극의 정의
2. 사천 지역 소개 및 사천 지역 문화의 특성
3. 천극의 성립과 발전
4. 천극과 사천 지역 문화에 관한 역사적 기록
5. 천극의 예술적 특성
6. 천극 특수 연기의 종류
7. 요약 및 정리

본문내용

다.
<변검(차검 기법) 묘기 장면 ☞
부채로 휘두르는 순간 가면이 바뀐다>
변검의 기법에는 말검, 취검, 차검, 운기변검 등이 있다.
◆ 말검 ◆
말검은 얼굴의 특정 부위에 분장용 분을 넉넉히 발라두었다가 삽시간에 문질러 변화를 주는 방법이다. 만약 얼굴 전체를 바꾸려면 분을 이마나 눈썹에 묻혀두고, 얼굴의 하반부만 바꾸려면 분을 뺨이나 코에 묻혀둔다. 혹은 손바닥에 분을 꽉 쥐고 있다가 수수로 얼굴을 가리면서 문지르기도 한다.
◆ 취검 ◆
취검은 금분, 은분, 묵분 등과 같은 분말식 화장품을 무대 일정한 곳에 두었다가 휙 불어서 얼굴 색깔을 바꾸는 방법이다.
◆ 차검 ◆
차검은 얇은 천으로 만든 가면을 여러 겹 붙였다가 하나씩 떼어내는 방법으로 상당히 민첩한 동작이 요구되며 관중들의 시선을 다른 쪽으로 돌리는데 유의해야 한다. <백사전>의 수만금산에서 ‘발동’이 ‘법해’의 명을 받아 ‘백사’와 교전할 때의 감정변화를 홍색, 황색, 녹색, 홍갈색, 백색, 흑색, 금색 등의 다양한 가면을 사용해 표현한다. 이 때 배우는 노래나 대사 없이 이 연기에만 집중하여 인물의 성격이나 감정, 심리변화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특수 희극효과를 거두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차검은 제작한 3장의 가면을 바꾸기에 ‘삼변화신’이라고도 한다. 후에 이 기술이 더욱 발전되어 1980년 사천성 천극단의 최고 예술인인 ‘류충이’가 홍콩 공연 중 가면을 4장까지 바꿔 삼변화신의 틀을 넘어서고, 1985년 ‘왕따오정’은 독일 공연에서 가면을 5장까지 성공, 1987년 일본 공연에서 무려 10장을 변환하는 신기록을 이룩하게 된다. 1996년 홍콩 공연에서 왕따오정은 3분 안에 8장의 가면을 변환하는 기술을 선보이고, 가면 24장을 바꾸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게 된다. 이로써 왕따오정은 최고의 변검왕이라는 칭호를 받게 된다.
◆ 운기변검 ◆
사천극의 명배우 ‘펑스홍’이 <공성계>의 제갈량을 연기할 때 기공을 운용하여 얼굴을 홍색에서 백색으로, 다시 백색에서 청색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변검을 여럿이서 동시에 선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변검은 사천극 특유의 기법으로 인물의 성격과 감정을 과장되게 표현하여 관객에게 클라이막스를 제공한다. ‘리우치엔’이 <천극초론>에서 “변검은 사천극 특유의 기예이다. 그것의 급작스런 변화는 보는 이들의 마음을 일신시킨다. 변검은 감정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검보가 각각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인물들의 충성, 간사, 사악, 정의를 표현한다면 변검은 개성을 부각시키고 감정의 변화를 북돋우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바로 천극의 특징인 것이다. 게다가 배우들이 관중들의 시선을 피해 그의 얼굴을 바꾼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기술이다”라고 말한 바와 같다.
<변검에선 부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
② 척혜안(慧眼)
척혜안은 저명한 천극배우 ‘캉즈린’이 발명한 것으로 발 끝을 힘껏 차서 이마 가운데를 맞추는 동작이다. 예로부터 혜안은 이마 한가운데에 안보이게 위치하고 있는 제 3의 눈이라 여겨왔다. 혜안은 불교에서 언급하고 있는 다섯 개의 눈 중 하나로 ‘혜안은 진실을 보고, 번뇌를 해탈하는 경지에 이를 수 있게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래서 해당 배우는 등장 전에 신발 끝에 잘 그려진 혜안을 붙여놓고, 안보이게 가려둔다. 그리고 등장해 법전을 외우는 연기를 하면서 “제가 혜안을 떠서 보게 하소서”라고 외치며, 척혜안 동작을 하면 혜안이 이마에 생기는 것이다. 이는 인물의 신화적 성격과 심리상태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변검과 같이 천극 무대에서 자주 사용된다.
③ 토화(吐火)
토화는 천극의 전통공연 중의 하나로, 신화적 색채가 강한 작품에서 주로 사용되며 관객에게 공포분위기를 조성한다. 해당 배우가 입 속에 송진가루를 담고 있다가 손 안의 연료인 초를 향해 뿜어내면서 순간 불길을 훅 내뱉는다. 이 기법은 관객들을 놀라게 하고 혼을 빼놓기도 한다. <백사전>에서 불의 신인 화신이 토화를 공연한다.
<토화 묘기 장면>
④ 장도(藏刀)
장도는 천극 예술가 ‘펑하이칭’이 선배 예술가들의 장도 기교를 계승 발전시켜 성공적으로 공연하면서 천극의 특수한 기법으로 자리를 잡았다. 두 척이 넘는 장도가 관객과 극중 인물사이에 나타났다 종적을 감추었다 하며 마치 마술에 가까운 기공으로 극중 인물의 음험함과 교활함, 악랄함과 악독함을 표현한다.
<가장 왼쪽의 배우가
장도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⑤ 영자공(翎子功)
투구 위에 달린 긴 공작깃을 이용하여 화려함을 선보이고 관객들을 매료시키는 기법이다.
<공작깃이 꽃혀 있는 투구를 쓴 배우들의 모습들이 보인다>
7. 요약 및 정리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천극은 지세가 험하고 폐쇄적인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중원 문화에 물들지 않고 사천만의 지역성이 강하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특징을 지닌 사천의 민중예술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지역적 특성 속에서 생긴 독특한 음악체계와 풍부한 자원으로 인한 여유로움으로 사천 지역 사람들의 낙관적인 삶의 태도가 묻어나는 해학적이고 익살스러운 언어의 사용, 그리고 그들의 성향과 현실적인 오락적 수요에 부응하여 탄생한 특수 연기 등이 사천극이라는 통일된 형태를 갖추게 하였다. <천극의 한 장면>
<관객과 함께 호흡하는 천극 배우> <천극 공연장>
천극은 귀족이나 관리를 위한 예술이라기보다는, 백성들과 같은 일반 대중들을 위한 민중예술이다. 민중예술이란 연극의 주체가 바로 민중이란 것이다. 일반 민중들은 복잡하고 사변적이고 도덕적이며 형이상학적 이야기보다는 그들의 답답하고 억눌린 가슴을 시원하게 뚫어주고 시름을 잊고 웃게 해주는 즐거움에 관심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천극은 비극적인 작품보다는 희극적인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고 비극적인 내용에서도 익살스러운 언어와 다양한 재미있는 볼거리를 통해 순간순간 관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렇듯 천극은 그 지역과 수요자의 요구에 그때그때 기민하게 호응해 나가며 발전해왔던 것이다.
<국내 상영 천극 공연 - 불타는 산 ☞>
자료출처 : 중국문학 제54집 - 오수경(한국중국어문학회)
자료출처 : 중국문화답사기3 - 권석환(다락원)
자료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및 블로그

키워드

천극,   경극,   지방희,   연극희,   변검,   사천,   쓰촨,   지방극
  • 가격4,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10.05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