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민화 이해하기

2. 민화의 특징

3. 민화소재 및 의미

4. 조자룡 선생의 화제 별 분류

5. 민화를 응용한 다양한 활동

본문내용

그려졌던 대중적인 실용화.
-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 :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
'민속적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
- 조자룡(민화 연구자) : 한국의 모든 회화를 한화(韓畵)라 하고 이를
순수회화, 실용회화로 분류
상징별, 화제별로 분류
2. 민화의 특징
1)실용적 특징
생활미술로 실용적 성격을 띰.
병풍은 웃풍이 센 우리네 한옥구조의 결함을 보완하거나 방 안의 자질구레한
물건을 가리기 위해 사용.
2)장식적 특징
장식적 필요에 의해 그린 그림.
병풍은 장소와 행사의 내용에 따라 장식 그림이 선택됨.
잔잔하고 은은한 아름다움을 추구했던 우리 선조들은 문살과 창호지에도
민화를 붙임.
3)상징적 특징
토속신앙과 세계관이 반영된 그림.
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희노애락의 의사소통을 가능케 함.
의사소통의 바탕이 되는 공통의 세계관을 매개해 주는 역할.
사회 전체에 의해 공유, 특수한 사회부류에서만 통용, 개인적인 감수성 에 의해 그 상징이 변질되기도 함.
4)주술적 특징
주술적 신앙 반영.
옛 그림이 지니고 있던 주요한 기능 중 오늘날의 기능과 다른 점은 그림이
일종의 주술적 효과를 지닌 매개체로 이용되었다는 점.
사람들은 그림이 가진 주술적 힘이 여러 가지 재앙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또 소원 하는 바를 이루어 준다고 믿음.
5)집단적 특징
집단적 감수성의 표현.
일반 서민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미감이나 세계관이 자연스럽고도 원초적인
표현 형태로 드러남.
그런 미적인 공감대가 개인으로서의 작가와 감상자가 아니라
폭넓은 대중을 상대로 이루어짐.
6)’본’ 그림 특징
모방의 그림.
그 주제와 표현에 있어서 문인화나 도화서 화공들의 그림을 철저하게 모방.
but 담아내는 내용이나 표현기법은 다름.
7)공간표현의 특징
공간구성 방법이 독특함.
전후· 좌우· 상하· 고저에 대한 구분 없이 다시점을 사용.
원근법과 사물의 상호 비례관계를 무시.
사물을 평면화 시켜 강렬한 색채효과를 주었고, 시간성의 표현이 자유로워
과거· 현재· 미래의 동시적 표현을 함.
그 밖에 대칭성· 나열성 구조, 복합성과 반복성이 있음.
8)색채표현의 특징
모든 색체를 강렬한 색상 대비로 표현.
삼원색(청(靑), 적(赤), 황(黃))을 기본으로 오방색(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을 사용.
화면에 등장하는 각 사물의 개별적인 색상에 따라 가장 강렬하고 밝은 색채가
칠해짐.
가장 밝고 예쁜 색채를 각각의 색 면에 칠해야 한다는 소박한 목적에서 원색 들을 사용.
사물의 존재가치를 동등하게 인정→똑같은 채도로 칠하여 어느 한 색이 다른
색으로 인하여 약화되지 않도록 함.
3. 민화소재 및 의미
호랑이→ 잡귀를 쫓아낸다.
용→ 복이 들어오길 빌며, 집안의 평안을 빈다.
십장생→ 무병장수
닭→ 붉은 닭은 마귀를 쫓아내며 암탉은 다산을 상징한다.
모란→ 부귀를 상징하며 여성에게 족자로 바칠 경우미모의 찬사를 뜻한다.
책거리→ 학문과 학덕
이러한 속설에 의해 새해가 되면 대문에 호랑이나 용이 그려진 민화를 많이 붙임.
4. 조자룡 선생의 화제별 분류
1)산수화
금강산, 관동팔경, 제주도 등 우리 산천을 소재로 그리거나 소상팔경과 같이
중국 산수를 다룬 그림.
소상팔경도
8폭 병풍으로 중국의 소수와 상수가 합쳐지는 동정호 주변 경치를 그림.
실제 소상팔경을 그렸다기 보다는 상상으로 그려냄.
2)화훼도
꽃을 소재로 한 그림이며 꽃을 단독으로 그리거나 여러 가지 식물, 조수, 바위, 물 등과 함께 그림.
모란도(부분)
활짝 만개한 모란(牧丹)을 각기 다른 채색으로 가득 메운 대형병풍 부분도.
꽃중의 꽃인 모란을 그린 모란도는 원래 궁중에서만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조선시대 후기에는 일반화되어 그려짐.
3)화조도
꽃과 새가 사이좋게 어우러져 있는 정경을 그린 그림.
화조도 8폭병풍
다양한 화조도 병풍 가운데 첫 폭은 송학이, 끝 폭은 오동나무와 봉황이 주로 그려지며 화조도에 나타나는 동물이나 꽃은 대개가 부부화합을 의미하므로 대개가 쌍을 이루면서 나타남.
봉황도(부분)
사신도 가운데 하나로 상상의 동물인 봉황은 배가 고파도 대나무 씨앗이 아니면 먹지 않고, 오동나무가 아니면 앉지 않고, 한번 날개를 펴면 구만리를 날으며 성현 성군이 치세하는 시대에만 나타난다는 새이다. 불로초와 어우러져 화려한 색상이 신비로운 조화를 이룸.
4)축수도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동물을 소재로 한 그림.
송림학녹도
학의 의미는 늘 푸른 소나무의 절개위에 장수하는 학의 고고함이 더하여 진다는 뜻.
작호도
(까치호랑이)
권위적이고 부패한 위정자들을 비꼬며 조롱하는 까치와 바보스럽고 우스꽝스러운 호랑이의 모습이 풍자적인 구실을 톡톡히 함.
5)풍속화
서민생활을 소재로 하여 풍습, 세태, 연중행사 등 여러 가지 생활상과 자연의 정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
김홍도-자리짜기
6)도안화
어떤 생긴 형상을 그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형태로 고안하여
표현한 그림.
문자도 8폭병풍
강원도 지역에서 최근까지 그려졌던 양식으로 문자도와 화조, 산수도가 혼합 형태를 이룬 것이 특징.
7)설화화
설화의 내용을 함축시켜 화폭에 옮겨 놓은 그림.
효자도(부분)
산중 논에서 일하시는 아버지에게 들밭을 차려 나왔다가 때마침 큰 호랑이가
나타나 아버지에게 덤벼들자 딸이 호랑이에게 ‘젊은 나를 잡아 먹으라’ 고한다. 효심에 감복한 호랑이는 그 후 두 부녀를 잘 도와 주어서 행복하게 잘 살도록 보살펴주었다는 설화를 그린 그림.
8)기용화
책거리, 호피도, 병화도 같은 그림.
책가도
책거리는 책을 중심으로 늘어 놓았거나 혹은 책장 속에 배치해 놓은
문방사우나 이에 관련된 물건들을 구경한다는 뜻.
책거리에는 책과 문방사우뿐 아니라 책과 전혀 관계없는 생활용품도 그림.아이들에게 어울리는 소재로 어린이 방 치장으로도 쓰이기도 함.
5. 민화를 이용한 다양한 활동
1) 민화 그려보기
2) 재구성하기
3) 부채 만들기
4) 병풍 만들기
5) 탈 만들기
6) 색칠하기
7) 신체표현하기
8) 말 주머니 넣기
9) 접시 만들기

키워드

  • 가격2,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29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