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의 세속화, 기복주의에 관한 논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회의 세속화, 기복주의에 관한 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늘날 대체적으로 복음주의적이 되게 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속화의 실체는 그대로 남아 있다. 그리고 우리가 노력하지 않으면 교회는 사회화 혹은 탈종교화로, 또한 포용주의 물결에 휩쓸리게 되고 나아가 지나친 실용주의 추구로 말미암아 교회는 세속적 타락에의 길로 점점 더 기울어지게 될 것이다. 이는 우리의 전통 문화가 바로 그러한 세속화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며, 한국 교회는 바로 그 문화의 영향력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천 년에 걸쳐 한 나라의 민족적 정서를 결정지어온 세계관, 예를 들어 우리의 현세주의 세계관은 좀처럼 바뀔 수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기에 한국 교회의 세속화를 막는 길은 결코 쉽지 않다. 해결안이 있다면, 그것은 역시 장구한 세월에 걸쳐 세계관 재형성을 교육시키는 길일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에 다루어야할 주제가 될 것이다.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한국의 세속화 현상이 한국의 현세주의 세계관의 현상적 실체임을 살펴보았다. 서구의 세속화 신학이 기독교 국가의 침몰에 따른 대안적 작업으로 제기되었고 과학 시대의 현대인들에게 새롭게 제시된 ‘비종교화’ 논리에 따라 전개된 반면에, 한국의 세속화 현상과 한국 교회의 세속화는 근본적으로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개념을 철저하게 내재화 시켜온 우리의 현세주의 세계관에 따른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국인과 한국 교회의 세속화는 무교와 유교 문화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만큼, 그리고 그 문화는 우리의 핵심 세계관을 형성케 하였기에, 항상 우리 삶 속에, 심지어는 우리 교회 속에 잠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 땅에 여러 종교가 유입되었지만 모두 이러한 소위 ‘종교적’ 개념은 현세의 관심의 연장이거나 현세의 기복적 형태, 그리고 포용적인 종교다원주의적 접근을 취하게 한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였다. 그래서 초월의 세계에 대한 기대, 혹은 종말론적인 삶 등에 대해서 열의를 가지고 생각한다거나 그러한 종교적인 것의 신비를 갖기 보다는, 그 신비를 단순화하기를 즐긴다든지 내재화 구도 속에서 철저하게 실용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데 즐거움을 누렸다. 이는 우리 민족으로 하여금 사회 윤리적 연구 및 실천에 관심을 적게 갖도록 하였고, 기독교의 사회화 혹은 탈종교화에로 나아가게는 하지 않았지만, 종교의 세속화를 지속하게 하였던 것이다. 물론 일제 강점기를 포함한 최근에는 교회가 사회적 관심을 적지 않게 갖고 있는데 이것 또한 실용주의적 접근에서 그리고 종교적 이념의 내재화 혹은 현실화 관점에서 실시되고 있는 만큼, 이 역시 ‘세속화’ 현상에 다름 아니다.
탈 종교적이거나 교회의 사회화라는 측면에서는 아니지만 우리 민족은 종교적 이념을 내재화시키고 실용주의적 견지에서 ‘세속화’를 지속하였다고 하겠다. 물론 다른 의미에서의 세속화, 즉 종교적 가치를 타락시킨다는 측면에서 한국 교회가 실용주의적 접근을 계속한다면 그러한 의미의 세속화에로 더욱 나아갈 것은 당연지사다.
참고문헌
Bonhoeffer, Dietrich.『옥중서간』고범서 역. 14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Cox, Harvey.『세속도시』(The Secular City). 김관석 외 5인 역. 17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6.
Lyon, David. “세속화에 대한 재고: 회고와 전망.”『기독교사상』이원규 역 (1986년 5월): 162-179.
Marsh, Charles. “Dietrich Bonhoeffer.” The Modern Theologians: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in the Twentieth Century. David Ford ed., Oxford: Blackwell Publishers, 1997.
Robinson, John A. T. Honest to God.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3.
Shiner, Larry. “세속화 신학의 방향.”『기독교사상』(1966, 4월): 23-31.
권문상.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한국 민족에의 적용.”『목회와 신학』2005년 3월호. 136-141.
금장태.『유교사상의 문제들』서울: 여강출판사, 1990.
김영한.『하이데거에서 리꾀르까지』서울: 박영사, 1987.
문계완. “기독교 대학의 세속화와 그 대응책.”『월간고신』통권 84호 (1989. 5월): 28ff.
박봉랑. “세속화 이후의 그리스도론.”『신학사상』18집 (1977년 가을): 552-564.
서남동. “복음전달과 그 세속적 해석.”『기독교사상』(1965, 2월): 26-36.
――――. “세속화의 과정과 그리스도교.”『기독교사상』(1966, 2월): 15-26.
윤태림.『한국인』서울: 현암사, 1970.
윤화석. “공교육-대안교육-기독교 교육.”『백석저널』2호 (2002년 가을): 149-168.
이광복. “교회음악의 타락과 종말현상 (하), 세속화되고 있는 현대교회음악.”『신앙계』통권 304호 (1992. 7월): 46ff.
이만열.『한국기독교사특강』서울: 성경읽기사, 1987.
――――.『한말 기독교와 민족운동』서울: 평민사, 1980.
이정석.『세속화 시대의 기독교』서울: 이레서원, 2000.
――――. “장로직의 세속화.”『목회와 신학』2001년 11월호. 54-61.
이정용. “동양적인 신학: 주역과 기독교.”『신학사상』18집 (1977, 가을): 473-498.
이종성. “기독교 세속화와 복음의 주체성.”『기독교사상』(1966. 3월): 10-19.
장남혁.『교회 속의 샤머니즘』서울: 집문당, 2002.
전광식. “한국교회의 세속화, 이대로는 안 된다.”『목회와 신학』 1993년 7월호. 78-87.
정대위.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종교혼합.”『사상계』(1960년 3월호): 201-14.
최길성. “무속에 나타난 종교의식.”『한국 사상의 심층연구』조명기 외 33인. 서울: 도서출판 우석, 1986. 38-48.
추태화. “경건의 세속화.”『교회와 신앙』통권 25호 (1995. 12월): 140ff.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