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논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

Ⅰ. 들어가면서 2

Ⅱ. ‘죽은 시인의 사회’와 교육 3

1.영화의 줄거리 3

2.영화 속 인물 4
2.1 존 키팅 선생 4
2.2 닐 페리 4
2.3 토드 앤더슨 4
2.4 찰리와 녹스 5
2.5 놀란 교장 5

3.왜 ‘죽은 시인의 사회’인가? 6
3.1 ‘죽은 시인의 사회’의 의미 6
3.2 영화가 가지는 의의 7

4.존 키팅의 교육 방법 7

5.한국 사회의 교육 현실 7

6. 닫힌 교육에서 열린 교육으로 8

Ⅲ. 마치면서 9



<참고 자료> 10

본문내용

생각할 것 없이 외우고, 생각할 것 없이 계산하고, 생각할 것 없이 반복하는 학습이 기계적 학습의 대표적인 것이다.
을 지양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그의 교육을 열린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5.한국 사회의 교육 현실
현재 한국 사회의 교육 현실은 영화 속 놀란 교장의 교육 방식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놀란 교장에게 있어서 교육은 많은 학생들이 아이비리그에 진학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의 목표도 학생들 개개인의 의견을 존중하거나 자아를 찾아주려고 하기보다는 짜여진 틀에 맞추어 좋은 성적을 받고 명문대에 진학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이제는 학생들 스스로가 교육을 통해 자아를 찾으려 하기보다는 좋은 대학에 들어가, 대학 졸업 후 돈을 벌기위한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 물론 교육을 그런 수단으로 여기는 것을 무조건 잘못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개인의 의식 차이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에서는 존 키팅 선생의 교육처럼 학생들 스스로가 생각하고 판단하여 그런 의식을 가지게 만든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틀 안에서 그것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스스로 형성하려는 학생의 힘’보다는 사회의 요구에 따라 ‘형성시키려는 학생 외부의 힘’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학생 개인의 생각은 무시한 채 획일화된 교육을 하는 닫힌 교육의 실태라고 볼 수 있다.
6. 닫힌 교육에서 열린 교육으로
“획일적 교육 제도 고쳐야 선진국 된다.”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해 ‘샌드위치 위기’극복 방안에 대해 대답한 말이다. <이건희 회장 "획일적 교육 고쳐야 선진국 된다”>, 《세계일보》, 2007.6.2,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510&PCode=0007&DataID=200706012315000433
붕어빵 찍어내기 식의 현행 교육제도로는 글로벌 경쟁시대에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력과 창의성을 지닌 인재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얘기다. 자아를 찾고 자기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사람이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이다. 그런 사람을 만들기 위해서 존 키팅의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기계적 교육과 획일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사물을 새롭게 보도록 하는 그런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존 키팅의 교육이 우리 사회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지금은 다소 무리가 있다. 영화 속 비극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영화 속 학생인 닐은 키팅 선생을 통해서 자아를 찾고 자신의 생각대로 자신이 원하는 일을 찾아 나선다. 닐은 연극을 하면서도 학점은 모두 A를 받는 등 자신의 학업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버지는 닐이 반항한다 생각하며 그를 이해하려 들지 않았고 결국 닐은 아버지의 반대에 좌절하여 자살을 하고 만다. 여기서 우리는 문제점을 하나 발견 할 수 있다. 키팅 선생이 학생들의 생각을 바꾸는 것에는 정열적이고 적극적 이였으나, 정작 변화시켜야 할 학교와 학부모에게는 소극적 이였다는 것이다. 키팅은 자신의 제자들이 자유롭게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이끌었으나, 학교의 방침이나 학부모들의 입장은 아랑곳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생각은 바꾸지 않았고 결국 비극적 상황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 영화에서는 존 키팅선생의 교육과 같은 교육이 필요하지만 단시간에 바뀔 수는 없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기도 하다. 이 말은 지금 우리가 존 키팅 선생의 교육처럼 열린 교육을 하기위해서는 존 키팅처럼 너무 조급하게 굴지 말아야한다는 것이고 교육 방법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학부모들과 사회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Ⅲ. 마치면서
지금까지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의 이야기와 그 속에 나타난 참교육의 모습, 그리고 그 교육으로 변화된 학생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죽은 시인의 사회’는 교육영화를 대표하는 영화로써 한국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 영화이다. 이 영화를 관람한 사람들에게서 듣는 이야기는 대체로 파격적인 교육방식을 통해 삶의 진수를 학생들에게 깨닫게 하는 교사 키팅에 관한 것이다. 우리에게도 키팅처럼 용감하고 자신감에 찬 교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한다. 필자 또한 영화 속 학생들과 다름없이 입시경쟁 속에 있을 당시, 존 키팅 같은 선생이 실제로 존재했으면 하고 바랬었다. 그리고 키팅이 학생들에게 그들이 스스로의 삶을 성찰함으로써 생각하고 판단하도록 지원한 것을 보고, 필자가 교사가 되었을 때 키팅선생처럼 학생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며, 학생들의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사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예전과는 조금 다른 시각을 가진 지금, 교사 한 사람의 교육 방법만 바뀌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학교의 교육 목표와 학부모들의 인식의 차이에서는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아무리 학교와 학부모들의 생각과의 갈등이 있다 해도 사람들은 존 키팅 선생같이 자아를 찾는 교육을 원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열린 교육을 하기위한 교사 양성뿐만 아니라, 열린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며 사회의 인식의 변화를 이루어내야 한다. 지금부터라고 조금씩 변화 하도록 하여 필자가 교사가 되었을 때는 키팅 선생처럼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그리고 그렇게 가르치더라도 영화 속 같은 비극이 일어나지 않는 사회가 되길 기대해본다.
<참고 자료>
<죽은 시인의 사회>, 피터 위어 감독, 미국;Touch Stone A Peter Weir Film,1989
N.H. Kleinbaum(1990).『죽은 시인의 사회』, 문창연(역), 서울: 성현출판사
톰 슐만(2004), 『죽은 시인의 사회』, 한은주(역), 서울: 서교출판사
정영근(2001), 『영화로 만나는 교육학』, 서울: 문음사
이건만(1999), 『닫힌 학교 열린 꿈 : 영화로 읽는 교육학』, 서울: 양서원
정재찬(1994), ‘죽은 시인의 사회’와 문학교육,『국어교육연구』,9(1), 서울대국어교육연구소
정재찬(2003), 영화를 통해 본 교육 현실 읽기,『교육인류학연구』, 제6권 제2호, 225~259
김진영(2003), 살아있는 시인의 사회를 위하여, 『문화예술』,2003년 4월, 39~45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2.0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7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