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장 국어의 의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4장 국어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 연구

2. 교재 심화 탐구

본문내용

를 당했다는 방송을 들었다.
어머니가 비행기에서 // 아들이 사고를 당했다는 방송을 들었다.
③부정사에 의한 적용 영역 - 강세에 의한 해석.
예) 그는 프랑스에서 공부하지 않았다.
그는 프랑스에서 공부하지 않았다.
④‘-면서’에 의한 접속문 구성 - 휴지에 의해 해석.
예) 언니는 // 텔레비전을 보면서 밥을 먹고 있는 동생에게 고함을 질렀다.
언니는 텔레비전을 보면서 // 밥을 먹고 있는 동생에게 고함을 질렀다.
■중의구문의 유형과 해석 기제 정리
기제
유형
어순변환
첨언
초분절
음소
수식관계
명사구 수식


동사구 수식


부정사


적용영역
수량사


대용관계
대명사
재귀대명사
빈꼴 대용

복합문 구성
상승구문
접속문

상호텍스트성과 읽기 교육
그 동안의 읽기 교육은 학습자의 텍스트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여러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을 반영하였다. 여기서는 심리학, 기호학, 해석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지만, 그 외에도 문학이나 인식론 그 외의 여러 학문의 연구 성과들이 읽기 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다.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하나의 용어로 정착시킨 사람은 크리스테바(Kristeva, 1966)이다(Worton & Still, 1990:1). 그렇지만 알렌(Allen, 2000)은 그 개념의 연원을 소쉬르(Saussure)나 바흐친(Bakhtin)에서 찾는다. 이 용어의 개념은 텍스트간의 영향 관계만을 언급하던 것이 여러 분야의 학문들 속에서 논의되면서 확장되어왔다.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개념의 변화를 살펴본다.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은 간단히 말하여 텍스트간의 상호관련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개념이 처음 논의될 때는 한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와 서로 영향 관계에 있다는 비교적 단순한 것이었지만 여러 논의를 거치면서 개념이 넓혀졌다. 그래서 일반적인 언어 활동과 사고 활동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개념이 확대되었다.
상호텍스트성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든 이는 크리스테바(1966)이지만 그 개념의 기원은 더 거슬러 올라간다. 상호텍스트성 현상은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상호텍스트성의 용어는 크리스테바에 의하여 사용되었지만 상호텍스트성의 현상은 그 이전에 이미 존재했다. 의미 구성과 의사 소통은 본질적으로 다른 사람이 사용한 기호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개념에 대한 인식에서 용어가 생겨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알렌(Allen, 2000)에 따르면 그 개념의 기원은 소쉬르의 언어학에 있다. 알렌에 따르면, 소쉬르의 기호에 대한 설명은 상호텍스트성의 기반을 이룬다. 소쉬르의 언어 이론의 핵심은 기호에 있다. 소쉬르는 기호는 대상과 관계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렇지만 기호는 대상과 관계를 맺고 있을 뿐이지 그 대상은 아니다 기호의 지시 대상이 실체가 아니라 개념이라는 인식의 출발은 소쉬르에게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즉 기호는 대상과 자유로운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대상에 대한 기의(개념)가 기호 속에 포함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렇게 기호가 대상과 분리되어 있고, 기의(개념)를 포함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기호가 개념을 옮겨주는 도구로 인식하게 되었고 그 결과 기호로 사고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것은 세계를 인식하게 하는 기본적인 도구로 기호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호를 통하여 사고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렇지만 기호가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져있다는 인식에서 기의는 대상이 아니라는 것에 문제가 있다. 기의는 기호 속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의는 대상이 될 수 없다. 그래서 대상을 기호화했지만 기호는 대상과 동떨어져 존재하면서, 기호는 기호만의 다른 세계(체계)를 가지게 된 것이다. 이렇게 인식 세계가 기호만의 구성될 수 있는 것은 인간의 의식에 의해서이다. 기호만의 세상은 대상에서 벗어나서 독립적으로 기호를 통한 의미 작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즉 대상이 없음에도 기호를 통하여 그 대상을 상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렇게 대상이 없는 기호만의 세계는 기호들간의 상호 관계를 바탕으로 개념을 드러내게 된다. 즉 기호만으로 개념의 세계를 이루게 된 것이다. 그래서 하나의 기호는 개념을 드러내기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기호는 실제의 무수한 대상을 추상하여 개념으로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무수한 대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하나의 기호가 반복되어 사용될 수밖에 없다. 즉 기호 속의 개념을 사용하여 의미를 구성하고 생각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호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기호의 반복된 사용은 상호텍스트성을 형성하게 된다. 기호를 사용한 표현과 이해는 이미 개념화된 기호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영향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호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상호텍스트성을 가진다.
이러한 생각은 바흐친의 문학이론에서 연결되면서 구체화된다. 상호텍스트성 개념과 관련된 바흐친의 논의는 대화주의 문학이론이다. 대화주의 문학이론에서도 다성성으로 설명되는 부분이다. 다성성은 다양한 의식이나 목소리들이 독립적인 주체로서 하나의 텍스트 속에 존재하는 것을 가리킨다. 텍스트 속의 의식 있는 목소리의 주인공은 단순히 작가에 의해 조정되는 수동적인 객체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작가와 나란히 공존하는 능동적인 주체이다. 즉 작중 인물들은 각자 이데올로기와 세계관을 가지고 주어진 상황하에서 대화를 한다. 이 과정에서 작중 인물들의 서로 다른 의식 있는 목소리가 섞여지면서 내용이 만들어져 텍스트가 구성된다. 텍스트 구성에 대한 이러한 설명에서 볼 때, 텍스트는 다양한 목소리들이 의미를 형성해 가는 장이다. 즉 텍스트는 다양한 목소리들이 모여 모자이크처럼 구성된다 모자이크 기법이 하나의 완성된 그림을 만들어내듯 텍스트도 하나의 통일된 의미를 가진다. 문학작품에서의 작가와 작중인물에 대한 이러한 개념의 정립은 작가와 작중인물을 분리하여 보게 하고, 작가를 작중인물들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능력의 소지자로서가 아니라 작중인물과 함께 대화를 통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하나의 대상으로 보게 한다. 이런 인물들의 목소리가 뒤섞이는 상황은 어떻게 보면 문학 텍스트에 국한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6.09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2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