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경영]우리은행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우리금융지주 선택 이유
2. 우리금융지주 기업 현황

Ⅱ. 본론
1. 금융시장의 변화
2. 포터의 5-포스 분석
3. SWOT
4. 메가뱅크 설립의 배경과 메가뱅크의 장점과 단점
(1) 메가뱅크의 설립 배경
(2) 메가뱅크의 장점 및 필요성
(3) 메가뱅크의 단점 및 한계
5. 우리은행의 민영화 현황

Ⅲ. 결론
1. 우리은행의 민영화 방안
2. 우수사례를 통한 발전적 전략 제안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달성하려는 움직임이 아니냐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소 입찰 규모는 최대주주가 될 수 있는 전체 지분의 30%(3조 6000억~ 4조원)로 정해졌다.
현재 우리금융에 대한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은 56.97%로 인수기업이 30%를 확보하면 실질적인 최대주주가 된다. 결국 최소 입찰규모 30%는 최대주주가 될 수 있는 규모와 동일하기 때문에 ‘최소입찰규모’라는 말 자체가 성립이 안 된다는 이야기다.
산업은행에게 우리은행을 매각하려는 정부의 시나리오를 뒷받침해주는 증거가 바로 관련규정법규를 변경했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금융지주가 다른 금융지주회사를 소유할 경우 지분 95% 이상 보유해야 한다’는 기존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을 고쳐, 정부 소유 기업에 한해(우리은행이 여기에 해당) 이를 50%로 완화하는 방안을 긍정 검토 중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인수 주체로 산은금융이 유리해질 수밖에 없고 자연스레 특혜 논란이 예상된다. 참고로 산은지주회사의 회장은 현 정권의 유력인사였으며 회전문 인사의 정수를 알려준 강만수이다.
아울러 정부에서 민영화를 구실로 매각을 진행하면서 우리금융을 부분매각이 아닌 일괄매각으로 가닥을 잡아 다른 금융회사의 인수를 어렵게 하고 있다. 당장 KB·신한·하나금융지주가 “일괄인수는 어렵다”는 입장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반면에 산은금융은 입찰에 참여키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줬다. 정해진 각본대로 매각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 측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산은금융은 “우리금융 인수를 통해 민영화를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우리금융은 “사실상 국유화”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 이 인수주체가 될 산은금융 역시 정부소유이기 때문에 국유화 기업이 국유화 기업을 인수하는 형국이 되어 민영화가 매각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공적자금관리 위원회는 17일 전체회의에서 우리금융지주 재매각 방침을 정할 예정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금융은 우리 금융을 인수한 뒤 2013년까지 주식시장에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산은금융과 우리금융이 합병하고 이 과정에서 산은금융의 정부 지분율이 50%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어 합병지주 회사의 지분매각이 추가로 이뤄지면 정부 지분율은 20~30%까지 낮아진다. 이를 통해 공적자금을 회수하고 민영화 수준을 밟는다는 시나리오다.
그러나 우리금융의 주장은 다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인수하는데 1년 이상 걸리고 상장을 진행하는데 6개월 이상이 걸려 민영화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며 “산은금융이 우리금융을 인수한 후 완전 민영화하는 데는 최소 2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금융이 2002년 상장을 완료하고도 정부 지분이 아직 57%나 남았다”고 지적했다.
합병 후 정부 지분율이 50%까지 낮아질 것이라는 산은금융의 주장에 대해선 “우리금융 인수 후 산은금융의 연결 자기자본은 현재 22조 6000억원에서 39조 5000억으로 증가한다”면서 “산은금융이 우선 10%의 지분을 상장하고 우리금융 소수 지분에 따른 주가 희석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정부 지분율은 65.7%(19조 7999억원)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합병을 통한 메가뱅크 탄생에 대해서도 우리금융은 부정적이다. 우리금융은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을 합병해도 자산 규모가 505조원으로 글로벌 순위 54위에 불과하다”면서 “정부 주도로 덩치만 키운다고 국제 경쟁력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오히려 정부 간섭으로 관치금융의 폐해에 따른 경쟁력 상실이 우려된다는 주장이다. 산은금융 관계자는 우리금융의 반박에 대해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우리금융 매각방식을 정식으로 밝히지 않은 상태에서 나온 우리금융의 주장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은금융에 대한 반박이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 역시 정부의 이 같은 메가뱅크 설립에 대한 반대의 견해가 거세기 때문이다.
Ⅲ. 결론
1.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
현재 산은과의 M&A를 통한 메가뱅크론은 불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메가뱅크에 대한 여론이 나뻐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합병 후 시너지 효과 또한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노조 또한 격렬히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금융 자체의 민영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첫째 ‘경쟁입찰에 따른 지분 분산 매각’이나 ‘대규모 블록세일’, 등이 꼽히고 있다.
▲ 지분 분산 매각은 총매각목표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최저입찰가격 이상을 제시한 투자자들 가운데 최고가격의 입찰자부터 순차적으로 낙찰자로 정하는 방식이다.
▲ 블록세일은 사전에 예정가격과 총매각수량을 정한 뒤 예금보험공사가 제시한 동일한 예상 가격에 사겠다는 투자자들에 지분을 넘기는 형태다.
이 방안들은 조기 민영화가 가능하고 절대 대주주 없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투명 경영을 할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지분을 분산 매각하기 때문에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불가능하고 국내은행 대형화의 목적도 살리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안들이 대안으로써 제시되고 있지만 뚜렷하게 설정된 것은 없는 실정이다. MB정권의 레임덕과 맞물려 우리은행 민영화 자체가 흐지부지 될 가능성도 떠오르고 있다.
Ⅳ. 참고자료
http://cafe.naver.com/worrybank.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8&
http://100.naver.com/100.nhn?docid=813729
http://focus.chosun.com/com/company01.jsp?id=151
http://blog.naver.com/gulpae?Redirect=Log&logNo=70106753470
http://overtrainbow.tistory.com/21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10616000272
http://www.woorifg.com/
김종윤, 한애란, 김원배, 다시 불붙은 메가뱅크 논란, 중앙일보, 2010.6.18
이병윤, 국내은행 대형화의 득과 실, 주간 금융브리프, 2010.2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10.1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7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