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개념과 문화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화의 개념
1. 문화에 대한 정의와 문화의 속성
2. 문화 연구의 필요성
3. 문화 연구의 기본적 관점
4. 문화 연구에 기여하는 학문: 지리학과 인류학

Ⅱ. 인류의 진화
1. 오스트랄로피테쿠스
2. 호모 에렉투스
3. 네안데르탈인
4. 현생인류

Ⅲ. 우리 민족의 기원과 형성과정
1. 민족·국민·인종의 개념 규정
2. 한반도에 있어서 선사시대의 인류
3. 고조선의 실체와 의미
4. 삼국시대의 다양한 민족들

Ⅳ. 혼인과 가족제도 그리고 친족제도
1. 인간의 성행위와 성의 규제
2. 배우자 선택과 혼인의 형태
3. 거주율(居住律)과 혈통률(血統律), 그리고 친족호칭

Ⅴ. 종교적 믿음과 관행
1. 종교의 정의
2. 종교적 믿음과 관행의 다양성
3. 신과 인간의 중개자
4. 종교의 적응적 측면과 갈등적 측면

Ⅵ. 문화를 연구하는 관점
1. 문화진화주의
2. 문화전파주의
3. 기능주의
4. 문화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5. 사회생물학

본문내용

제공해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혈통률에는 부계혈통률, 모계혈통률, 선계혈통률, 이중혈통률 등이 있다. 혈통률은 그 사회의 경제체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혈통률에 따라 혈통집단이 구성된다. 반족(半族; moiety)은 혈통집단의 좋은 사례에 속한다.
친족호칭은 친족의 구조를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친족의 구조가 사회마다 다양하고 복잡한 것과 마찬가지로 친족호칭의 체계도 매우 다양하다. 우리 나라의 친족호칭 체계는 매우 구체적이고 복잡하다.
Ⅴ. 종교적 믿음과 관행
1. 종교의 정의
종교는 '초자연적인 힘 또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사고는 사회에 따라 다르고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어떤 사회이든 초자연적인 힘 또는 존재에 대한 믿음이 있음으로 일종의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즉, 종교는 보편적으로 존재한다(종교의 보편성).
2. 종교적 믿음과 관행의 다양성
초자연적 존재에는 인간에서 유래하는 것들(조상신·귀신)과 비인간적 기원의 것들(신령님·하나님·산신·바다신·도깨비)이 있다. 초자연적 존재의 성격과 계층구조는 현실의 사회구조와 정치구조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람들이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자연적 존재나 힘을 동원할 수 있다고 믿을 때 그러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행위를 주술(magic)이라고 한다. 요술(sorcery)과 마술(witchcraft)은 주로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가하기 위하여 초자연적 존재나 힘을 동원하는 것이다. 요술은 주로 물체나 약을 사용하는 경우의 주술이고, 마술은 마음과 생각만으로도 남에게 해를 가하는 경우의 주술이다.
3. 신과 인간의 중개자
신과 인간의 중개자는 크게 샤먼(shamans; 무당)과 사제(司祭; priests)의 둘로 나뉜다. 샤먼은 종교적 중개자 역할을 전적인 직업으로 삼지는 않고, 여러 가지 생업에 종사하면서 종교적 중개가 필요한 경우에 일시적으로 그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 사제는 불교의 승려, 천주교의 신부, 기독교의 목사 등과 같은 종교적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전임한다.
4. 종교의 적응적 측면과 갈등적 측면
⑴ 인도의 암소숭배 : 문화유물론적 해석
인류학자 해리스(Marvin Harris)는 인도에서 암소를 신성시하는 것을 인도의 생태학적 환경과 관련시켜 설명하였다. 해리스는 힌두교도들이 암소를 도살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암소를 숭배하는 데에는 충분한 생태학적·경제적 이유가 있다고 보았다.
(2) 종교적 부흥운동(재생운동; revitalization movements)
일반적으로 종교는 현실 사회의 변화에 대하여 매우 저항적이다. 그러나 간혹 종교는 매우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어떤 문화가 우세한 사회와 접촉하여 붕괴될 때 새로운 종교운동이 흔히 일어난다. 멜라네시아의 하물의식(荷物儀式; cargo cult)은 종교적 부흥운동의 좋은 사례에 속한다.
(3) 종교와 갈등
종교는 적응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사회적 갈등 요인도 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십자군 전쟁과 같이 종교와 관련된 수많은 전쟁이 있었다. 냉전 체제가 와해된 오늘날의 세계에서 종교적 분쟁의 불씨는 서서히 타오르고 있다.
Ⅵ. 문화를 연구하는 관점
1. 문화진화주의(cultural evolutionism)
19세기 후반의 서구 학자들은 문화가 일정한 단계를 거쳐서 일정한 목표를 지향하여 전진적으로 발전(진화; evolution)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진화주의 학자들은 현존 사회의 문화가 상이한 것은 각 사회가 서로 다른 발전 단계에 있기 때문이라고 믿었다. 고전적 문화진화주의의 대표적 인류학자로서 타일러(Edward B. Tylor; 1832년∼1917년)와 모르간(Lewis Henry Morgan; 1818년∼1889년)을 들 수 있다.
2. 문화전파주의(cultural diffusionism)
전파주의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①영국의 전파주의 학파(migrationism)와 ②독일·오스트리아의 문화권 학파(Kulturkreis Lehrer), 그리고 20세기 초에 등장한 ③미국의 전파주의(American diffusionism)를 통칭한다. 전파주의 학파들은 다소 다른 배경에서 출발하였지만 공통적으로 문화전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문화요소들이 전파된다는 사실을 수용한다.
3. 기능주의(functionalism)
영국의 인류학자 말리노브스키(Bronislaw K. Malinowski; 1884년∼1942년)는 "한 집단의 문화요소들은 그 집단구성원의 기본적 욕구 또는 이차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다. 영국 인류학자 래드클리프-브라운(Arthur Reginald Radcliffe-Brown; 1881년∼1955년)은 "모든 사회적 제도들과 관습이 상호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고 보고, 사회적 제도간에 존재한다고 가정되는 관계의 유형을 사회구조라고 규정하였다. 말리노브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 등의 기능주의 학자들은 추론에 의한 인류사의 재구성을 부정하고, 현지조사(답사; fieldwork)를 중시하였다.
4. 문화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단순한 인과 관계로 가정하는 접근 방법을 환경결정론(environmental determinism)이라고 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되 인과 관계를 부정하는 접근 방법이 가능론(possibilism)이다. 그리고 문화 연구에서 환경적 측면을 강조하는 접근법을 문화생태학(cultural ecology)이라고 한다. 인간-환경의 관계에 대한 사고를 볼 때, 인류학의 문화생태학은 지리학의 가능론과 유사한 사고라고 하겠다.
5. 사회생물학(생물사회학; sociobiology)
사회생물학자들은 생물학적 진화의 원리(자연선택·적자생존)를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의 사회행태 연구에 적용하였다. 사회생물학은 인간집단의 행태적·사회적 특성에 자연선택이라는 개념이 작용할 수 있다는 사고인데, 집단적 선택보다는 개별적 선택을 보다 중시한다. 결국, 사회생물학자들은 유전자에 의한 기질 즉, 선천적으로 타고난 기질에 의한 문화적 차이를 매우 중시하는 것이다.
  • 가격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1.16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