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전》 작품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흥부전》 작품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 2

Ⅱ.본론
1.자료 양상 ‥‥‥‥‥‥‥‥‥‥‥‥‥‥ 3
2.판소리계 소설 ‥‥‥‥‥‥‥‥‥‥‥‥ 7
3.근원 설화 ‥‥‥‥‥‥‥‥‥‥‥‥‥‥ 10
4.줄거리 ‥‥‥‥‥‥‥‥‥‥‥‥‥‥‥ 13
5.인물 ‥‥‥‥‥‥‥‥‥‥‥‥‥‥‥‥ 14
6.사상 ‥‥‥‥‥‥‥‥‥‥‥‥‥‥‥‥ 16
7.사회적 배경 ‥‥‥‥‥‥‥‥‥‥‥‥‥ 17
8.주제 ‥‥‥‥‥‥‥‥‥‥‥‥‥‥‥‥ 18
9.문학사적 의의 ‥‥‥‥‥‥‥‥‥‥‥‥ 20

Ⅲ.결론 ‥‥‥‥‥‥‥‥‥‥‥‥‥‥‥‥ 21

본문내용

한 문제의식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그 소설사적 의의를 가진다.
<흥부전>의 문학사적 위치를 이 작품이 가지는 현대적 성격에 비추어 살펴볼 수도 있다. 첫째로 인간성 옹호 정신의 구현이다. 사람의 본성에 대한 사실주의적 태도가 근대소설의 가장 중요한 근간임을 상기할 때, 이 작품에서 인물들의 행동이 본능적이라는 것이 그러하다. 둘째, 선악공유의 인간성이다. 이것은 이 세상에는 전적으로 선하기만 하거나 전적으로 악하기만 한 사람은 없다는 진실에 바탕한 것이다. 고소설도 전기소설일수록 주인공을 이상적 인물(도덕적, 성격적으로 완벽한 인물)로 그리고 후기소설일수록 선악을 공유한 인간적 약점이 있는 인물로 그리고 있다. 작품에서 흥부와 놀부에 대한 작가의 시각은 각각 어느 정도씩 복합성을 띠고 있다. 특히, 흥부에 대하여는 분명한 선인(善人)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곳곳에서 신랄할 정도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셋째, 앞서 말했듯이 사회비판의식의 표출이다. 이는 빈익빈부익부에 대한 비판으로 흥부의 가난을 흥부 개인의 잘못으로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흥부는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가난을 면할 수는 없다. 마지막으로, 갈등양상의 전이이다. <흥부전> 이전의 고소설들에 있어 주요한 갈등의 대상은 애정문제나 신문문제였다. 그러나 <흥부전>은 경제문제를 갈등의 대상으로 선정했다는 것은 고소설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는 신분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사회에서 돈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사회에로 시대가 전이됨을 알린다. 흥부전 연구, 인권환, 1991, 집문당
논문 '흥부전'과 '황금탑'의 비교 고찰, 장정인, 1993, 경북대학교
(연강학술도서) 한국고전문학전집, 박을수, 199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Ⅲ.결론
<흥부전>은 현재까지 소설과 판소리로 전승이 이뤄지면서 이본에 따라 작품의 성격의 차이가 상당히 큰 작품이다. 줄거리 또한 이본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기는 하나, 큰 줄기는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흥부전>의 작가와 연대는 미상이며, 본래 판소리로 불리던 것이 소설로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뿐만 아니라, 흥부전의 주제는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로 양분되며, 이것은 판소리계 소설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흥부전을 근원 설화와 판소리계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근원설화는 광의의 의미로 보면 <박타는 처녀>나 <방이 설화> 가 대표적이며, 협의의 의미로 보면 <단 방귀 장수>, <말하는 염소>, <새의 보은> 등이 있고 그 외 많은 설화가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연구와 논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확한 근원설화에 대한 정설이 내려지지는 않았다.
본고에서는 판소리계 소설로서의 흥부전의 특징 중에서 골계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흥부와 놀부라는 상반된 인간성을 지닌 두 인물을 통해 선악의 대립을 극명하게 나타내며 그러한 대립을 도덕적 징계의 차원까지 진행시키면서 현실적 가치에서 일탈된 인간의 교정을 의도한다. 또한 그러한 것들을 골계적 시각으로 다룸으로써 이 모든 문제가 모두 객관적 대상이 되도록 하고 특히 인간적 성향의 좋고 나쁨이 단순히 한 개인에게만 해당될 수 없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흥부전의 인물은 이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본고에서는 대표적 인물로 흥부와 그의 처, 놀부 이렇게 세 사람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흥부전의 인물을 통해서 그 시대의 사상이나 시대적 배경까지도 엿볼 수 있다. 흥부전에 나타난 사상은 ‘인간존중 생명존중’, ‘공존공영 ’이라는 대인간관을 전제로, 대자연관을 바탕으로 ‘베풀기 사상의 실천’이며, 거기에는 ‘보은사상’이 호응된다. 그리고 흥부는 ‘청렴정신’과 ‘근면 성실정신’이라는 생활태도를 지니는데, 여기에는 ‘사필귀정’의 신념이 뒷받침된다. 그리고 미래의 운명 극복 의지로서 ‘개혁사상’과 ‘풍수사상’도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조선 후기의 신분제의 동요와 물질적 경제적 가치의 중시라는 시대적 배경도 보여준다.
<흥부전>은 판소리계 소설로, 그 주제에 있어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주제는 유교적 윤리인 형제간의 우애와 나쁜 사람은 벌을 받고, 착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의 원리이고, 이면적 주제는 공동 사회에서 이익 사회로 전환된 상황에서의 빈부의 갈등과 상부상조(相扶相助)와 공존공영(共存共榮)이다.
<흥부전>은 여타의 고전소설과 달리 현실에 대한 강력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현실적인 인물의 구체적인 행위를 통해 사실적으로 문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따라서 현실의 문제를 제재로 설정하여 가난이 극복될 수 없는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그 소설사적 의의를 가진다.
* 참고문헌 *
김창진「興夫傳의 異本과 構成 」,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1
김창진「흥부전의 사상성 고찰」, 국제어문학회 Vol. 16 1995
김태준,『흥부전/변강쇠가』, 한국고전문학전집14,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김태준,『한국고전문학전집14 - 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박을수『한국고전문학전집』, 199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서대석, 모방담의 구조와 의미,『한국 고전산문 연구』, 동화문화사, 1981.
설중환, 흥부전의 상징성과 구조적 의미, 『박병채선생 환력기념논총』,동간행회, 1985,
· 성현애, 「흥부전연구 - 경판 25장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Vol.4 1993,
이상택 『고전 소설의 사회와 인간』
이영수「경판본 흥부전에 나타난 인물연구」, 인하대학교국어국문학과대학원 1991
인권환,『흥부전 연구』, 집문당 1991,
장정인「'흥부전'과 '황금탑'의 비교 고찰」,경북대학교, 1993,
정병헌,『신재효 판소리 사설 연구』, 평민사, 1986,
정병현, 『신채효 판소리 사설 연구』, 평민사, 1986,
정충권. 『흥부전 연구』, 도서출판 월인
·최혜진,『판소리계 소설의 미학, 영락, 2001
e두산동아 백과사전
http://blog.naver.com/tutu1977
http://www.woorimal.net/
·http://www.withkr.co.kr
  • 가격2,6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10.28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