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지리사상과 풍수지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리사상(지리관)이란 무엇인가

2. 우리나라의 전통 지리사상
가. 천하도에서 나타난 우주관
나. 조선시대의 자연 인식 체계

3. 풍수지리사상
가. 풍수사상의 형성과 전개
나. 풍수 사상의 원리
다. 풍수의 논리구조
1) 기감응적 인식체계
2) 경험과학적 논리체계
3) 형국의 용어
라. 현대 사회에서 풍수사상의 해석

본문내용

것인 만큼 실제로 도읍이나 陰宅 혹은 주택을 相地함에 있어서는 장풍법이 바로 요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곽박의 [장서]에 의하면 葬者는 생기에 의지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 생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져 버리고 물에 닿으면 머물기 때문에 그로 인해 풍수하는 말이 생겼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풍수의 법술은 물을 얻고 바람을 막는 방법을 얻는데에 중점을 두게 된다(風水之法 得水爲上 藏風次之). 보다 엄밀하게 바람을 막는 防風이 아니고, 불어서 흩어지고 사라져 가는 바람을 끌어들여 간수하자는 장풍인 것인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명당의 주위에 산이 필연적으로 요청되게 된다. 즉 혈장 주위를 산이 둘러싸고 그 중앙에 凹地에 陰陽二氣가 결합과 생기의 활동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③ 득수법
용은 물을 만나면 가던 길을 멈춘다. 물이 흐르는 곳에 용궁이 있기 때문이다. 용이 멈추는 곳에 혈이 있다. 흐르던 기가 그곳에 모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음양설로 풀어 보면 이런 설명이 가능하다. 원에 꽉 차 있는 기를 太極이라 한다. 태극은 음과 양으로 갈라지는데, 산은 음이고, 물은 양이다. 산은 움직임이 없으니 음이고 물은 끊임없이 유동하니까 양이라는 것이다. 물론 세분하면 산에도 음양이 있고 물에도 음양이 있다. 이 음과 양이 만나서 융합하면 새로운 기가 생긴다. 이 새로운 기가 사람에게 天福을 내려 준다는 것이다. 앞서 곽박이 말한 生氣가 바로 이 새로운 것이다.
[道德經]은 <太極이 一(陽)을 生하고 一이 二(陰)를 生하며, 二(陽과 陰)가 三을 生하는데, 이 三이 비로소 만물을 生한다>고 했다. 이 三이 바로 생기라는 것이다.
④ 定穴法
장풍과 득수가 적격임이 인정되면 명당은 결정된 셈이다. 이 명당 중에서도 穴處를 찾는 방법이 정혈법이다. 穴은 풍수에서 요체가 되는 장소이다. 혈은 陰宅의 경우 시신이 직접 땅에 접하여 그 생기를 얻을 수 있는 곳이며, 陽宅·陽氣의 경우 거주자가 실제 삶의 대부분을 얹혀 살게 되는 곳이다.
주자는 그의 [山陵議狀]에서 <소위 정혈의 법이란 針灸術에 비유할 수 있는 것으로, 스스로 일정한 혈의 위치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터럭 끝만큼의 차이도 있어서도 안된다>고 하여 풍수의 혈이 인체의 經穴에 비유할 수 있는 것임을 말하였다.
⑤ 坐向論
좌향론은 방위에 관계된 술법으로 가장 어려운 풍수 기술이다. 좌향은 국면 전반이 일정한 형국으로 좌정되었을 때, 前開後閉, 즉 혈의 앞쪽으로 트이고 혈의 뒤쪽으로 기댈 수 있는 방위를 선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형국의 용어
풍수사상에서 지형, 지세를 일컫는 용어는 일반적인 용어와 상이하다. 땅의 기복을 이루는 곳, 즉 산이나 언덕을 龍이라 한다. 이와 같은 용어가 외양에 기초를 두고 있는 술어인데 대하여 생기의 운행이라는 측면에서 말할 때는 맥이라 한다. 또 이 용맥이 기복곡절하는 곳을 대나무 마디에 비유하여 절이라 한다. 음택에 주로 쓰이는 혈이란 용맥 중에서 가장 생기가 모이는 곳, 즉 精髓로써 이는 침구학에서는 혈과 동일관념에서 나온 말이다. 혈 주위의 형세를 砂라 하며 혈과 사가 합하여 완성된 규모를 이루었을 때 이를 局이라 한다.
주위의 산을 가르키는 말로 혈에서 가장 멀리 있는 높은 큰 산은 조산,가까이 있는 산을 종산, 혈 바로 뒤의 높은 산을 주산, 후산 혹은 진산이라 한다. 또한 혈 뒤의 맥에서 나외 좌측을 둘러쌓는 맥을 靑龍, 우측을 둘러 쌓는 맥을 白虎라 칭하며 혈내의 생기의 흩어짐을 막기 위해 그것이 겹쳐지는 것을 이상으로 삼아 내외청룡, 백호로 구분한다. 명당이란 혈앞에 청룡, 백호에 의해 포위된 평탄한 땅을 말하며 때로는 내외명당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물을 나타내는 용어로 혈이나 내명당의 양측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수류의 발원처는 득, 그 수류가 용호에 서로 빗겨 열려진 곳으로 흘러나가는 장소를 파 혹은 수구라 한다. 혈 앞에 있는 案山은 명당에 조공하는 산으로 이것이 없으면 손님없는 주인 신하없는 군주처럼 품위를 잃게 된다.
형국은 형을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산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것은 하늘에서 내려다 보았을떠 여러가지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형상이 길흉을 판단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형국은 사람, 날짐승, 길짐승, 용과 뱀무리, 기타 물건의 모양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라. 현대 사회에서 풍수사상의 해석
1)자연과의 조화로운 삶
풍수 사상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형태의 자연관을 통하여 인간과의 조화로운 삶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① 신비롭고 주술적인 힘을 가진 자연(the magic image)
만물을 생성하게 하는 생기가 많이 모여 있고바람을 타지 않아 생기가 흩어지지 않을 수 있는 자연환경을 갖춘 곳은 그 자연에 걸맞는 신비롭고 주술적일 힘을 갖고 잇다고 보는 것이다.
②의물, 의인화된 자연(the personified image)
자연환경 전체나 일부를 일정한 주술적일 기능을가닌 스시템으로 간주하고 있다. 풍수 지형 시스템은 살아 있는 생명체나 사람들이 쓰고 있는 여러 기구와 비교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③ 쉽사리 다치기 쉬운 자연(the vulnerable image)
풍수에서의 자연환경의 조화는 인간의 힘에 의하여 쉽사리 깨뜨려질 수도 있고 또 고쳐질수도 있다고 본다. 그래서 자연환경을 함부로 개조하는 것을 크게 금한다. 쉽게 다친다고 보는 것은 자연이 주술적인 힘을 가진 체계로 의인화, 의물화화 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쉽사리 상처받아 제 기능을 잃는 자연은 또한 인간의 힘에 의해 그것이 치료받고 그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고 믿는 것도 풍수의 중요한 부분이다.
2) 적덕의 논리
풍수에서서 알아야 한 내용중에 '무고한 개장(改葬)을 하지 말고, 반드시 대지(大地)를 구하려 말것인며 음덕(蔭德)을 쌓아야 길지를 얻는다'는 말이 있다. 이의 의미는 풍수 목적이 반드시 후손의 발복이 아님을 의미한다. 이는 오히려 살아 생전에 적덕(積德)을 하면 그 음덕이 후손에 미친다는 뜻이다. 이는 풍수사상이 단순히 장소의 무덤이나 택지를 좋게 정하려는 입지의 원리보다는 다른 신앙과 같이 사회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을 의미한다.
  • 가격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03.31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