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재(百濟)와 신라(新羅)의 전쟁, 황산벌 전투 전개분석 및 김유신과 계백 인물조사, 황산벌 전투 결과 조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황산벌 전투의 역사적 배경

Ⅲ. 황산벌 전투

Ⅳ. 황산벌 전투의 두 라이벌
 ⅰ. 계백
 ⅱ. 삼국 통일을 완수한 화랑 김유신

Ⅴ. 황산벌 전투의 결과

Ⅵ. 맺음말

본문내용

강력한 군사로 훈련시키는데 열중하였다. 이후 김유신이 17세가 되었을 때 고구려, 백제, 말갈 등이 국경을 침범해 하루도 평안한 날이 없음을 알고 자신이 기필코 외적을 평정해야 한다는 뜻을 지니고 중악에 있는 석굴로 갔다. 그는 석굴 속에서 매일 기도하였고 4일째 되는 날 한 노인이 나타나 김유신이 범상한 인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절을 하였다. 김유신이 환란에 빠진 나라를 구하는 방법을 간곡히 묻자 노인은 함부로 말하지도 말고 사용하지도 말라며 비법을 가르쳐 주고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629년 고구려의 낭비성을 공략하였는데 고구려인들이 군사를 출동시켜 반격해오자 신라군이 패해 죽은 자가 많았고 사기도 꺾였다. 이를 들은 김유신은 아버지께 허락을 맡고 적장으로 뛰어들어 적들의 머리를 베어들고 돌아왔고 이를 본 신라군들은 사기를 충전하여 일제히 달려 나가 고구려군을 항복시켰다. 선덕대왕 11년에 백제가 대량주를 격파하였을 때 춘추공의 딸이 남편 품석을 따라 죽었다. 춘추가 이를 한으로 여겨 고구려에 청병하여 백제의 원한을 갚으려 하니 왕이 허락하여 춘추공이 장차 떠날 때 유신과 맹세를 하였고 후에 유신은 압량주 군주가 되었다. 태종대와 7년에 장군 소정방과 김인문 들은 바다를 따라 기벌포로 갔는데 해안이 진흙이어서 빠져 나갈 수 없었고 이에 버들로 엮은 자리를 깔아 군사를 진군시켜 당군과 신라군이 합동으로 백제를 멸하게 하였다. 이때 유신의 공이 많았으므로 당나라 황제가 이를 칭찬하고 포상하였으나 유신은 받지 않았다. 이후 용삭 원년에 백제 부흥군을 토벌하고 용삭 3년에 백제를 구원하러온 왜병을 격파 시키면서 승승장구 하였다. 그러다 결국 문무대왕 13년 7월 1일에 자신의 방에서 죽으니 향년 79세였다.
Ⅴ. 황산벌 전투의 결과
백제군은 황령재를 넘어 온 신라군과 결전하여 황령재 밑에 있는 '시장골(屍藏洞)'에서 패하였고 그 일부는 모촌리산성을 격파하고 들어온 신라군과 싸워 현재의 충곡리 '시장골'부근에서 전몰하였다. 백제군은 삼영이 무너지자 그 배후에 위치한 황산성과 청동리산성을 거점으로 하여 신라군이 사비성으로 진격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그러나 황산벌 전투로 인해 계백을 비롯한 5천의 결사대는 대부분 전사하고 좌평(佐平) 충상(忠常)·상영(常永) 등 20여 명은 신라군의 포로가 되고 말았다. 뒤이어 백제는 수도 사비성을 잃고 멸망하였다.
Ⅵ. 맺음말
논산시 연산면 일대의 황산벌에서 있었던 660년 백제군과 신라군 간의 전투인 황산벌 전투. 단지 김유신과 계백의 싸움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자신의 나라를 위해 열심히 싸운 모습에서 새로운 감동을 느낄 수 있었다. 황산벌 전투는 신라군이 군사를 나누어 네 번을 싸웠으나 모두 백제군에게 패하였고 이후 신라군은 반굴과 관창 등 나이 어린 화랑들의 희생을 통하여 사기를 진작시킨 후 백제군을 총 공격하였다. 백제군 5천 결사대는 수적인 열세와 더불어 반굴, 관창의 죽음으로 사기가 충전된 신라군의 총공격을 막아내지 못한 채 결국 황산벌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이 전쟁에서 백제는 비록 패배하였지만 황산벌 전투는 국가와 함께 운명을 같이 하고자 한 계백과 5천 결사대의 충의 정신이 서려 있는 전투였다는 점에서 백제 역사에서 차지하는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김부식, 삼국사기Ⅱ, 한길, 1998년, P749~777, P853.
문안식, 백제의 흥망과 전쟁, 혜안, 2006년, P455~468.
이기동, 백제의 역사, 주류성, 2006년.
이선근, 화랑도와 삼국통일,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1999년, P126~130.
정구복, 새로 읽는 삼국사기, 동방미디어, 2000년, P220~253.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5.1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