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제를 이용한 효소활성도 측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소화와 과정
2. 소화제란

Ⅲ. 연구 방법 및 재료
1. 재료 및 준비물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재료 사용 이유 & 통제 변인 이유
4. 결과 분석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도출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간값 : 18
중간값 : 26
B
① 5
② 7
③ 9
B
① 7
② 8
③ 9
중간값 : 7
중간값 : 8

S
① 19
② 25
③ 25
S
① 15
② 13
③ 12
중간값 :
중간값 : 13
B
① 8
② 6
③ 3
B
① 5
② 6
③ 7
중간값 : 5
중간값 : 6
달걀
S
① 41
② 37
③ 39
S
① 40
② 40
③ 43
중간값 : 39
중간값 : 41
B
① 54
② 52
③ 54
B
① 51
② 50
③ 51
중간값 : 53
중간값 : 50
두부
S
① 33
② 32
③ 31
S
① 31
② 30
③ 30
중간값 : 32
중간값 : 30
B
① 54
② 56
③ 52
B
① 53
② 53
③ 52
중간값 : 54
중간값 : 52
마가린
S
① 76
② 74
③ 77
S
① 54
② 58
③ 56
중간값 : 75
중간값 : 56
B
① 67
② 66
③ 71
B
① 60
② 57
③ 59
중간값 : 68
중간값 : 58
식용유
S
① 100
② 100
③ 100
S
① 100
② 100
③ 100
중간값 : 100
중간값 : 100
B
① 42
② 39
③ 40
B
① 36
② 31
③ 33
중간값 : 40
중간값 : 33
대조군과 비교해서 탄수화물 영양소 감자와 밥은 감자에선 채도가 높아져 소화가 잘 된듯하지만 둘 다 명도가 낮아 소화가 잘 안된 걸 알 수 있다. 단백질 영양소인 달걀과 두부는 명도가 대조군 보다 높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지방 영양소인 마가린과 식용유에선 채도와 명도가 대조군보다 낮게 나와 소화가 잘 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알약과 가루약을 비교 해봤을 경우 알약이 좀 더 잘 된 것을 볼 수 있다.
ⓖ 매실+알약
ⓗ 매실+가루약
감자
S
① 24
② 26
③ 25
S
① 23
② 22
③ 20
중간값 : 25
중간값 : 21
B
① 10
② 7
③ 8
B
① 10
② 7
③ 8
중간값 : 8
중간값 : 8

S
① 55
② 58
③ 50
S
① 22
② 25
③ 26
중간값 : 54
중간값 : 24
B
① 4
② 5
③ 5
B
① 9
② 8
③ 7
중간값 : 4
중간값 : 8
달걀
S
① 61
② 60
③ 57
S
① 21
② 22
③ 20
중간값 : 59
중간값 : 21
B
① 33
② 30
③ 30
B
① 83
② 89
③ 86
중간값 : 31
중간값 : 86
두부
S
① 40
② 41
③ 43
S
① 32
② 32
③ 33
중간값 : 41
중간값 : 32
B
① 38
② 39
③ 40
B
① 47
② 45
③ 46
중간값 : 39
중간값 : 46
마가린
S
① 90
② 85
③ 86
S
① 88
② 93
③ 91
중간값 : 87
중간값 : 90
B
① 33
② 35
③ 33
B
① 27
② 23
③ 27
중간값 : 33
중간값 : 25
식용유
S
① 100
② 92
③ 94
S
① 100
② 100
③ 100
중간값 : 95
중간값 : 100
B
① 30
② 35
③ 33
B
① 22
② 23
③ 24
중간값 : 32
중간값 : 23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채도와 명도가 높아짐은 소화가 잘 된 것을 말해준다. 매실 소화 보조제를 넣은 시험관도 마찬가지로 탄수화물 영양소인 두부와 밥은 소화가 잘 되지 않았다. 단백질 영양소인 달걀과 두부 또한 소화가 잘 되지 않았다. 지방 영양소인 마가린과 식용유도 마찬가지다. 위 실험과 동일하게 알약시험관이 좀 더 소화가 잘 되었다.
ⓘ 콜라+알약
ⓙ 콜라+가루약
감자
S
① 33
② 39
③ 35
S
① 19
② 15
③ 18
중간값 : 35
중간값 : 17
B
① 8
② 7
③ 7
B
① 8
② 5
③ 9
중간값 : 7
중간값 : 7

S
① 29
② 24
③ 28
S
① 16
② 14
③ 12
중간값 : 27
중간값 : 14
B
① 7
② 7
③ 7
B
① 10
② 8
③ 9
중간값 : 7
중간값 : 9
달걀
S
① 39
② 38
③ 36
S
① 37
② 41
③ 40
중간값 : 37
중간값 : 39
B
① 44
② 44
③ 44
B
① 44
② 45
③ 46
중간값 : 44
중간값 : 45
두부
S
① 32
② 32
③ 29
S
① 29
② 26
③ 27
중간값 : 31
중간값 : 27
B
① 45
② 46
③ 47
B
① 45
② 44
③ 45
중간값 : 46
중간값 : 44
마가린
S
① 95
② 94
③ 96
S
① 81
② 81
③ 80
중간값 : 95
중간값 : 80
B
① 30
② 27
③ 29
B
① 45
② 42
③ 40
중간값 : 28
중간값 : 42
식용유
S
① 96
② 89
③ 94
S
① 97
② 92
③ 95
중간값 : 93
중간값 : 94
B
① 31
② 35
③ 33
B
① 30
② 31
③ 31
중간값 : 33
중간값 : 30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콜라 소화 보조제를 넣은 시험관에서는 지금까지의 실험관 보단 채도나 명도 면에서 높아 측정되어 소화가 좀 더 잘 되었다. 여기서 또한 알약이 가루약 시험관이 좀 더 소화가 잘 되었다.
Ⅴ. 결론 도출
예상외로 표면적이 넓은 가루약보다 알약이 더 소화를 잘 시켰다. 추측으론 알약인 소화제를 가루약을 부수어 투입하다 보니 소화제의 성분이 골고루 분배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물을 넣었을 때보다 파인애플이나 매실, 콜라 등 소화 보조제를 첨가 한 시험관이 좀 더 소화가 더 잘되었다. 이중 파인애플, 매실, 콜라 순으로 소화 보조제의 소화 효과를 보았는데 콜라 소화 보조제를 넣은 시험관이 가장 소화 정도가 높게 측정 되었다. 이것을 봐서 소화에 부담되는 음식을 먹을 땐 이러한 소화 보조식품을 함께 섭취하면 소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지방이 다른 영양소보다 채도와 명도가 높게 나온걸 보아 이 소화제는 지방소화를 좀 더 돕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하면서 마가린이 실온에서 굳어 버리고 전문적인 실험 측정기구가 아닌 일반적인 고등학교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험대상과 반응 용액간의 반응성만으로 실험했기 때문에 한눈에 보이는 실험 결과를 얻지 못했다.
Ⅶ. 참고문헌
1. 네이버 생명과학대사전, 강영희, 2008 아카데미서적/강영희
  • 가격3,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4.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