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기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朝鮮時代 漢文學 전기

조선 중기의 한문학

傳奇小說

夢遊小說

군담소설

愛情小說

家庭小說

판소리계 소설

설화(신화, 전설, 민담)

민요

신화 전설 민담 을 구분하는 특징

본문내용

는 건국신화를 들 수 있다.《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등에 기록된 신화는 거의 건국신화이다. 단군신화 ·주몽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왕신화 등이 한국의 대표적 건국신화이다. 이 가운데 단군신화는 환인(桓因)의 아들 환웅(桓雄)이 하늘에서 인간계로 내려와 곰이 사람으로 변신한 웅녀(熊女)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곧 단군(檀君)이다. 단군은 조선을 세우고 1,500년 동안 다스린 뒤 산신이 되었다는 내용이다.
전설은 신격(神格)을 주체로 할 필요가 없고, 인간과 그 행위를 주체로 하는 이야기이다. 그것은 주체가 되는 사물에 따라 지명전설(地名傳說)·성명전설(姓名傳說) 등으로 분류되며, 그것을 증거할 암석·수목·산천 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전설의 대표작품으로는 장자못 전설이 있다. 인색한 부자가 시주승에게 쌀 대신 쇠똥을 시주했다가 벌을 받아 못 속에 잠겼다는 내용의 설화이다. 대표적인 지명설화로서, 우리 나라 전역에서 지명 유래담으로 광범위하게 채록되고 있다.
민담에는 신화의 신성성과 위엄성 및 전설의 신빙성과 역사성이 희박하고, 그것은 흥미 위주로 된 일종의 옛 이야기이다. 그것은 동물설화·본격설화·소화(笑話) 등으로 분류되고, 또 본격설화와 파생설화(派生說話)로 구분되기도 한다. 민담의 대표적 작품으로는 달팽이 각시가 있다. 우리나라에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우렁이 색시 유형에 속하는 설화. 평범한 남자와 고귀한 여자의 결합, 서민의 극적인 신분 상승을 주된 화소(話素)로 하는 민담이다.
민요
작사자·작곡자가 따로 없으며 민중들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오고 있다. 그래서 민요는 민중들의 사상·생활·감정 등을 담고 있다. 또 민요는 민중의 생활을 노래한 단순한 노래의 차원을 넘어서 노동과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생산적인 노래라는 특징을 갖는다.
민요의 역사적 전개로는 악보나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채 구비전승되어왔기 때문에 언제부터 불려지기 시작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노동기원설'에 따르면 민요는 노동을 하면서 박자에 맞추어 소리를 내고, 이러한 무의미한 소리에 선율을 얹어 부르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구지가는 가락국의 시조 김수로왕의 탄생신화속에 삽입된 선가적 민요이다. 고려시대의 것으로는 이전의 주술적 민요 형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체계를 갖고 있다. 이 시대의 대표적 민요에는 〈가시리〉가 있다. 조선시대의 민요는 건국 초기부터 농업을 중시하는 중농사상을 펴나갔다. 농업과 관련되어 민요가 발달하였다. 조선 후기 이후에는 전국에 직업적인 소리꾼이 생겨났는데 이들이 부른 민요를 흔히 통속민요라고 한다. 통속민요는 음악적으로 매우 세련된 모습을 갖추고 있다.
민요의 특징으로는 여러학자의 의견이 있지만, 조동일의 의견은 첫째, 민요는 노래이기에 음악이면서 문학이고 그 가사는 율문으로 되어있다. 둘째, 민요는 공동작이면서도 개인작이다. 세 번째, 민요는 비전문적인 민중의 노래이다. 네 번째, 민요는 생활상의 필요성에서 창자가 즐기는 노래이다.
민요의 기능별 분류로는 기능요와 비기능요로 분류할 수 있다. 기능요는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을 기준으로 민요를 분류할 때 기능성을 가지는 민요이다. 일반적으로 노동요, 의식요, 의식요는 세시의식요, 이 예로는 성주풀이와 지신밟기 노래 등이 있다. 장례의식요, 여기에는 상여 노래, 가래질 노래등이 있다. 신앙의식요에는 해원풀이요 등이 있다. 유희요로 나뉜다. 유희요는 세시유희와 일상유희로 나뉜다. 비기능요는 특정한 생활상의 기능과 관계없이 흥이 나면 언제 어디서나 부르는 민요이다.
민요의 지역별 분류로는 서도민요, 경기민요, 남도민요, 동부민요, 제주민요가 있다.
민요의 기본율격은 2음보이고 가창방식상 4음보가 가장 흔하다. 변격율격은 3음보나 5음보이다.
신화 전설 민담 을 구분하는 특징
신화의 전승자는 신화를 진실되고 신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신화의 세계는 일상적인 경험이전에 합리성을 넘어서 존재한다고 믿고 그 진실성과 신성성을 의심하지 않을때, 신화는 신화로서의 신성성을 갖는다.
전설은 전승자가 신성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으나 진실되다고 믿고 실제로 있었다고 주장하는 이야기이다. 전설의 진실성을 끊임없이 의심받지만 증거물이 있어서 사실로서의 근거를 뒷받침하기도 한다.
민담의 전승자는 민담이 신성하다고도 생각하지도 않으며, 또 진실되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민담을 흥미위주로 하기 때문에 사실성이나 진실성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시간과 장소의 부분에서 신화는 아득한 옛날, 즉 일상적인 경험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범위의 태초에 일어난 일이다. 그리고 특별한 신성한 장소를 무대로 삼는다.
전설은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를 갖는다. 이러한면은 전설의 사실성과 진실성을 뒷받침해주는 구실을 한다.
민담은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가 제시되지 않는 것이 보편적이다.
증거물의 부분에서 신화의 증거물은 매우 포괄적이다. 단군신화의 경우 우리가 단군의 후ㅛ손이다는 생각이 신화의 증거물이 되는 것이다.
전설은 특정한 개별적인 증거물을 갖는다. 꾸며낸이야기이지만, 증거물이 실존하고 있으니 이야기 역시 실제로 있었다고 주장할 수 있도록 꾸며진 전설이라 하겠다.
민담은 이야기자체로 완결되며, 때로 증거물이 제시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아주 포괄적인 것으로 흥미를 돋구기 위한 것이다.
주인공 및 그 행위에 관해서는 신화의 주인공은 신이며 그 행위는 신이 지닌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
전설에서는 주인공은 한정해서 말할수 없는 여러 종류의 인간이다. 때로는 인간보다 사물이 중심이 된 경우도 있다.
민담의 주인공은 일상적인 인간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운명을 개척하려 한다.
전승의 범위에서 신화는 민족적인 범위에서 전승된다.
전설은 증거물의 성격상 대부분의 증거물은 지역적인 범위를 갖는다.
민담은 지역적인 유형은 있어도 어느 지역이나 민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면에서 신화는 전승집단의 신앙을 요청하며 그 집단 단결의 핵심적 역할을 한다.
전설은 일정한 지역을 발판으로 하여 그 지역 주민들에게 지역적인 유대감을 갖도록 하고 애향심을 길러준다.
민담은 흥미본위의 예능적, 문학성이 뛰어나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0.17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