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에_관한_거의_모든_것,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소의 생물학적 위치
Ⅱ. 소의 기원과 가축화
1. 소의 가축화 배경
2. 소의 가축화 과정
Ⅲ. 지역별 소의 특징
1. 유럽의 소
2. 아시아의 소
3. 한국의 소 -한우의 정의
-한우의 기원과 사육
Ⅳ. 소의 주요 소화기관
1. 소화기관의 형태
2. 입
3. 식도
4. 위 -반추위
-제3위
-제4위
Ⅴ. 소의 영양소의 종류와 대사과정
1. 탄수화물
2. 단백질
3. 지질
4. 비타민
Ⅵ. 영양소의 소화와 대사
1. 침의 분비와 기능
2. 반추위 미생물의 중요성
3. 반추위 미생물의 종류 -박테리아
-프로토조아
-곰팡이
4. 반추위 내 미생물 분포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Ⅶ. 소의 산육특성
1. 소의 발육
2. 체조직의 변화
Ⅷ. 소의 부위별 특징
Ⅸ. 소와 종교, 전통
1. 인도 -힌두교의 역사
-나라적 배경
2. 스페인 -역사
-잘못된 진실
Ⅹ.출처

본문내용

경, 인도에 침입해 온 아리아인은 본래가 유목민이었다. 짐작컨대 이들은 이집트나 중근동의 황소 숭배의 전통을 물려받았던 모양으로 황소를 힘의 상징으로 간주하고 베다의 신들, 특히 `인도라'에게 공양하고 있었다.
최초의 힌두교 경전인 `리그 베다'는 쇠고기를 배척하지도, 암소를 보호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베다 시대의 브라만 계급의 주요 의무는 소의 보호가 아니라 소를 도살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인도의 인구가 차츰 늘어나면서 기존의 삼림이나 초원이 개간되자 목초지의 풀을 뜯어먹고 살던 소가 점차 한계 지대로 쫓겨 들어갔고 수가 현저히 줄어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소를 먹기보다는 곡물을 먹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모든 소가 다 신성시되는 것은 아니고 소에도 카스트, 즉 신분이 있어서 길거리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성우(聖牛)가 있는가 하면, 고삐에 매여 마차를 끌고 밭갈이를 하는 소도 있다. 암소 몸의 모든 부분이 신들의 거처라고 믿어져서 꼬리끝털 부분에는 야마신이 콧구멍에는 쌍둥이신인 아슈빈 등이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후기 힌두교의 주요한 세 신들과 관련되어 신성시되는데 시바가 타고 다니는 암소 “난디”는 독자적으로 숭배를 받고, 비슈누의 화신인 크리슈나도 암소와 관련되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 암소는 브라흐마신과 같은 날에 창조되었고 암소 살해는 사제계급인 브라만을 죽이는 죄와 같다고 믿어져 왔다.
나라적 배경
힌두교에서 소를 잡아먹지 않는 역사의 기원은 신화적인 데에 있었던 것이 아니다. 오히려 단순한데 있다. 인도는 한발과 장마가 번갈아 나타나는 지역이다. 한발이 오면 먹을 것이 없어서 소를 잡아먹다보니 밭갈이 할 때 인간으로서는 그 넓은 평야를 밭 갈아서 농사를 지을 수 없고 또 나무가 없는 들판에서 연료를 구할 수가 없다. 그래서 소를 숭상하면 안 잡아먹게 되고 소는 경운기로 사용하고 소똥은 연료로 사용하고 소젖은 버터로 사용함으로써 많은 인민들이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고 따라서 그것은 소 숭배의 기원이 되었다.
또한, 다른 동물은 인간을 위해 기대하는 만큼의 봉사를 할 수 없다. 쟁기를 끌려면 덩치가 크고 힘이 센 가축이 필요했고, 낙타와 말 등은 소에 비해 신체 구조나 먹이에서 단점이 많았기 때문에 당연히 소가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간디는 "소는 우유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인도의 토양과 기후에 맞는 가장 싸게 먹히고 효율이 좋은 견인 동물의 어머니이다.
2. 스페인
-역사
투우는 스페인어로 코리다 데 토로스(Corrida de Toros)라고 한다. 그 근원은 목축과 농업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황소의 죽음을 신에게 바치는 의식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투우는 단순한 도살 오락이 아니라 소와 인간의 죽음을 건 의식이며 또 예술이다. 스페인의 투우는 산 호세의 축제 3월 19일에 시작해 10월 12일까지 각 도시에 있는 투우장에서 개최된다. 실제로 매년 처음으로 열리는 투우는 부활절이 있는 일요일에 세비야 대투우장에서 시작된다. 투우사는 주역을 마타도르(matador)라 하고, 그 밖에 작살을 꽂는 투우사를 반데릴레로(banderillero), 말을 타고 창으로 소를 찌르는 투우사를피카도르(picador)라고 한다. 각 주연투우사인 마타도르는 세 명의 보조 투우사와 함께 투우를 진행한다. 투우 한 게임에 6마리의 소가 이용되고 마타도르는 3명이다.투우는 투우사를 소개하는 장내 행진으로부터 시작된다. 투우사는 모두 중세기풍의 금·은으로 장식된 화사한 복장을 걸치고 엄숙하고 화려한 연출과 함께 투우 특유의 분위기를 엮어낸다.
-잘못된 진실
소에 관한 흔한 오해는 특히 황소가 빨간 색에 흥분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소들은 대부분이 색맹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신은 투우에서 빨간 망토를 사용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실제로 두 종류의 망토가 쓰인다. 하나는 카포테라는 후드 달린 긴 망토로서 이는 자홍색과 노랑색이고 미끈하게 처진 망토이다. 이보다도 더 흔히 알려진 것이 물레타(muleta)라는 망토인데 이는 더 작고 빨간색이다. 이것은 특히 투우에서 마지막, 죽음의 차례가 되었을 때 사용된다. 그러나 황소를 흥분하게 만드는 것은 이 빨간색이라는 점이 아니라 이 망토를 소의 주위로 맴돌게 함으로써 돌진하도록 자극하는 것이다. 소의 눈에는 파랑색과 노랑색이 보이지 않는다.
Ⅹ.출처
참고문헌
- 천진기, 『근면·우직·유유자적의 소』, 국립민속박물관, 2008, p95~102,
-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민속원, 2004, p32~38
- J.C.블록, 『인간과 가축의 역사』, 새날, 1996, p.115~129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한우연구회, 『한우컨설팅지침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2009,
p.3~11, 75~105, 389~391- 임동권,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1985, p23~28
인터넷 자료
http://ko.wikipedia.org/wiki/%EC%86%8C
http://science.howstuffworks.com/environmental/life/zoology/mammals/methane-cow.htm
http://www.aipl.arsusda.gov/kc/cowfacts.html
http://www.hanwooboard.or.kr/bin/exsystem/opennotice/view.php?noticeIdx=1590
http://100.naver.com/100.nhn?docid=93577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64350
http://www.elrst.com/tag/cow-manur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5033
http://en.wikipedia.org/wiki/Cow
http://manhattaninfidel.com/2009/11/03/government-takes-steps-to-end-cow-menace/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K&i=299509&v=43
  • 가격4,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6.03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