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고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6조 신라의 골품제도
1. 골품제의 시각

7조 고구려의 행정조직
1. 삼국의 관등조직(표)
2. 삼국의 합좌제도
3. 신라의 귀족회의체
4. 백제의 귀족회의체

8조 삼국의 문화
1. 삼국은 통합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있었는가?

9조 광개토대왕
1. 광개토대왕릉비
2. 광개토대왕릉비문의 논란
① 비문 조작의 여부
② ‘安羅人戍兵’의 해석문제
③ ‘倭’의 해석문제
④ ‘任那加羅’의 해석문제

10조 장보고
1. 청해진 설치가 김우징 ․ 김양 ․ 장보고 사이에 모종의 은밀한 관계 만으로 이루어 졌는가?

본문내용

5~324.
③ ‘倭’의 해석문제
비문에는 ‘倭’ 자가 12번 나오는데 신묘년의 ‘왜’ 이외에 11번은 모두 왜가 패한 것으로 나온다. 11번 모두 패한 왜가 어떻게 110년 동안 한반도 남부에 임나일본부를 설치할 수 있겠느냐고 왕건군은 의문을 제시한다. 이와 관련해 이진희는 ‘왜’라는 이름 자체가 일본을 뜻하기 보다는 왜구, 즉 해적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대해서도 확신을 하기보다 일본이 ‘왜’라는 글자를 변조했을지도 모른다고 보고 있다. - 李進熙, 초청강연회「한 일 고대사의 제문제-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연구와 그 후의 동향-」(『일본학』18, 1999 ) pp.347~357.
또한 그렇다 하더라도 당시 ‘왜’가 일본이라고 볼 수 있느냐고 의문을 제시하며 7세기 이후에야 그러한 명칭이 나타나므로 왜는 해도(海盜), 즉 해적으로 보고 있다.
④ ‘任那加羅’의 해석문제
이와 관련해서는 보통 임나국(혹은 지명)이라는 존재를 상정해 왔다. 일본이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설의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또한 일본이 말하는 그러한 ‘任那加羅’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任那’를 ‘나라를 맡긴’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우리가 그동안 임나를 나라 혹은 지명으로 인식하던 것에서 벗어나게 한다. 따라서 ‘任那加羅’는 “신라 또는 백제 등에 服屬한 상태의 加羅”를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安春培,「廣開土大王陵碑文 硏究(Ⅰ)-碑文의 文段과 解釋을 中心으로-」(『考古歷史學志』 8, 1992 ) pp.315~316.
즉, 가야의 많은 성들 중에서 신라나 백제등에 복속하게 된 가야 자체를 총칭해서 임나가라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10조 장보고>
1. 청해진 설치가 김우징 김양 장보고 사이에 모종의 은밀한 관계만으로 이루어 졌는가? (p.7)
10조의 발표문을 보면 장보고가 중국에서 돌아와 흥덕왕을 알현하고 사졸 1만 명으로 완도에 진을 설치했다라고 나온다. 그리고 어떻게 장보고의 건의만으로 청해진 설치의 허가를 받을 수 있었겠느냐는 의문과 함께 그에 대한 해답으로 당시 시중인 김우징과 장보고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김우징과 김우징의 심복 김양, 장보고 사이의 모종의 은밀한 관계가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그렇지만 과연 이들의 관계만으로 청해진이 설치될 수 있었냐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일개 지방인에 불과한 자가 국왕을 만나 ‘鎭’ 설치를 건의하고 용인을 받아낸다는 것은 매우 특이하다. 따라서 장보고를 국왕에게까지 소개하고 알현할 기회를 주선하는 데에 있어서는 김우징과 김양, 장보고의 관계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신성재,「9세기 전반의 신라 정치사회와 장보고세력」(『학림(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29, 2007 ) pp.17~18.
그렇지만 청해진 설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적 퇴치 문제를 거론한 장보고보다는 이 제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던 흥덕왕의 입장에서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김호범,「신라 흥덕왕대의 청해진 설치 배경」(『역사학연구(구-전남사학)』 24, 2003 ) pp.57~58.
흥덕왕이 청해진을 설치한 첫 번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당시 신라사회에서는 김헌창의 난이 일어났다. 김헌창의 난에 동조한 지방세력에는 해상세력들이 많았고 신라 조정은 해상 세력에 대한 통제를 고심하지 않으면 안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흥덕왕은 청해진이나 당성진을 설치하여 서 남해 지역을 통제하려 했다. 그 이유는 패강진처럼 ‘鎭’은 군단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행정적인 기능이 있고, 또한 중앙의 직접 통제를 받았던 특성을 고려했기 때문일 것이다. 김호범,「신라 흥덕왕대의 청해진 설치 배경」(『역사학연구(구-전남사학)』 24, 2003 ) p.71.
두 번째 이유는 신라는 서 남해 해변에서 활동했던 해적들로 인해 견당사(遣唐使)파견에 곤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사정은 발해의 남진으로 더욱 가속화 되었다. 흥덕왕은 이를 타개하기 위해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청해진이 설치된 이래 황해 남부를 횡단하는 항로가 자주 이용되면서 견당사 파견이 원활해졌다. 결국 흥덕왕대의 청해진 설치는 신라의 대외적 환경을 바꾸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음을 알 수 있다. 김호범,「신라 흥덕왕대의 청해진 설치 배경」(『역사학연구(구-전남사학)』 24, 2003 ) p.77.
이처럼 청해진 설치는 흥덕왕에게 있어 지방세력의 통제와 해적들로 인해 힘들었던 대당외교길을 보호하기 위한 필요성들이 있었던 것이다.
<參考文獻>
<6조 신라의 골품제>
1.이종욱「신라하대의골품제와왕경인의주거」동국대학교(『신라문화』,1990) p.169,187,188.
2.이종욱 「신라 중고시대의 골품제」역사학회 (『역사학보』,1983)
<7조 고구려의 행정조직>
1. 李其白 李其東, <<韓國史講座>> 古代篇 (일조각, 1982)
2. 盧重國 <<한국사 6>>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국사편찬위원회, 2003)
<8조 삼국의 문화>
1. 윤경진 <<우리 역사를 의심한다>> 5. 후삼국의 통일과 역사계승 의식의 전환 (서해문집, 2002)
<9조 광개토대왕>
1. 李進熙 譯:李其東, <<廣開土王碑의 探究>> (일조각, 1982)
<參考論文>
<8조 삼국의 문화>
1. 盧泰敦,「三韓에 대한 認識의 變遷」(『한국사연구』38, 1982 ) pp.129~156.
2. 變太燮,「三韓統一의 民族史的 意味」(『신라문화』2, 1985 ) pp. 57~64
<9조 광개토대왕>
1. 安春培,「廣開土大王陵碑文 硏究(Ⅰ)-碑文의 文段과 解釋을 中心으로-」(『考古歷史學志 8, 1992 )
2. 李進熙,「日本에서의 廣開土王陵碑 硏究」(『東方學志』43, 1984 )
3. 王健群, 강연초록:「廣開土好太王碑文考釋」 (『東方學志』60, 1989 )
4. 李進熙, 초청강연회「한 일 고대사의 제문제-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연구와 그 후의 동향-」(『일본학』18, 1999 )
<10조 장보고>
1. 신성재,「9세기 전반의 신라 정치사회와 장보고세력」(『학림(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29, 2007 ) pp.1~35.
2. 김호범,「신라 흥덕왕대의 청해진 설치 배경」(『역사학연구(구-전남사학)』 24, 2003 ) pp.57~86.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9.28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